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헌법 개정 시동…아베 “개헌은 우리 일”
입력 2013.05.02 (19:02)
수정 2013.05.02 (20: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일본 정치권의 이른바 평화 헌법 개정 추진이 예상을 뛰어넘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주변국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아베 총리는 헌법 개정은 자신들의 일이니 상관 말라는 태도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이효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현재의 일본 헌법은 1945년 일제 패망 이후 만들어졌습니다.
이른바 평화헌법으로 불리는 이 헌법 제9조는 무력행사를 포기하고, 군대를 보유하지 않으며, 교전권도 인정하지 않음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 집권 자민당은 국가 안전을 지킨다는 명분으로 군을 보유할 수 있도록 헌법 9조 개정 계획을 세웠습니다.
<녹취> 이시바(자민당 간사장) : "(헌법에는) 국가가 위태로울 때 나라를 지키는 조직이 무엇인지가 정확하게 적혀있는 않으면 안 됩니다."
집권 자민당은 오는 7월 참의원 선거의 핵심 공약으로 헌법 개정을 내걸 예정입니다.
아베 총리는 이 선거 후 국민투표 제도를 정비한 뒤 개헌에 착수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일본의 개헌 추진에 한국과 중국이 반발하자. 아베 일본 총리는 헌법 개정은 자신들의 일이라며 신경쓰지 않겠다는 반응을 내놨습니다.
한국과 중국의 반발이 거센 가운데 워싱턴에 주재하고 있는 중국 대사는 미국의 적극적 역할을 주문했습니다.
일본 내 국수주의 움직임에 미국이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고 중국 외교부도 일본 정치인들의 야스쿠니 신사참배를 거론하며 미국의 주의를 환기시켰습니다.
KBS 뉴스 이효연입니다.
일본 정치권의 이른바 평화 헌법 개정 추진이 예상을 뛰어넘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주변국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아베 총리는 헌법 개정은 자신들의 일이니 상관 말라는 태도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이효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현재의 일본 헌법은 1945년 일제 패망 이후 만들어졌습니다.
이른바 평화헌법으로 불리는 이 헌법 제9조는 무력행사를 포기하고, 군대를 보유하지 않으며, 교전권도 인정하지 않음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 집권 자민당은 국가 안전을 지킨다는 명분으로 군을 보유할 수 있도록 헌법 9조 개정 계획을 세웠습니다.
<녹취> 이시바(자민당 간사장) : "(헌법에는) 국가가 위태로울 때 나라를 지키는 조직이 무엇인지가 정확하게 적혀있는 않으면 안 됩니다."
집권 자민당은 오는 7월 참의원 선거의 핵심 공약으로 헌법 개정을 내걸 예정입니다.
아베 총리는 이 선거 후 국민투표 제도를 정비한 뒤 개헌에 착수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일본의 개헌 추진에 한국과 중국이 반발하자. 아베 일본 총리는 헌법 개정은 자신들의 일이라며 신경쓰지 않겠다는 반응을 내놨습니다.
한국과 중국의 반발이 거센 가운데 워싱턴에 주재하고 있는 중국 대사는 미국의 적극적 역할을 주문했습니다.
일본 내 국수주의 움직임에 미국이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고 중국 외교부도 일본 정치인들의 야스쿠니 신사참배를 거론하며 미국의 주의를 환기시켰습니다.
KBS 뉴스 이효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日 헌법 개정 시동…아베 “개헌은 우리 일”
-
- 입력 2013-05-02 19:12:39
- 수정2013-05-02 20:31:18

<앵커 멘트>
일본 정치권의 이른바 평화 헌법 개정 추진이 예상을 뛰어넘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주변국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아베 총리는 헌법 개정은 자신들의 일이니 상관 말라는 태도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이효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현재의 일본 헌법은 1945년 일제 패망 이후 만들어졌습니다.
이른바 평화헌법으로 불리는 이 헌법 제9조는 무력행사를 포기하고, 군대를 보유하지 않으며, 교전권도 인정하지 않음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 집권 자민당은 국가 안전을 지킨다는 명분으로 군을 보유할 수 있도록 헌법 9조 개정 계획을 세웠습니다.
<녹취> 이시바(자민당 간사장) : "(헌법에는) 국가가 위태로울 때 나라를 지키는 조직이 무엇인지가 정확하게 적혀있는 않으면 안 됩니다."
집권 자민당은 오는 7월 참의원 선거의 핵심 공약으로 헌법 개정을 내걸 예정입니다.
아베 총리는 이 선거 후 국민투표 제도를 정비한 뒤 개헌에 착수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일본의 개헌 추진에 한국과 중국이 반발하자. 아베 일본 총리는 헌법 개정은 자신들의 일이라며 신경쓰지 않겠다는 반응을 내놨습니다.
한국과 중국의 반발이 거센 가운데 워싱턴에 주재하고 있는 중국 대사는 미국의 적극적 역할을 주문했습니다.
일본 내 국수주의 움직임에 미국이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고 중국 외교부도 일본 정치인들의 야스쿠니 신사참배를 거론하며 미국의 주의를 환기시켰습니다.
KBS 뉴스 이효연입니다.
일본 정치권의 이른바 평화 헌법 개정 추진이 예상을 뛰어넘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주변국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아베 총리는 헌법 개정은 자신들의 일이니 상관 말라는 태도까지 보이고 있습니다.
이효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현재의 일본 헌법은 1945년 일제 패망 이후 만들어졌습니다.
이른바 평화헌법으로 불리는 이 헌법 제9조는 무력행사를 포기하고, 군대를 보유하지 않으며, 교전권도 인정하지 않음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 집권 자민당은 국가 안전을 지킨다는 명분으로 군을 보유할 수 있도록 헌법 9조 개정 계획을 세웠습니다.
<녹취> 이시바(자민당 간사장) : "(헌법에는) 국가가 위태로울 때 나라를 지키는 조직이 무엇인지가 정확하게 적혀있는 않으면 안 됩니다."
집권 자민당은 오는 7월 참의원 선거의 핵심 공약으로 헌법 개정을 내걸 예정입니다.
아베 총리는 이 선거 후 국민투표 제도를 정비한 뒤 개헌에 착수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일본의 개헌 추진에 한국과 중국이 반발하자. 아베 일본 총리는 헌법 개정은 자신들의 일이라며 신경쓰지 않겠다는 반응을 내놨습니다.
한국과 중국의 반발이 거센 가운데 워싱턴에 주재하고 있는 중국 대사는 미국의 적극적 역할을 주문했습니다.
일본 내 국수주의 움직임에 미국이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고 중국 외교부도 일본 정치인들의 야스쿠니 신사참배를 거론하며 미국의 주의를 환기시켰습니다.
KBS 뉴스 이효연입니다.
-
-
이효연 기자 belle@kbs.co.kr
이효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