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간척지 ‘람사르 등재 추진’

입력 2013.03.18 (07:41) 수정 2013.03.18 (07: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철새 도래지로 유명한 시화호 일대에서는 멸종위기종 노랑부리 저어새와 큰기러기 등이 한 데 모여 북쪽으로 떠날 채비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야생조류의 천국인 이곳을 국제 습지협회 람사르에 등록하자는 움직임이 지자체를 중심으로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나신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겨울 끝자락, 시화간척지 습지 한쪽에 하얀 새들이 모여듭니다.

멸종위기종 1급 노랑부리저어새입니다.

60여 마리가 무사히 겨울을 났습니다.

갈대밭에 숨어 있는 흑갈색 머리의 새들, 멸종위기종 큰기러기입니다.

<인터뷰> 최종인(안산시 환경정책과 시화호 지킴이) : "2,3년전부터 개체수가 종류도 다양해지고 많은 개체수가 시화호 인근을 찾고 있습니다."

지난 여름엔 저어새 340여 마리가 찾아와 장관을 이뤘습니다.

수생식물과 물고기 등 먹이가 풍푸해진 덕분입니다.

이곳에 서식하는 새는 법정 보호종 20여 종 등 180여 종에 이릅니다.

야생조류 천국으로 거듭난 이곳은 갖가지 개발압력에 직면해 있습니다. 효과적인 보호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해당 지자체는 법정보호지역으로 만들기 위해 첫 생태환경 조사를 벌이기로 결정했습니다.

<인터뷰> 김철민(안산시장) :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은 국내 습지보전지역으로 지정해나가고, 향후에 람사르 습지 등록도 검토할 계획입니다."

생태 피난처로 자리잡은 시화간척지 습지, 어떻게 지켜갈지는 사람에게 달려 있습니다.

KBS뉴스 나신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화간척지 ‘람사르 등재 추진’
    • 입력 2013-03-18 07:43:44
    • 수정2013-03-18 07:57:34
    뉴스광장
<앵커 멘트> 철새 도래지로 유명한 시화호 일대에서는 멸종위기종 노랑부리 저어새와 큰기러기 등이 한 데 모여 북쪽으로 떠날 채비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야생조류의 천국인 이곳을 국제 습지협회 람사르에 등록하자는 움직임이 지자체를 중심으로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나신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겨울 끝자락, 시화간척지 습지 한쪽에 하얀 새들이 모여듭니다. 멸종위기종 1급 노랑부리저어새입니다. 60여 마리가 무사히 겨울을 났습니다. 갈대밭에 숨어 있는 흑갈색 머리의 새들, 멸종위기종 큰기러기입니다. <인터뷰> 최종인(안산시 환경정책과 시화호 지킴이) : "2,3년전부터 개체수가 종류도 다양해지고 많은 개체수가 시화호 인근을 찾고 있습니다." 지난 여름엔 저어새 340여 마리가 찾아와 장관을 이뤘습니다. 수생식물과 물고기 등 먹이가 풍푸해진 덕분입니다. 이곳에 서식하는 새는 법정 보호종 20여 종 등 180여 종에 이릅니다. 야생조류 천국으로 거듭난 이곳은 갖가지 개발압력에 직면해 있습니다. 효과적인 보호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해당 지자체는 법정보호지역으로 만들기 위해 첫 생태환경 조사를 벌이기로 결정했습니다. <인터뷰> 김철민(안산시장) :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은 국내 습지보전지역으로 지정해나가고, 향후에 람사르 습지 등록도 검토할 계획입니다." 생태 피난처로 자리잡은 시화간척지 습지, 어떻게 지켜갈지는 사람에게 달려 있습니다. KBS뉴스 나신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