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 재건축 아파트값 10~20% 상승”

입력 2013.05.18 (06:44) 수정 2013.05.18 (14: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4.1 부동산 대책 등의 영향으로 서울 강남 재건축 아파트값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건강을 위해 글루텐을 빼고 만든 식품도 잇달아 선보이고 있습니다.

생활경제, 최문종 기잡니다.

<리포트>

36제곱미터 크기의 이 재건축 아파트 값은 지금 6억 5백만 원입니다.

지난해 말 5억 원에서 20% 이상 뛴 겁니다.

잠실에 있는 이 아파트도 9억 원에서 10억 5천만 원으로 다섯 달 만에 1억 5천만 원이 올랐습니다.

부동산 114 조사 결과 서울 강남의 일부 재건축 아파트 값이 이처럼 올해 들어 10에서 20%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의 전체 재건축 아파트 가격도 이번 주 0.11% 오르면서 17주 연속 올랐습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재건축 사업 추진과 함께 4.1 부동산 대책 시행으로 투자 심리가 나아지고 있어, 오름세가 당분간 계속되겠다고 내다봤습니다.

건강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곡류 단백질인 글루텐을 없앤 제품이 잇따라 출시되고 있습니다.

아워홈은 지난 3월 글루텐이 없는 쌀 파스타를 출시했고, 대상은 글루텐이 없는 짜장 분말과 과자 제품을 내놓았습니다.

농촌진흥청도 글루텐 없이 100% 쌀로 빵을 만드는 기술과 쌀 빵용 벼 품종을 개발했습니다.

글루텐은 밀가루 반죽을 쫄깃하게 하지만 신경계와 면역계 관절 등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설사와 복통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막걸리 시장이 지난해 1분기를 정점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통계청 집계 결과 지난해 1분기 국내 막걸리 소비량은 9만여 킬로리터로 한해 전보다 11.8% 증가한 뒤, 2분기에 6.7% 감소하는 등 4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막걸리 수출량도 일본에서의 인기가 시들해지면서 지난해 1분기부터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KBS 뉴스 최문종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강남 재건축 아파트값 10~20% 상승”
    • 입력 2013-05-18 14:23:40
    • 수정2013-05-18 14:47:57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4.1 부동산 대책 등의 영향으로 서울 강남 재건축 아파트값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건강을 위해 글루텐을 빼고 만든 식품도 잇달아 선보이고 있습니다.

생활경제, 최문종 기잡니다.

<리포트>

36제곱미터 크기의 이 재건축 아파트 값은 지금 6억 5백만 원입니다.

지난해 말 5억 원에서 20% 이상 뛴 겁니다.

잠실에 있는 이 아파트도 9억 원에서 10억 5천만 원으로 다섯 달 만에 1억 5천만 원이 올랐습니다.

부동산 114 조사 결과 서울 강남의 일부 재건축 아파트 값이 이처럼 올해 들어 10에서 20%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의 전체 재건축 아파트 가격도 이번 주 0.11% 오르면서 17주 연속 올랐습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재건축 사업 추진과 함께 4.1 부동산 대책 시행으로 투자 심리가 나아지고 있어, 오름세가 당분간 계속되겠다고 내다봤습니다.

건강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곡류 단백질인 글루텐을 없앤 제품이 잇따라 출시되고 있습니다.

아워홈은 지난 3월 글루텐이 없는 쌀 파스타를 출시했고, 대상은 글루텐이 없는 짜장 분말과 과자 제품을 내놓았습니다.

농촌진흥청도 글루텐 없이 100% 쌀로 빵을 만드는 기술과 쌀 빵용 벼 품종을 개발했습니다.

글루텐은 밀가루 반죽을 쫄깃하게 하지만 신경계와 면역계 관절 등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설사와 복통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막걸리 시장이 지난해 1분기를 정점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통계청 집계 결과 지난해 1분기 국내 막걸리 소비량은 9만여 킬로리터로 한해 전보다 11.8% 증가한 뒤, 2분기에 6.7% 감소하는 등 4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막걸리 수출량도 일본에서의 인기가 시들해지면서 지난해 1분기부터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KBS 뉴스 최문종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