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완구 20%가 미인증”…안전은 외면
입력 2013.02.18 (08:11)
수정 2013.02.18 (17: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애니메이션 못지 않게 어린이들의 인기를 끄는게 바로 완구죠?
그런데 시중에는 안전성을 인증받지 못한 완구들이 무방비로 유통되고 있습니다.
그 실태를 박민철 기자가 고발합니다.
<리포트>
시장의 완구전문 상가입니다.
장난감과 인형이 진열대를 가득 채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을 인증하는 KC마크가 보이지 않는 제품이 적지 않습니다.
<녹취> 완구점 업주 : "(요거는 사인 없는 것 같은데?) 아니 요것만 있지. 사인 있고 없는게 중요한 건 아니에요."
서울시내 한 초등학교 앞 완구점.
사정은 비슷합니다.
<녹취> 완구점 주인 : "(인증 부호는 필요 없는 거에요?) 정품으로 나오던건데 나오다가 지금은 안 나오고 있고요. 허가 받아서 나오는 건 지금은 안나와요."
완구는 납과 카드뮴,프탈레이트 가소제와 같은 중금속이나 유해물질이 얼마나 있는 지 엄격히 검사받고 기준을 통과해야만 KC마크를 붙일 수 있습니다.
중금속이 기준치를 넘을 경우 위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강정화(한국소비자연맹 회장) : "안전성을 확인할 수 없는 제품이기 때문에 사용 중에 사고가 나거나 여러가지 가소제나 유해물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단속도 쉽지 않습니다.
<녹취> 기술표준원 관계자 : "판매처 같은 경우 굉장히 많잖아요. 그걸 저희가 전국적으로 돌면서 단속 하기가 솔직히 힘든 경향이 있고요."
한국소비자연맹이 지난 해 2500여개의 완구를 조사한 결과 10개중 2개는 KC 인증을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KBS 뉴스 박민철입니다.
애니메이션 못지 않게 어린이들의 인기를 끄는게 바로 완구죠?
그런데 시중에는 안전성을 인증받지 못한 완구들이 무방비로 유통되고 있습니다.
그 실태를 박민철 기자가 고발합니다.
<리포트>
시장의 완구전문 상가입니다.
장난감과 인형이 진열대를 가득 채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을 인증하는 KC마크가 보이지 않는 제품이 적지 않습니다.
<녹취> 완구점 업주 : "(요거는 사인 없는 것 같은데?) 아니 요것만 있지. 사인 있고 없는게 중요한 건 아니에요."
서울시내 한 초등학교 앞 완구점.
사정은 비슷합니다.
<녹취> 완구점 주인 : "(인증 부호는 필요 없는 거에요?) 정품으로 나오던건데 나오다가 지금은 안 나오고 있고요. 허가 받아서 나오는 건 지금은 안나와요."
완구는 납과 카드뮴,프탈레이트 가소제와 같은 중금속이나 유해물질이 얼마나 있는 지 엄격히 검사받고 기준을 통과해야만 KC마크를 붙일 수 있습니다.
중금속이 기준치를 넘을 경우 위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강정화(한국소비자연맹 회장) : "안전성을 확인할 수 없는 제품이기 때문에 사용 중에 사고가 나거나 여러가지 가소제나 유해물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단속도 쉽지 않습니다.
<녹취> 기술표준원 관계자 : "판매처 같은 경우 굉장히 많잖아요. 그걸 저희가 전국적으로 돌면서 단속 하기가 솔직히 힘든 경향이 있고요."
한국소비자연맹이 지난 해 2500여개의 완구를 조사한 결과 10개중 2개는 KC 인증을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KBS 뉴스 박민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어린이 완구 20%가 미인증”…안전은 외면
-
- 입력 2013-02-18 08:12:44
- 수정2013-02-18 17:54:39

<앵커 멘트>
애니메이션 못지 않게 어린이들의 인기를 끄는게 바로 완구죠?
그런데 시중에는 안전성을 인증받지 못한 완구들이 무방비로 유통되고 있습니다.
그 실태를 박민철 기자가 고발합니다.
<리포트>
시장의 완구전문 상가입니다.
장난감과 인형이 진열대를 가득 채우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을 인증하는 KC마크가 보이지 않는 제품이 적지 않습니다.
<녹취> 완구점 업주 : "(요거는 사인 없는 것 같은데?) 아니 요것만 있지. 사인 있고 없는게 중요한 건 아니에요."
서울시내 한 초등학교 앞 완구점.
사정은 비슷합니다.
<녹취> 완구점 주인 : "(인증 부호는 필요 없는 거에요?) 정품으로 나오던건데 나오다가 지금은 안 나오고 있고요. 허가 받아서 나오는 건 지금은 안나와요."
완구는 납과 카드뮴,프탈레이트 가소제와 같은 중금속이나 유해물질이 얼마나 있는 지 엄격히 검사받고 기준을 통과해야만 KC마크를 붙일 수 있습니다.
중금속이 기준치를 넘을 경우 위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강정화(한국소비자연맹 회장) : "안전성을 확인할 수 없는 제품이기 때문에 사용 중에 사고가 나거나 여러가지 가소제나 유해물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단속도 쉽지 않습니다.
<녹취> 기술표준원 관계자 : "판매처 같은 경우 굉장히 많잖아요. 그걸 저희가 전국적으로 돌면서 단속 하기가 솔직히 힘든 경향이 있고요."
한국소비자연맹이 지난 해 2500여개의 완구를 조사한 결과 10개중 2개는 KC 인증을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KBS 뉴스 박민철입니다.
-
-
박민철 기자 mcpark@kbs.co.kr
박민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