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철의 신문 브리핑] 대기업 직원·아나운서도 토익·텝스 시험서 부정 저질러 外

입력 2013.05.03 (06:30) 수정 2013.05.03 (07: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먼저 오늘의 신문 헤드라인 보시겠습니다.

조선일보입니다.

"대기업 직원도, 아나운서도 토익, 텝스 시험에서 부정을 저질렀다"는 기삽니다.

서울 관악경찰서는 지난달 토익과 텝스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의뢰한 혐의로 입건된 50여 명의 피의자 가운데는 명문대생과 로스쿨생도 있다고 밝혔으며, SAT 국내 시험이 취소돼, 한국이 '시험 부정의 나라'라는 오명을 얻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중앙일보는 양도세 감면 법안 등 19대 국회의 4개 법안에 대한 표결을 분석한 결과, 국회의원 절반 가까이가, 당론과는 다른 표결을 해 사실상 '자율투표' 바람이 불고 있으며, 이는 국회의원들이 당론보다는 자신의 지역구에 더 신경 쓰고 강한 카리스마의 1인이 지배하던 정당 구조가 붕괴된 영향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동아일보는 정년이 60세로 연장돼도, 직장인들이 명퇴 압박을 받으면 "정말 60세까지 회사를 다닐 수 있을까"라는기사에서 기업의 부담을 늘리지 않으면서도 더 일할 기회를 줄 수 있는 해법을 찾아야 정년 연장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한겨레신문은 상업지역과 주거지역 편의점들도 하루 평균 매출액이 100만 원이 안 된다는 조사 결과를 다룬 헤드라인에서 하루 100만 원의 매출일 경우 공정거래위원회의 계산법에 따르면 월 39만 원의 순수익이 남는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일보는 정부가 한반도 안보 위기에 따른 국가 신인도 하락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지난달 미국의 무디스 등 세계 3대 신용평가기관에 대표단을 이례적으로 급파했으며, 비공개로 진행된 설명회에서 이들은 한반도 리스크를 크게 우려했다고 전했습니다.

매일경제신문은 지난 4.1 부동산 대책에서 소외됐던 신축 주거용 오피스텔과 본인이 지은 단독주택도 앞으로 5년 동안 양도소득세 100%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고 보도했습니다.

감면 조건은 전용 면적 85제곱미터 이하, 또는 매매가 6억 원 이하로 지난달 1일부터 올해 말까지 계약하거나 사용 승인을 받은 물량입니다.

다음은 신문 사설 보시겠습니다.

먼저 조선일보입니다.

조선일보는 "정부의 단발성 규제 완화론 기업의 투자 붐 일으킬 수 없다"는 사설을 보도했습니다.

중앙일보는 "여야와 정부는 추경예산안을 6일까지 서둘러 처리하라"

동아일보는 "백년전쟁의 왜곡을 대한민국의 정사로 만들 순 없다"

경향 신문은 "아베의 일본이 정상 국가가 될 수 없는 이유"

서울신문은 "정부는 60세 정년 연장의 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한 보완책을 서둘러라"는 사설을 실었습니다.

다음은 눈길 가는 기삽니다.

중앙일보는, 한 다이버가 경북 포항시 감포 앞바다에서 발견한 금속 물체가, 신라시대에 주조됐다가 몽고군이 원나라로 가져가려다 바다에 빠뜨렸다는 황룡사 대종이라고 주장해, 문화재청이 수색하고 있다는 기사를 실었습니다.

또 이 종은, 임진왜란 때 왜군이 훔친 감은사 대종이라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조선일보는 3,40대 젊은 부부 8쌍이 자녀 교육을 위해 만든 소나무 마을을 소개했습니다.

2010년 인터넷에서 '아이들이 학원과 성적 걱정 없이 자연에서 자랐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공감한 부부들이 충남 아산 시골마을에 만든 이 공동체 마을은, 한때 폐교 위기에 몰렸던 지역 초등학교까지 살리며 전원생활에 푹 빠져 있다고 전했습니다.

