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말부터 끊겼던 부산∼제주 바닷길이 다시 열린다.
부산지방해양항만청은 지난해 5월 말 이후 운항이 중단됐던 부산∼제주 항로 카페리운항이 19일부터 재개된다고 13일 밝혔다.
이 항로에는 ㈜에스케이훼리의 서경파라다이스호(6천626t)와 서경아일랜드호(5천223t) 등 배 2척이 운항된다.
19일부터 운항하는 서경파라다이스호는 월·수·금요일 오후 7시 부산을 출발한다. 17노트 정도의 속력으로 운항해 제주까지는 11시간 정도가 걸린다.
23일부터 운항하는 서경아일랜드호는 화·목·토요일 오후 7시 부산에서 출발한다. 속도와 운항시간은 서경파라다이스호와 비슷하다.
여객정원은 서경파라다이스 613명, 서경아일랜드는 880명이며 차량은 300대 정도 실을 수 있다.
부산∼제주 항로는 지난해 5월 말 코지아일랜드호의 마지막 운항을 끝으로 운항이 중단돼왔다.
㈜에스케이훼리가 지난해 10월 23일 부산지방해양항만청으로부터 조건부면허를 받고 올해 4월 취항을 목표로 여객선 확보 등 운항준비를 해왔다.
1년 만에 부산∼제주 항로에 여객선이 다시 취항함으로써 제주로 가는 단체여행객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과 제주를 오가는 화물운송 적체현상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제주도로 차량을 운송하려면 목포나 삼천포까지 가야 했던 불편이 없어질 것으로 부산해항청은 기대했다.
부산지방해양항만청은 지난해 5월 말 이후 운항이 중단됐던 부산∼제주 항로 카페리운항이 19일부터 재개된다고 13일 밝혔다.
이 항로에는 ㈜에스케이훼리의 서경파라다이스호(6천626t)와 서경아일랜드호(5천223t) 등 배 2척이 운항된다.
19일부터 운항하는 서경파라다이스호는 월·수·금요일 오후 7시 부산을 출발한다. 17노트 정도의 속력으로 운항해 제주까지는 11시간 정도가 걸린다.
23일부터 운항하는 서경아일랜드호는 화·목·토요일 오후 7시 부산에서 출발한다. 속도와 운항시간은 서경파라다이스호와 비슷하다.
여객정원은 서경파라다이스 613명, 서경아일랜드는 880명이며 차량은 300대 정도 실을 수 있다.
부산∼제주 항로는 지난해 5월 말 코지아일랜드호의 마지막 운항을 끝으로 운항이 중단돼왔다.
㈜에스케이훼리가 지난해 10월 23일 부산지방해양항만청으로부터 조건부면허를 받고 올해 4월 취항을 목표로 여객선 확보 등 운항준비를 해왔다.
1년 만에 부산∼제주 항로에 여객선이 다시 취항함으로써 제주로 가는 단체여행객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과 제주를 오가는 화물운송 적체현상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제주도로 차량을 운송하려면 목포나 삼천포까지 가야 했던 불편이 없어질 것으로 부산해항청은 기대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산∼제주 뱃길, 1년 만에 다시 열린다
-
- 입력 2013-04-13 07:23:13
지난해 5월 말부터 끊겼던 부산∼제주 바닷길이 다시 열린다.
부산지방해양항만청은 지난해 5월 말 이후 운항이 중단됐던 부산∼제주 항로 카페리운항이 19일부터 재개된다고 13일 밝혔다.
이 항로에는 ㈜에스케이훼리의 서경파라다이스호(6천626t)와 서경아일랜드호(5천223t) 등 배 2척이 운항된다.
19일부터 운항하는 서경파라다이스호는 월·수·금요일 오후 7시 부산을 출발한다. 17노트 정도의 속력으로 운항해 제주까지는 11시간 정도가 걸린다.
23일부터 운항하는 서경아일랜드호는 화·목·토요일 오후 7시 부산에서 출발한다. 속도와 운항시간은 서경파라다이스호와 비슷하다.
여객정원은 서경파라다이스 613명, 서경아일랜드는 880명이며 차량은 300대 정도 실을 수 있다.
부산∼제주 항로는 지난해 5월 말 코지아일랜드호의 마지막 운항을 끝으로 운항이 중단돼왔다.
㈜에스케이훼리가 지난해 10월 23일 부산지방해양항만청으로부터 조건부면허를 받고 올해 4월 취항을 목표로 여객선 확보 등 운항준비를 해왔다.
1년 만에 부산∼제주 항로에 여객선이 다시 취항함으로써 제주로 가는 단체여행객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과 제주를 오가는 화물운송 적체현상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제주도로 차량을 운송하려면 목포나 삼천포까지 가야 했던 불편이 없어질 것으로 부산해항청은 기대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