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수수료 챙겨 떼돈 벌었다

입력 2001.11.28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시중 은행들이 올해 신용카드 등 각종 수수료 명목으로 고객들로부터 떼돈을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재호 기자입니다.
⊙기자: 은행들이 사상 최대 규모의 이익을 냈습니다.
올 들어 지난 9달 동안 전국 22개 은행들이 남긴 순이익은 4조 3800억원이 넘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배나 많아졌습니다.
⊙최태문(금융감독원 은행경영분석팀장): 구조조정으로 체질이 향상된 데다 대출금 이자와 신용카드 수수료 등 이자수입이 대폭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기자: 대출이자 같은 이자수익이 10% 이상 늘었고 새로 만들거나 경쟁적으로 올린 각종 수수료 수익도 44%나 증가했습니다.
특히 신용카드 관련 수수료에서만 61%가 급증한 3조 2731억원을 벌어들였습니다.
⊙박영종(은행고객): 은행만 가면 뭐든지 다 수수료를 내라고 그러니까 진짜 돈만 해도 만만치가 않아요.
⊙최해숙(은행 고객): 바깥에 일보는 게 있거든요, 제가.
그런 일을 할 때 송금을 많이 해요.
그런 경우에는 비싸다고 느끼죠, 부담도 되고.
⊙기자: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익인 예대마진도 3% 이상으로 커졌습니다.
올 들어 예금금리와 대출금리가 함께 내리고는 있지만 예금금리의 하락폭이 더 크기 때문에 예대마진은 오히려 늘고 있는 것입니다.
⊙권영준(경실련 금융개혁위원장): 소비자들에게 지나친 경쟁을 통해서 소비자 금융을 치중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일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기자: 은행들은 당분간 안정된 이자수익을 바탕으로 수수료 수입이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KBS뉴스 한재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은행, 수수료 챙겨 떼돈 벌었다
    • 입력 2001-11-2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시중 은행들이 올해 신용카드 등 각종 수수료 명목으로 고객들로부터 떼돈을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재호 기자입니다. ⊙기자: 은행들이 사상 최대 규모의 이익을 냈습니다. 올 들어 지난 9달 동안 전국 22개 은행들이 남긴 순이익은 4조 3800억원이 넘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배나 많아졌습니다. ⊙최태문(금융감독원 은행경영분석팀장): 구조조정으로 체질이 향상된 데다 대출금 이자와 신용카드 수수료 등 이자수입이 대폭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기자: 대출이자 같은 이자수익이 10% 이상 늘었고 새로 만들거나 경쟁적으로 올린 각종 수수료 수익도 44%나 증가했습니다. 특히 신용카드 관련 수수료에서만 61%가 급증한 3조 2731억원을 벌어들였습니다. ⊙박영종(은행고객): 은행만 가면 뭐든지 다 수수료를 내라고 그러니까 진짜 돈만 해도 만만치가 않아요. ⊙최해숙(은행 고객): 바깥에 일보는 게 있거든요, 제가. 그런 일을 할 때 송금을 많이 해요. 그런 경우에는 비싸다고 느끼죠, 부담도 되고. ⊙기자: 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익인 예대마진도 3% 이상으로 커졌습니다. 올 들어 예금금리와 대출금리가 함께 내리고는 있지만 예금금리의 하락폭이 더 크기 때문에 예대마진은 오히려 늘고 있는 것입니다. ⊙권영준(경실련 금융개혁위원장): 소비자들에게 지나친 경쟁을 통해서 소비자 금융을 치중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일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기자: 은행들은 당분간 안정된 이자수익을 바탕으로 수수료 수입이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KBS뉴스 한재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