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팬지도 재미로 어려운 퍼즐 푼다

입력 2013.02.25 (13:35) 수정 2013.02.25 (16: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간과 가장 가까운 영장류인 침팬지는 아무런 보상이 없어도 순전히 재미삼아 어려운 퍼즐 문제에 도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사이언스 데일리와 라이브사이언스 닷컴이 24일 보도했다.

영국 동물학회 과학자들은 런던 휩스네이드 동물원의 침팬지 6마리를 대상으로 퍼즐 맞추기 게임을 시켜 본 결과 침팬지들이 보상 여부에 관계없이 퍼즐을 푸는데 몰두하는 것을 발견했다고 미국영장류학회지(AJP)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의붓형제 사이인 수컷 3마리와 다른 수컷 한 마리, 암컷 두 마리로 이루어진 시험 대상 침팬지들에게 배관 파이프를 엮은 틀과 속에 든 빨간 주사위 2개로 이루어진 퍼즐 게임을 시켰다.

이 퍼즐은 배관망 사이로 빨간 주사위를 옮겨 출구 방으로 떨어뜨리는 것인데 침팬지들이 파이프 구멍 안에 막대기를 넣어 주사위의 방향을 바꿔야만 할 수 있는 것이다.

연구진은 또 하나의 퍼즐에서 주사위 대신 맛있는 브라질넛 열매를 사용했고 여기서는 떨어지는 열매를 침팬지들이 먹을 수 있도록 출구 방을 없앴다.

실험 결과 침팬지들은 보상을 받든 안 받든 문제를 푸는데 열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이에 대해 "침팬지들도 사람이 단순히 재미 삼아 두뇌 게임을 완성할 때 느끼는 것과 같은 만족감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침팬지들은 도구 사용에 관한 훈련은 받지 않은 상태였으며 평소와 같은 사회적 집단 안에서 새로운 지능 관련 문제를 자신의 선택에 따라 풀 수 있는 환경이 주어졌다. 도구로 사용된 배관은 불투명해 침팬지들은 작은 구멍 사이로만 주사위나 열매를 볼 수 있었다.

연구진은 "야생 상태의 침팬지들이었다면 이런 과제는 나무 둥치나 흰개미집 속의 곤충이나 꿀을 찾는 것과 약간 비슷한 것이지만 다른 점이 있다면 주사위가 도구에 달라붙지 않아 좀 더 힘들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즉 침팬지들은 일상생활의 일부로서 인지능력을 사용하는 도전에 나선 것이며 그 과정에서 완전히 자발적인 두뇌게임을 한 것이다.

이 연구는 침팬지도 사람처럼 보상이 없어도 문제를 풀겠다는 동기를 가지며 순전히 도전 자체를 위해 문제를 푼다는 사실, 또 보다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사회 집단 단위로 이들의 인지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 게임은 동물원이 동물들의 야생적인 행동을 독려하기 위해 개발한 강화 프로그램의 일부이다. 동물원 측은 상자 속에 맛난 먹이나 쿠션ㆍ담요 따위를 감춰 두고 침팬지들이 야생에서 하는 것처럼 먹이를 찾아 다니고 매일 밤 잠자리를 새로 만들도록 배려하고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침팬지도 재미로 어려운 퍼즐 푼다
    • 입력 2013-02-25 13:35:10
    • 수정2013-02-25 16:30:18
    연합뉴스
인간과 가장 가까운 영장류인 침팬지는 아무런 보상이 없어도 순전히 재미삼아 어려운 퍼즐 문제에 도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사이언스 데일리와 라이브사이언스 닷컴이 24일 보도했다. 영국 동물학회 과학자들은 런던 휩스네이드 동물원의 침팬지 6마리를 대상으로 퍼즐 맞추기 게임을 시켜 본 결과 침팬지들이 보상 여부에 관계없이 퍼즐을 푸는데 몰두하는 것을 발견했다고 미국영장류학회지(AJP)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의붓형제 사이인 수컷 3마리와 다른 수컷 한 마리, 암컷 두 마리로 이루어진 시험 대상 침팬지들에게 배관 파이프를 엮은 틀과 속에 든 빨간 주사위 2개로 이루어진 퍼즐 게임을 시켰다. 이 퍼즐은 배관망 사이로 빨간 주사위를 옮겨 출구 방으로 떨어뜨리는 것인데 침팬지들이 파이프 구멍 안에 막대기를 넣어 주사위의 방향을 바꿔야만 할 수 있는 것이다. 연구진은 또 하나의 퍼즐에서 주사위 대신 맛있는 브라질넛 열매를 사용했고 여기서는 떨어지는 열매를 침팬지들이 먹을 수 있도록 출구 방을 없앴다. 실험 결과 침팬지들은 보상을 받든 안 받든 문제를 푸는데 열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이에 대해 "침팬지들도 사람이 단순히 재미 삼아 두뇌 게임을 완성할 때 느끼는 것과 같은 만족감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침팬지들은 도구 사용에 관한 훈련은 받지 않은 상태였으며 평소와 같은 사회적 집단 안에서 새로운 지능 관련 문제를 자신의 선택에 따라 풀 수 있는 환경이 주어졌다. 도구로 사용된 배관은 불투명해 침팬지들은 작은 구멍 사이로만 주사위나 열매를 볼 수 있었다. 연구진은 "야생 상태의 침팬지들이었다면 이런 과제는 나무 둥치나 흰개미집 속의 곤충이나 꿀을 찾는 것과 약간 비슷한 것이지만 다른 점이 있다면 주사위가 도구에 달라붙지 않아 좀 더 힘들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즉 침팬지들은 일상생활의 일부로서 인지능력을 사용하는 도전에 나선 것이며 그 과정에서 완전히 자발적인 두뇌게임을 한 것이다. 이 연구는 침팬지도 사람처럼 보상이 없어도 문제를 풀겠다는 동기를 가지며 순전히 도전 자체를 위해 문제를 푼다는 사실, 또 보다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사회 집단 단위로 이들의 인지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 게임은 동물원이 동물들의 야생적인 행동을 독려하기 위해 개발한 강화 프로그램의 일부이다. 동물원 측은 상자 속에 맛난 먹이나 쿠션ㆍ담요 따위를 감춰 두고 침팬지들이 야생에서 하는 것처럼 먹이를 찾아 다니고 매일 밤 잠자리를 새로 만들도록 배려하고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