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 불량’ 원전 2기 가동 중단…전력 비상
입력 2013.05.28 (16:59)
수정 2013.05.29 (00: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신고리 1·2호기와 신월성 1,2호기 등 원자력발전소 4기의 안전설비를 점검한 시험성적서가 위조된 것으로 확인돼 원전 2기의 가동을 중단하기로 결정됐습니다.
재가동에 6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돼 올 여름 전력 수급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김성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문제가 된 원전 부품은 신고리 1,2호기와 신월성 1호기에 사용된 '안전등급 제어케이블'입니다.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원자로의 냉각 등 안전계통에 동작신호를 보내는 안전설비로 원전 안전에 핵심부품입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 안전등급 제어케이블의 성능이 당초 설계성능에 못 미치는 상태에서 납품된 것이 확인돼 현재 가동중인 신고리 2호기와 신월성 1호기 원자로 가동을 중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또 현재 예방정비중인 신고리 1호기도 불량 부품을 교체할 때까지 가동을 연기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원전을 본격 가동하기 전 성능시험 검사에서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오자 서류를 조작해 문제가 없는 것처럼 꾸민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문제가 된 원전들의 부품을 교체하고 안전성을 최종 확인해 원전을 재가동하기까지는 앞으로 6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력 200만 킬로와트를 공급하던 원전 2기가 가동을 중지하면 올 여름 전력 수급은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됩니다.
정부는 다음달 초 예정돼 있던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도 이번 주 중으로 앞당겨 발표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신고리 1·2호기와 신월성 1,2호기 등 원자력발전소 4기의 안전설비를 점검한 시험성적서가 위조된 것으로 확인돼 원전 2기의 가동을 중단하기로 결정됐습니다.
재가동에 6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돼 올 여름 전력 수급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김성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문제가 된 원전 부품은 신고리 1,2호기와 신월성 1호기에 사용된 '안전등급 제어케이블'입니다.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원자로의 냉각 등 안전계통에 동작신호를 보내는 안전설비로 원전 안전에 핵심부품입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 안전등급 제어케이블의 성능이 당초 설계성능에 못 미치는 상태에서 납품된 것이 확인돼 현재 가동중인 신고리 2호기와 신월성 1호기 원자로 가동을 중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또 현재 예방정비중인 신고리 1호기도 불량 부품을 교체할 때까지 가동을 연기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원전을 본격 가동하기 전 성능시험 검사에서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오자 서류를 조작해 문제가 없는 것처럼 꾸민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문제가 된 원전들의 부품을 교체하고 안전성을 최종 확인해 원전을 재가동하기까지는 앞으로 6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력 200만 킬로와트를 공급하던 원전 2기가 가동을 중지하면 올 여름 전력 수급은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됩니다.
정부는 다음달 초 예정돼 있던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도 이번 주 중으로 앞당겨 발표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품 불량’ 원전 2기 가동 중단…전력 비상
-
- 입력 2013-05-28 17:00:45
- 수정2013-05-29 00:02:03

<앵커 멘트>
신고리 1·2호기와 신월성 1,2호기 등 원자력발전소 4기의 안전설비를 점검한 시험성적서가 위조된 것으로 확인돼 원전 2기의 가동을 중단하기로 결정됐습니다.
재가동에 6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돼 올 여름 전력 수급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김성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문제가 된 원전 부품은 신고리 1,2호기와 신월성 1호기에 사용된 '안전등급 제어케이블'입니다.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원자로의 냉각 등 안전계통에 동작신호를 보내는 안전설비로 원전 안전에 핵심부품입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 안전등급 제어케이블의 성능이 당초 설계성능에 못 미치는 상태에서 납품된 것이 확인돼 현재 가동중인 신고리 2호기와 신월성 1호기 원자로 가동을 중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또 현재 예방정비중인 신고리 1호기도 불량 부품을 교체할 때까지 가동을 연기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원전을 본격 가동하기 전 성능시험 검사에서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오자 서류를 조작해 문제가 없는 것처럼 꾸민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문제가 된 원전들의 부품을 교체하고 안전성을 최종 확인해 원전을 재가동하기까지는 앞으로 6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력 200만 킬로와트를 공급하던 원전 2기가 가동을 중지하면 올 여름 전력 수급은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됩니다.
정부는 다음달 초 예정돼 있던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도 이번 주 중으로 앞당겨 발표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신고리 1·2호기와 신월성 1,2호기 등 원자력발전소 4기의 안전설비를 점검한 시험성적서가 위조된 것으로 확인돼 원전 2기의 가동을 중단하기로 결정됐습니다.
재가동에 6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돼 올 여름 전력 수급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김성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문제가 된 원전 부품은 신고리 1,2호기와 신월성 1호기에 사용된 '안전등급 제어케이블'입니다.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원자로의 냉각 등 안전계통에 동작신호를 보내는 안전설비로 원전 안전에 핵심부품입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 안전등급 제어케이블의 성능이 당초 설계성능에 못 미치는 상태에서 납품된 것이 확인돼 현재 가동중인 신고리 2호기와 신월성 1호기 원자로 가동을 중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또 현재 예방정비중인 신고리 1호기도 불량 부품을 교체할 때까지 가동을 연기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원전을 본격 가동하기 전 성능시험 검사에서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오자 서류를 조작해 문제가 없는 것처럼 꾸민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문제가 된 원전들의 부품을 교체하고 안전성을 최종 확인해 원전을 재가동하기까지는 앞으로 6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력 200만 킬로와트를 공급하던 원전 2기가 가동을 중지하면 올 여름 전력 수급은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됩니다.
정부는 다음달 초 예정돼 있던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도 이번 주 중으로 앞당겨 발표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
-
김성한 기자 albatross@kbs.co.kr
김성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