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일가스 추출법’ 환경 파괴 논란
입력 2013.02.18 (12:48)
수정 2013.02.18 (13: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최근 독일에서는 영화에 나오는 셰일가스의 시출 방식을 둘러싸고 환경 파괴 논란이 뜨겁게 일고 있습니다.
<리포트>
영화 "프라미스드 랜드"는 한 천연가스 회사의 영업사원이 작은 시골 마을에서 겪는 변화를 그려내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셰일가스로 마을 발전을 시도하기 위해 한 회사원에게 셰일가스 채취권을 빌려주려고 합니다.
문제는 영화에 나오는 '프래킹'이라는 가스 채취 기법.
지하 수천 미터에 형성된 지하 퇴적암층인 셰일층에는 천연가스가 존재합니다.
프래킹은 이 셰일층까지 화공약품을 투입해 고압으로 폭파시키고, 이로 인해 발생한 균열을 통해 천연가스를 지상으로 추출하는 기술입니다.
환경단체들은 이 같은 화공약품과 가스로 인해 지하수가 오염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로이니히(프래킹 반대 환경단체) : "프래킹은 활주로 없이 날아가는 핵무기나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독일 정부는 최근 셰일가스 채굴을 계속해서 장려하겠다고 결정한 바 있습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최근 독일에서는 영화에 나오는 셰일가스의 시출 방식을 둘러싸고 환경 파괴 논란이 뜨겁게 일고 있습니다.
<리포트>
영화 "프라미스드 랜드"는 한 천연가스 회사의 영업사원이 작은 시골 마을에서 겪는 변화를 그려내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셰일가스로 마을 발전을 시도하기 위해 한 회사원에게 셰일가스 채취권을 빌려주려고 합니다.
문제는 영화에 나오는 '프래킹'이라는 가스 채취 기법.
지하 수천 미터에 형성된 지하 퇴적암층인 셰일층에는 천연가스가 존재합니다.
프래킹은 이 셰일층까지 화공약품을 투입해 고압으로 폭파시키고, 이로 인해 발생한 균열을 통해 천연가스를 지상으로 추출하는 기술입니다.
환경단체들은 이 같은 화공약품과 가스로 인해 지하수가 오염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로이니히(프래킹 반대 환경단체) : "프래킹은 활주로 없이 날아가는 핵무기나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독일 정부는 최근 셰일가스 채굴을 계속해서 장려하겠다고 결정한 바 있습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셰일가스 추출법’ 환경 파괴 논란
-
- 입력 2013-02-18 12:49:50
- 수정2013-02-18 13:06:18

<앵커 멘트>
최근 독일에서는 영화에 나오는 셰일가스의 시출 방식을 둘러싸고 환경 파괴 논란이 뜨겁게 일고 있습니다.
<리포트>
영화 "프라미스드 랜드"는 한 천연가스 회사의 영업사원이 작은 시골 마을에서 겪는 변화를 그려내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셰일가스로 마을 발전을 시도하기 위해 한 회사원에게 셰일가스 채취권을 빌려주려고 합니다.
문제는 영화에 나오는 '프래킹'이라는 가스 채취 기법.
지하 수천 미터에 형성된 지하 퇴적암층인 셰일층에는 천연가스가 존재합니다.
프래킹은 이 셰일층까지 화공약품을 투입해 고압으로 폭파시키고, 이로 인해 발생한 균열을 통해 천연가스를 지상으로 추출하는 기술입니다.
환경단체들은 이 같은 화공약품과 가스로 인해 지하수가 오염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로이니히(프래킹 반대 환경단체) : "프래킹은 활주로 없이 날아가는 핵무기나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독일 정부는 최근 셰일가스 채굴을 계속해서 장려하겠다고 결정한 바 있습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최근 독일에서는 영화에 나오는 셰일가스의 시출 방식을 둘러싸고 환경 파괴 논란이 뜨겁게 일고 있습니다.
<리포트>
영화 "프라미스드 랜드"는 한 천연가스 회사의 영업사원이 작은 시골 마을에서 겪는 변화를 그려내고 있습니다.
주민들은 셰일가스로 마을 발전을 시도하기 위해 한 회사원에게 셰일가스 채취권을 빌려주려고 합니다.
문제는 영화에 나오는 '프래킹'이라는 가스 채취 기법.
지하 수천 미터에 형성된 지하 퇴적암층인 셰일층에는 천연가스가 존재합니다.
프래킹은 이 셰일층까지 화공약품을 투입해 고압으로 폭파시키고, 이로 인해 발생한 균열을 통해 천연가스를 지상으로 추출하는 기술입니다.
환경단체들은 이 같은 화공약품과 가스로 인해 지하수가 오염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로이니히(프래킹 반대 환경단체) : "프래킹은 활주로 없이 날아가는 핵무기나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독일 정부는 최근 셰일가스 채굴을 계속해서 장려하겠다고 결정한 바 있습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