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임시국회 개점휴업…정부조직개편 협상 난항
입력 2013.03.09 (06:13)
수정 2013.03.09 (09: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3월 임시국회가 어제 시작됐지만, 여야의 정부조직개편 협상에 진전이 없어 개점휴업 상태입니다.
야당 대표는 개편안이 여야 합의로 처리되지 않으면 사퇴하겠다는 뜻을 내비치며 협상 타결을 종용했습니다.
보도에 김주한 기자입니다.
<리포트>
민주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여야의 정부조직법 개정 협상을 강력히 비판했습니다.
여야가 각각 새로 제시한 직권상정이나 3대 조건 모두 상대가 받을 수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대통령의 국정구상을 반영하고 방송의 공정성도 보장할 수 있는 타협안을 촉구하면서 합의 처리에 위원장직을 걸었습니다.
<녹취> 문희상(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 : "모든 책임을 지고 거취에 관한 중대 결심을 할 것을 분명히 말합니다."
여당에서도 이대론 안된다, 조금 양보해야 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녹취> 홍일표(새누리당 의원) : "집권 여당이 일부 양보해서라도 빨리 정부를 출범시키고 일을 해야 합니다."
여야는 임시국회 첫날 다시 만났지만 케이블 TV 인허가권의 소관부처를 놓고 입장차만 재확인했습니다.
<녹취> 김기현(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 : "우리가 75%를 양보했는데, 이만큼 양보했으면 이제 민주당이 양보를 해줬으면 좋겟습니다."
<녹취> 우원식(민주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 : "다음 주에는 할 겁니다. 더 늦어지면 국민적 비판이 거세질 것이기 때문에 그것도 부담이고..."
여야는 주말에도 물밑접촉을 통해 협상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청와대는 정부조직법이 개정되면 부처 이름이 바뀌는 장관 후보자 5명에게도 현 부처 장관으로 모레 임명한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주한입니다.
3월 임시국회가 어제 시작됐지만, 여야의 정부조직개편 협상에 진전이 없어 개점휴업 상태입니다.
야당 대표는 개편안이 여야 합의로 처리되지 않으면 사퇴하겠다는 뜻을 내비치며 협상 타결을 종용했습니다.
보도에 김주한 기자입니다.
<리포트>
민주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여야의 정부조직법 개정 협상을 강력히 비판했습니다.
여야가 각각 새로 제시한 직권상정이나 3대 조건 모두 상대가 받을 수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대통령의 국정구상을 반영하고 방송의 공정성도 보장할 수 있는 타협안을 촉구하면서 합의 처리에 위원장직을 걸었습니다.
<녹취> 문희상(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 : "모든 책임을 지고 거취에 관한 중대 결심을 할 것을 분명히 말합니다."
여당에서도 이대론 안된다, 조금 양보해야 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녹취> 홍일표(새누리당 의원) : "집권 여당이 일부 양보해서라도 빨리 정부를 출범시키고 일을 해야 합니다."
여야는 임시국회 첫날 다시 만났지만 케이블 TV 인허가권의 소관부처를 놓고 입장차만 재확인했습니다.
<녹취> 김기현(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 : "우리가 75%를 양보했는데, 이만큼 양보했으면 이제 민주당이 양보를 해줬으면 좋겟습니다."
<녹취> 우원식(민주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 : "다음 주에는 할 겁니다. 더 늦어지면 국민적 비판이 거세질 것이기 때문에 그것도 부담이고..."
여야는 주말에도 물밑접촉을 통해 협상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청와대는 정부조직법이 개정되면 부처 이름이 바뀌는 장관 후보자 5명에게도 현 부처 장관으로 모레 임명한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주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3월 임시국회 개점휴업…정부조직개편 협상 난항
-
- 입력 2013-03-09 08:14:26
- 수정2013-03-09 09:26:51

<앵커 멘트>
3월 임시국회가 어제 시작됐지만, 여야의 정부조직개편 협상에 진전이 없어 개점휴업 상태입니다.
야당 대표는 개편안이 여야 합의로 처리되지 않으면 사퇴하겠다는 뜻을 내비치며 협상 타결을 종용했습니다.
보도에 김주한 기자입니다.
<리포트>
민주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여야의 정부조직법 개정 협상을 강력히 비판했습니다.
여야가 각각 새로 제시한 직권상정이나 3대 조건 모두 상대가 받을 수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대통령의 국정구상을 반영하고 방송의 공정성도 보장할 수 있는 타협안을 촉구하면서 합의 처리에 위원장직을 걸었습니다.
<녹취> 문희상(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 : "모든 책임을 지고 거취에 관한 중대 결심을 할 것을 분명히 말합니다."
여당에서도 이대론 안된다, 조금 양보해야 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녹취> 홍일표(새누리당 의원) : "집권 여당이 일부 양보해서라도 빨리 정부를 출범시키고 일을 해야 합니다."
여야는 임시국회 첫날 다시 만났지만 케이블 TV 인허가권의 소관부처를 놓고 입장차만 재확인했습니다.
<녹취> 김기현(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 : "우리가 75%를 양보했는데, 이만큼 양보했으면 이제 민주당이 양보를 해줬으면 좋겟습니다."
<녹취> 우원식(민주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 : "다음 주에는 할 겁니다. 더 늦어지면 국민적 비판이 거세질 것이기 때문에 그것도 부담이고..."
여야는 주말에도 물밑접촉을 통해 협상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청와대는 정부조직법이 개정되면 부처 이름이 바뀌는 장관 후보자 5명에게도 현 부처 장관으로 모레 임명한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주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