[생생경제] 설 차례상, 전통시장이 30% 싸다
입력 2013.02.01 (06:41)
수정 2013.02.01 (07: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설이 다가오면서 차례용품을 어디서 사야할지 고민하시는 분들 많을 텐데요.
가격을 살펴봤더니 전통 시장이 대형 마트보다 30% 정도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류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주부 윤미정 씨는 주로 대형 마트에서 차례상을 준비합니다.
쇠고기와 각종 과일, 나물 등 26가지를 사보니 30만 9천 원이 들었습니다.
전통 시장에서는 똑같이 차례상을 차리면 얼마나 들까?
<녹취> "(고사리 얼마예요?) 400그램에 3천 원요."
동일한 1등급의 산적용 쇠고기는 1.8킬로그램에 5만 원으로 대형 마트보다 만 4천 원이 쌉니다.
9개짜리 곶감 1세트는 2천7백 원 더 저렴했고 신고 배는 5개를 기준으로 4천 원 이상 가격 차이가 벌어졌습니다.
특히 도라지와 고사리 같은 나물은 전통시장이 대형 마트의 1/3 수준에 불과했습니다.
<인터뷰> 윤미정(서울시 양재동) : "동선은 불편하지만 가격이 저렴한 것 같고, 또 사장님들이 덤으로도 주시기 때문에 같은 가격으로 더 푸짐하게..."
설 차례상에 오르는 26개 품목 가운데 사과와 배추 등 5개 품목을 제외한 21개 품목의 가격이 전통 시장에서 더 싼 것으로 나왔습니다.
이렇게 26가지 품목의 가격을 비교해 보니 전통시장은 평균 20만 9천 원 들어 대형 마트보다 30%가량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김남규(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유통정보팀장) : "소포장이라든지 위생 상태, 진열 그런 분야에서 유통 업체에 그 비용이, 부가 비용이 많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전통시장 가운데는 호남 지역이 가장 저렴했고 대형 유통 업체는 충청 지역이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설이 다가오면서 차례용품을 어디서 사야할지 고민하시는 분들 많을 텐데요.
가격을 살펴봤더니 전통 시장이 대형 마트보다 30% 정도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류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주부 윤미정 씨는 주로 대형 마트에서 차례상을 준비합니다.
쇠고기와 각종 과일, 나물 등 26가지를 사보니 30만 9천 원이 들었습니다.
전통 시장에서는 똑같이 차례상을 차리면 얼마나 들까?
<녹취> "(고사리 얼마예요?) 400그램에 3천 원요."
동일한 1등급의 산적용 쇠고기는 1.8킬로그램에 5만 원으로 대형 마트보다 만 4천 원이 쌉니다.
9개짜리 곶감 1세트는 2천7백 원 더 저렴했고 신고 배는 5개를 기준으로 4천 원 이상 가격 차이가 벌어졌습니다.
특히 도라지와 고사리 같은 나물은 전통시장이 대형 마트의 1/3 수준에 불과했습니다.
<인터뷰> 윤미정(서울시 양재동) : "동선은 불편하지만 가격이 저렴한 것 같고, 또 사장님들이 덤으로도 주시기 때문에 같은 가격으로 더 푸짐하게..."
설 차례상에 오르는 26개 품목 가운데 사과와 배추 등 5개 품목을 제외한 21개 품목의 가격이 전통 시장에서 더 싼 것으로 나왔습니다.
이렇게 26가지 품목의 가격을 비교해 보니 전통시장은 평균 20만 9천 원 들어 대형 마트보다 30%가량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김남규(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유통정보팀장) : "소포장이라든지 위생 상태, 진열 그런 분야에서 유통 업체에 그 비용이, 부가 비용이 많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전통시장 가운데는 호남 지역이 가장 저렴했고 대형 유통 업체는 충청 지역이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생경제] 설 차례상, 전통시장이 30% 싸다
-
- 입력 2013-02-01 06:44:11
- 수정2013-02-01 07:34:32

<앵커 멘트>
설이 다가오면서 차례용품을 어디서 사야할지 고민하시는 분들 많을 텐데요.
가격을 살펴봤더니 전통 시장이 대형 마트보다 30% 정도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류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주부 윤미정 씨는 주로 대형 마트에서 차례상을 준비합니다.
쇠고기와 각종 과일, 나물 등 26가지를 사보니 30만 9천 원이 들었습니다.
전통 시장에서는 똑같이 차례상을 차리면 얼마나 들까?
<녹취> "(고사리 얼마예요?) 400그램에 3천 원요."
동일한 1등급의 산적용 쇠고기는 1.8킬로그램에 5만 원으로 대형 마트보다 만 4천 원이 쌉니다.
9개짜리 곶감 1세트는 2천7백 원 더 저렴했고 신고 배는 5개를 기준으로 4천 원 이상 가격 차이가 벌어졌습니다.
특히 도라지와 고사리 같은 나물은 전통시장이 대형 마트의 1/3 수준에 불과했습니다.
<인터뷰> 윤미정(서울시 양재동) : "동선은 불편하지만 가격이 저렴한 것 같고, 또 사장님들이 덤으로도 주시기 때문에 같은 가격으로 더 푸짐하게..."
설 차례상에 오르는 26개 품목 가운데 사과와 배추 등 5개 품목을 제외한 21개 품목의 가격이 전통 시장에서 더 싼 것으로 나왔습니다.
이렇게 26가지 품목의 가격을 비교해 보니 전통시장은 평균 20만 9천 원 들어 대형 마트보다 30%가량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터뷰> 김남규(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유통정보팀장) : "소포장이라든지 위생 상태, 진열 그런 분야에서 유통 업체에 그 비용이, 부가 비용이 많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전통시장 가운데는 호남 지역이 가장 저렴했고 대형 유통 업체는 충청 지역이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
-
류호성 기자 ryuhs@kbs.co.kr
류호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