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신소재’ 탄소섬유 국내 첫 양산 돌입
입력 2013.05.13 (21:40)
수정 2013.05.13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강철보다 10배나 강해 꿈의 소재라 불리는 고성능의 탄소섬유가 국내 기술로 개발돼 대량 생산에 들어갔습니다.
그동안 수입에만 의존해왔는데 이젠 수출길도 열리게 됐습니다.
김정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철사로 차량을 연결해 끌자 금새 끊어집니다.
하지만 비슷한 굵기의 실다발을 연결하자 차량이 쉽게 끌려옵니다.
탄소 섬유입니다.
이 첨단 소재의 강도는 얼마나 될까?
철사는 1제곱 밀리미터당 50킬로그램이 채 안되는 힘에 끊어졌지만, 탄소섬유는 500킬로그램이 넘는 하중까지 견딥니다.
이 탄소섬유는 강철보다 5배 가볍지만 강도는 10배나 강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열성도 강해 항공기,자동차부터 자전거 등 레저용품까지 쓰임새가 크게 확대되는 추셉니다.
<녹취> 정재호(효성기술원 연구원) : "연비 규제, 이산화탄소 배출문제 때문에 어떻게 해서든지 무게를 가볍게 하려고 하는데 탄소 섬유는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는 장점이 가장 높은 소재입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필요한 연간 3천 톤을 전량 수입에 의존해왔는데 이번에 처음 개발에 성공해, 이 분야 절대 강자인 일본에 도전장을 던졌습니다.
현재 20억 달러 규모의 세계 고강도 탄소 섬유 시장은 2020년, 50억 달러까지 크게 늘어날 전망입니다.
이번 기술 개발로 이 분야 후발 주자였던 우리 기술력은 세계 최고의 60% 수준까지 따라 잡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KBS 뉴스 김정환입니다.
강철보다 10배나 강해 꿈의 소재라 불리는 고성능의 탄소섬유가 국내 기술로 개발돼 대량 생산에 들어갔습니다.
그동안 수입에만 의존해왔는데 이젠 수출길도 열리게 됐습니다.
김정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철사로 차량을 연결해 끌자 금새 끊어집니다.
하지만 비슷한 굵기의 실다발을 연결하자 차량이 쉽게 끌려옵니다.
탄소 섬유입니다.
이 첨단 소재의 강도는 얼마나 될까?
철사는 1제곱 밀리미터당 50킬로그램이 채 안되는 힘에 끊어졌지만, 탄소섬유는 500킬로그램이 넘는 하중까지 견딥니다.
이 탄소섬유는 강철보다 5배 가볍지만 강도는 10배나 강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열성도 강해 항공기,자동차부터 자전거 등 레저용품까지 쓰임새가 크게 확대되는 추셉니다.
<녹취> 정재호(효성기술원 연구원) : "연비 규제, 이산화탄소 배출문제 때문에 어떻게 해서든지 무게를 가볍게 하려고 하는데 탄소 섬유는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는 장점이 가장 높은 소재입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필요한 연간 3천 톤을 전량 수입에 의존해왔는데 이번에 처음 개발에 성공해, 이 분야 절대 강자인 일본에 도전장을 던졌습니다.
현재 20억 달러 규모의 세계 고강도 탄소 섬유 시장은 2020년, 50억 달러까지 크게 늘어날 전망입니다.
이번 기술 개발로 이 분야 후발 주자였던 우리 기술력은 세계 최고의 60% 수준까지 따라 잡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KBS 뉴스 김정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꿈의 신소재’ 탄소섬유 국내 첫 양산 돌입
-
- 입력 2013-05-13 21:40:16
- 수정2013-05-13 22:02:21

<앵커 멘트>
강철보다 10배나 강해 꿈의 소재라 불리는 고성능의 탄소섬유가 국내 기술로 개발돼 대량 생산에 들어갔습니다.
그동안 수입에만 의존해왔는데 이젠 수출길도 열리게 됐습니다.
김정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철사로 차량을 연결해 끌자 금새 끊어집니다.
하지만 비슷한 굵기의 실다발을 연결하자 차량이 쉽게 끌려옵니다.
탄소 섬유입니다.
이 첨단 소재의 강도는 얼마나 될까?
철사는 1제곱 밀리미터당 50킬로그램이 채 안되는 힘에 끊어졌지만, 탄소섬유는 500킬로그램이 넘는 하중까지 견딥니다.
이 탄소섬유는 강철보다 5배 가볍지만 강도는 10배나 강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열성도 강해 항공기,자동차부터 자전거 등 레저용품까지 쓰임새가 크게 확대되는 추셉니다.
<녹취> 정재호(효성기술원 연구원) : "연비 규제, 이산화탄소 배출문제 때문에 어떻게 해서든지 무게를 가볍게 하려고 하는데 탄소 섬유는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는 장점이 가장 높은 소재입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필요한 연간 3천 톤을 전량 수입에 의존해왔는데 이번에 처음 개발에 성공해, 이 분야 절대 강자인 일본에 도전장을 던졌습니다.
현재 20억 달러 규모의 세계 고강도 탄소 섬유 시장은 2020년, 50억 달러까지 크게 늘어날 전망입니다.
이번 기술 개발로 이 분야 후발 주자였던 우리 기술력은 세계 최고의 60% 수준까지 따라 잡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KBS 뉴스 김정환입니다.
강철보다 10배나 강해 꿈의 소재라 불리는 고성능의 탄소섬유가 국내 기술로 개발돼 대량 생산에 들어갔습니다.
그동안 수입에만 의존해왔는데 이젠 수출길도 열리게 됐습니다.
김정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철사로 차량을 연결해 끌자 금새 끊어집니다.
하지만 비슷한 굵기의 실다발을 연결하자 차량이 쉽게 끌려옵니다.
탄소 섬유입니다.
이 첨단 소재의 강도는 얼마나 될까?
철사는 1제곱 밀리미터당 50킬로그램이 채 안되는 힘에 끊어졌지만, 탄소섬유는 500킬로그램이 넘는 하중까지 견딥니다.
이 탄소섬유는 강철보다 5배 가볍지만 강도는 10배나 강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열성도 강해 항공기,자동차부터 자전거 등 레저용품까지 쓰임새가 크게 확대되는 추셉니다.
<녹취> 정재호(효성기술원 연구원) : "연비 규제, 이산화탄소 배출문제 때문에 어떻게 해서든지 무게를 가볍게 하려고 하는데 탄소 섬유는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는 장점이 가장 높은 소재입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필요한 연간 3천 톤을 전량 수입에 의존해왔는데 이번에 처음 개발에 성공해, 이 분야 절대 강자인 일본에 도전장을 던졌습니다.
현재 20억 달러 규모의 세계 고강도 탄소 섬유 시장은 2020년, 50억 달러까지 크게 늘어날 전망입니다.
이번 기술 개발로 이 분야 후발 주자였던 우리 기술력은 세계 최고의 60% 수준까지 따라 잡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KBS 뉴스 김정환입니다.
-
-
김정환 기자 kim7@kbs.co.kr
김정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