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北 핵실험 찬반 공방…항의 시위까지
입력 2013.02.18 (10:55)
수정 2013.02.18 (17: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중국 정부의 태도에 대해 중국 내에서도 찬반 공방이 거셉니다.
베이징 김주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핵실험은 필요없다’
‘북한의 핵무기는 중국에도 재앙이다’
지하철 입구와 공원 등을 옮겨 다니며 중국의 젊은이들이 핵실험 반대 피켓시위에 나섰습니다.
서너 명씩의 시위대는 광저우시와 선양의 북한 총영사관 앞 등에서 북한에 대한 원조 중단까지 요구하는 숨바꼭질 시위를 벌였고 공안에 한동안 연행되기도 했습니다.
북한의 핵실험도, 국제사회의 제재도 안 된다는 중국 정부의 어정쩡한 입장에 대해서도 관영매체에서까지 공방이 뜨겁습니다.
환구시보는 중국의 대북정책이 성공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난감한 상황을 시인했습니다.
반면, 관영 신화통신은 무력위협과 제재가 북한을 군사력 확충에만 골몰하게 할 뿐이라는 이유로 '미국 책임론'을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양시위(중국 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 : “중국은 UN 결의가 있으면 그 임무를 이행하겠지만 그 밖의 제재에는 찬성하지 않습니다.”
다음달 시진핑 총서기로의 국가주석직 이양을 전후해 중국이 대북정책 전반에 대해 재검토에 나설 것이란 분석도 제기됐습니다.
다만 '북한과의 동맹 유지를 통한 한반도 안정' 이라는 중국의 정책 기조는 크게 흔들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주영입니다.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중국 정부의 태도에 대해 중국 내에서도 찬반 공방이 거셉니다.
베이징 김주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핵실험은 필요없다’
‘북한의 핵무기는 중국에도 재앙이다’
지하철 입구와 공원 등을 옮겨 다니며 중국의 젊은이들이 핵실험 반대 피켓시위에 나섰습니다.
서너 명씩의 시위대는 광저우시와 선양의 북한 총영사관 앞 등에서 북한에 대한 원조 중단까지 요구하는 숨바꼭질 시위를 벌였고 공안에 한동안 연행되기도 했습니다.
북한의 핵실험도, 국제사회의 제재도 안 된다는 중국 정부의 어정쩡한 입장에 대해서도 관영매체에서까지 공방이 뜨겁습니다.
환구시보는 중국의 대북정책이 성공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난감한 상황을 시인했습니다.
반면, 관영 신화통신은 무력위협과 제재가 북한을 군사력 확충에만 골몰하게 할 뿐이라는 이유로 '미국 책임론'을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양시위(중국 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 : “중국은 UN 결의가 있으면 그 임무를 이행하겠지만 그 밖의 제재에는 찬성하지 않습니다.”
다음달 시진핑 총서기로의 국가주석직 이양을 전후해 중국이 대북정책 전반에 대해 재검토에 나설 것이란 분석도 제기됐습니다.
다만 '북한과의 동맹 유지를 통한 한반도 안정' 이라는 중국의 정책 기조는 크게 흔들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주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中, 北 핵실험 찬반 공방…항의 시위까지
-
- 입력 2013-02-18 11:11:25
- 수정2013-02-18 17:08:24

<앵커 멘트>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중국 정부의 태도에 대해 중국 내에서도 찬반 공방이 거셉니다.
베이징 김주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핵실험은 필요없다’
‘북한의 핵무기는 중국에도 재앙이다’
지하철 입구와 공원 등을 옮겨 다니며 중국의 젊은이들이 핵실험 반대 피켓시위에 나섰습니다.
서너 명씩의 시위대는 광저우시와 선양의 북한 총영사관 앞 등에서 북한에 대한 원조 중단까지 요구하는 숨바꼭질 시위를 벌였고 공안에 한동안 연행되기도 했습니다.
북한의 핵실험도, 국제사회의 제재도 안 된다는 중국 정부의 어정쩡한 입장에 대해서도 관영매체에서까지 공방이 뜨겁습니다.
환구시보는 중국의 대북정책이 성공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난감한 상황을 시인했습니다.
반면, 관영 신화통신은 무력위협과 제재가 북한을 군사력 확충에만 골몰하게 할 뿐이라는 이유로 '미국 책임론'을 주장했습니다.
<인터뷰> 양시위(중국 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 ) : “중국은 UN 결의가 있으면 그 임무를 이행하겠지만 그 밖의 제재에는 찬성하지 않습니다.”
다음달 시진핑 총서기로의 국가주석직 이양을 전후해 중국이 대북정책 전반에 대해 재검토에 나설 것이란 분석도 제기됐습니다.
다만 '북한과의 동맹 유지를 통한 한반도 안정' 이라는 중국의 정책 기조는 크게 흔들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김주영입니다.
-
-
김주영 기자 kjyoung@kbs.co.kr
김주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