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강도 대비, 경찰 호신용품 지급 논란

입력 2013.03.13 (21:34) 수정 2013.03.13 (21: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24시간 편의점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점점 흉포화되면서 업주와 종업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보다못한 경찰이 각 편의점에 호신용품을 지급하기 시작했는데 찬반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승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한 편의점.

흉기를 든 남성이 들어와 종업원의 목을 휘감고 금고에 든 돈을 빼앗기 시작합니다.

또 다른 편의점.

이번에는 깨진 유리병을 손에 든 남성이 여종업원을 위협한 뒤 금품을 빼앗습니다.

10대 여학생들까지 편의점 강도로 돌변했습니다.

또래 여종업원을 마구 폭행해 창고에 밀어 넣고는 금고를 털어 달아납니다.

이렇듯 편의점 범죄가 점점 더 흉포화 되자 한 경찰서가 관내 편의점에 호신용품을 무료로 나눠주기 시작했습니다.

목검이나 당구채 등을 비치해 놓고 위급 상황이 발생했을때 사용하라는 겁니다.

<인터뷰> 최병인(편의점 업주) : "호신용으로다 든든하구요. 아무래도 없을때 보다는 낫죠."

하지만, 회의적인 시각도 있습니다.

<녹취> 편의점 종업원 : "차라리 그냥 줘버리는게 낫죠. 괜히 이걸로 한번 덤볐다가 더 위험해지는것 보다."

경찰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호신용으로 지급했지만 강도를 잡거나 대항하라는 뜻은 아니라며 '신고'가 우선이라는 입장입니다.

<인터뷰> 안현주(수원중부경찰서) : "신체에 위협을 느낄 상황이 될 수도 있어서 최소한의 시민들의 생명의 방어는 할 수 있는.."

논란 속에 시행되고 있는 호신 용품 지급이 편의점 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을지 지켜볼 일 입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편의점 강도 대비, 경찰 호신용품 지급 논란
    • 입력 2013-03-13 21:34:58
    • 수정2013-03-13 21:59:43
    뉴스 9
<앵커 멘트> 24시간 편의점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점점 흉포화되면서 업주와 종업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보다못한 경찰이 각 편의점에 호신용품을 지급하기 시작했는데 찬반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승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경기도의 한 편의점. 흉기를 든 남성이 들어와 종업원의 목을 휘감고 금고에 든 돈을 빼앗기 시작합니다. 또 다른 편의점. 이번에는 깨진 유리병을 손에 든 남성이 여종업원을 위협한 뒤 금품을 빼앗습니다. 10대 여학생들까지 편의점 강도로 돌변했습니다. 또래 여종업원을 마구 폭행해 창고에 밀어 넣고는 금고를 털어 달아납니다. 이렇듯 편의점 범죄가 점점 더 흉포화 되자 한 경찰서가 관내 편의점에 호신용품을 무료로 나눠주기 시작했습니다. 목검이나 당구채 등을 비치해 놓고 위급 상황이 발생했을때 사용하라는 겁니다. <인터뷰> 최병인(편의점 업주) : "호신용으로다 든든하구요. 아무래도 없을때 보다는 낫죠." 하지만, 회의적인 시각도 있습니다. <녹취> 편의점 종업원 : "차라리 그냥 줘버리는게 낫죠. 괜히 이걸로 한번 덤볐다가 더 위험해지는것 보다." 경찰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호신용으로 지급했지만 강도를 잡거나 대항하라는 뜻은 아니라며 '신고'가 우선이라는 입장입니다. <인터뷰> 안현주(수원중부경찰서) : "신체에 위협을 느낄 상황이 될 수도 있어서 최소한의 시민들의 생명의 방어는 할 수 있는.." 논란 속에 시행되고 있는 호신 용품 지급이 편의점 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을지 지켜볼 일 입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