지금까지 신문 브리핑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인철의 신문 브리핑] 대기업 직원·아나운서도 토익·텝스 시험서 부정 저질러 外
    • 입력 2013-05-03 06:39:11
    • 수정2013-05-03 07:17:51
    뉴스광장 1부
안녕하십니까.

먼저 오늘의 신문 헤드라인 보시겠습니다.

조선일보입니다.

"대기업 직원도, 아나운서도 토익, 텝스 시험에서 부정을 저질렀다"는 기삽니다.

서울 관악경찰서는 지난달 토익과 텝스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의뢰한 혐의로 입건된 50여 명의 피의자 가운데는 명문대생과 로스쿨생도 있다고 밝혔으며, SAT 국내 시험이 취소돼, 한국이 '시험 부정의 나라'라는 오명을 얻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중앙일보는 양도세 감면 법안 등 19대 국회의 4개 법안에 대한 표결을 분석한 결과, 국회의원 절반 가까이가, 당론과는 다른 표결을 해 사실상 '자율투표' 바람이 불고 있으며, 이는 국회의원들이 당론보다는 자신의 지역구에 더 신경 쓰고 강한 카리스마의 1인이 지배하던 정당 구조가 붕괴된 영향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동아일보는 정년이 60세로 연장돼도, 직장인들이 명퇴 압박을 받으면 "정말 60세까지 회사를 다닐 수 있을까"라는기사에서 기업의 부담을 늘리지 않으면서도 더 일할 기회를 줄 수 있는 해법을 찾아야 정년 연장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한겨레신문은 상업지역과 주거지역 편의점들도 하루 평균 매출액이 100만 원이 안 된다는 조사 결과를 다룬 헤드라인에서 하루 100만 원의 매출일 경우 공정거래위원회의 계산법에 따르면 월 39만 원의 순수익이 남는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일보는 정부가 한반도 안보 위기에 따른 국가 신인도 하락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지난달 미국의 무디스 등 세계 3대 신용평가기관에 대표단을 이례적으로 급파했으며, 비공개로 진행된 설명회에서 이들은 한반도 리스크를 크게 우려했다고 전했습니다.

매일경제신문은 지난 4.1 부동산 대책에서 소외됐던 신축 주거용 오피스텔과 본인이 지은 단독주택도 앞으로 5년 동안 양도소득세 100%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고 보도했습니다.

감면 조건은 전용 면적 85제곱미터 이하, 또는 매매가 6억 원 이하로 지난달 1일부터 올해 말까지 계약하거나 사용 승인을 받은 물량입니다.

다음은 신문 사설 보시겠습니다.

먼저 조선일보입니다.

조선일보는 "정부의 단발성 규제 완화론 기업의 투자 붐 일으킬 수 없다"는 사설을 보도했습니다.

중앙일보는 "여야와 정부는 추경예산안을 6일까지 서둘러 처리하라"

동아일보는 "백년전쟁의 왜곡을 대한민국의 정사로 만들 순 없다"

경향 신문은 "아베의 일본이 정상 국가가 될 수 없는 이유"

서울신문은 "정부는 60세 정년 연장의 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한 보완책을 서둘러라"는 사설을 실었습니다.

다음은 눈길 가는 기삽니다.

중앙일보는, 한 다이버가 경북 포항시 감포 앞바다에서 발견한 금속 물체가, 신라시대에 주조됐다가 몽고군이 원나라로 가져가려다 바다에 빠뜨렸다는 황룡사 대종이라고 주장해, 문화재청이 수색하고 있다는 기사를 실었습니다.

또 이 종은, 임진왜란 때 왜군이 훔친 감은사 대종이라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조선일보는 3,40대 젊은 부부 8쌍이 자녀 교육을 위해 만든 소나무 마을을 소개했습니다.

2010년 인터넷에서 '아이들이 학원과 성적 걱정 없이 자연에서 자랐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공감한 부부들이 충남 아산 시골마을에 만든 이 공동체 마을은, 한때 폐교 위기에 몰렸던 지역 초등학교까지 살리며 전원생활에 푹 빠져 있다고 전했습니다.

지금까지 신문 브리핑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