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교저수지 둘레길 조성
입력 2013.04.29 (07:42)
수정 2013.04.29 (08: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 수원 광교산 다녀오신 분들, 혹시 광교저수지에 새로 생긴 둘레길 걸어보셨습니까.
저수지 가장자리를 따라 산책길이 생겼는데, 규제만 많던 상수원보호구역이 친환경적인 시민공간으로 탈바꿈했습니다.
송명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기 남부의 허파로 불리는 광교산 자락에 있는 광교저수지.
벚꽃이 흐드러진 가장자리를 따라 새 산책길이 생겼습니다.
자동차와 나란히 걷던 등산객들은 새로 생긴 둘레길이 그저 반갑습니다.
<인터뷰> 김연순(경기도 화성시 병점동) : "딱딱한 도로변을 걷는 것보다 이 목조로 된 꽃 터널을 걷는 기분은 비교할 수가 없지요.더군다나 물가 바로 옆에서.."
1.5 킬로미터 길이에, 저수지를 낀 광교산의 풍광을 더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전망데크, 아치형 다리는 산책로의 조형미를 더했습니다.
<인터뷰> 서병수(수원시 장안구청 과장) : "친환경적인 목재를 이용해서 수변과 광교산을 가까이에서 조망할 수 있도록 설계를 했습니다"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규제만 많던 곳이 두 달여 만에 시민의 공간으로 다시 태어난 겁니다.
20년 이상 된 수백 그루의 벚꽃과 함께 다양한 꽃과 나무를 심어 등산객들이 사계절 내내 꽃을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수원시는 기존의 인도를 자전거 도로로 조성한 뒤 도로와 산책로를 구분해 안전사고도 줄일 계획입니다.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최근 수원 광교산 다녀오신 분들, 혹시 광교저수지에 새로 생긴 둘레길 걸어보셨습니까.
저수지 가장자리를 따라 산책길이 생겼는데, 규제만 많던 상수원보호구역이 친환경적인 시민공간으로 탈바꿈했습니다.
송명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기 남부의 허파로 불리는 광교산 자락에 있는 광교저수지.
벚꽃이 흐드러진 가장자리를 따라 새 산책길이 생겼습니다.
자동차와 나란히 걷던 등산객들은 새로 생긴 둘레길이 그저 반갑습니다.
<인터뷰> 김연순(경기도 화성시 병점동) : "딱딱한 도로변을 걷는 것보다 이 목조로 된 꽃 터널을 걷는 기분은 비교할 수가 없지요.더군다나 물가 바로 옆에서.."
1.5 킬로미터 길이에, 저수지를 낀 광교산의 풍광을 더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전망데크, 아치형 다리는 산책로의 조형미를 더했습니다.
<인터뷰> 서병수(수원시 장안구청 과장) : "친환경적인 목재를 이용해서 수변과 광교산을 가까이에서 조망할 수 있도록 설계를 했습니다"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규제만 많던 곳이 두 달여 만에 시민의 공간으로 다시 태어난 겁니다.
20년 이상 된 수백 그루의 벚꽃과 함께 다양한 꽃과 나무를 심어 등산객들이 사계절 내내 꽃을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수원시는 기존의 인도를 자전거 도로로 조성한 뒤 도로와 산책로를 구분해 안전사고도 줄일 계획입니다.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광교저수지 둘레길 조성
-
- 입력 2013-04-29 07:48:16
- 수정2013-04-29 08:03:49

<앵커 멘트>
최근 수원 광교산 다녀오신 분들, 혹시 광교저수지에 새로 생긴 둘레길 걸어보셨습니까.
저수지 가장자리를 따라 산책길이 생겼는데, 규제만 많던 상수원보호구역이 친환경적인 시민공간으로 탈바꿈했습니다.
송명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기 남부의 허파로 불리는 광교산 자락에 있는 광교저수지.
벚꽃이 흐드러진 가장자리를 따라 새 산책길이 생겼습니다.
자동차와 나란히 걷던 등산객들은 새로 생긴 둘레길이 그저 반갑습니다.
<인터뷰> 김연순(경기도 화성시 병점동) : "딱딱한 도로변을 걷는 것보다 이 목조로 된 꽃 터널을 걷는 기분은 비교할 수가 없지요.더군다나 물가 바로 옆에서.."
1.5 킬로미터 길이에, 저수지를 낀 광교산의 풍광을 더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전망데크, 아치형 다리는 산책로의 조형미를 더했습니다.
<인터뷰> 서병수(수원시 장안구청 과장) : "친환경적인 목재를 이용해서 수변과 광교산을 가까이에서 조망할 수 있도록 설계를 했습니다"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규제만 많던 곳이 두 달여 만에 시민의 공간으로 다시 태어난 겁니다.
20년 이상 된 수백 그루의 벚꽃과 함께 다양한 꽃과 나무를 심어 등산객들이 사계절 내내 꽃을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수원시는 기존의 인도를 자전거 도로로 조성한 뒤 도로와 산책로를 구분해 안전사고도 줄일 계획입니다.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최근 수원 광교산 다녀오신 분들, 혹시 광교저수지에 새로 생긴 둘레길 걸어보셨습니까.
저수지 가장자리를 따라 산책길이 생겼는데, 규제만 많던 상수원보호구역이 친환경적인 시민공간으로 탈바꿈했습니다.
송명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기 남부의 허파로 불리는 광교산 자락에 있는 광교저수지.
벚꽃이 흐드러진 가장자리를 따라 새 산책길이 생겼습니다.
자동차와 나란히 걷던 등산객들은 새로 생긴 둘레길이 그저 반갑습니다.
<인터뷰> 김연순(경기도 화성시 병점동) : "딱딱한 도로변을 걷는 것보다 이 목조로 된 꽃 터널을 걷는 기분은 비교할 수가 없지요.더군다나 물가 바로 옆에서.."
1.5 킬로미터 길이에, 저수지를 낀 광교산의 풍광을 더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전망데크, 아치형 다리는 산책로의 조형미를 더했습니다.
<인터뷰> 서병수(수원시 장안구청 과장) : "친환경적인 목재를 이용해서 수변과 광교산을 가까이에서 조망할 수 있도록 설계를 했습니다"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규제만 많던 곳이 두 달여 만에 시민의 공간으로 다시 태어난 겁니다.
20년 이상 된 수백 그루의 벚꽃과 함께 다양한 꽃과 나무를 심어 등산객들이 사계절 내내 꽃을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수원시는 기존의 인도를 자전거 도로로 조성한 뒤 도로와 산책로를 구분해 안전사고도 줄일 계획입니다.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
-
송명희 기자 thimble@kbs.co.kr
송명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