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늉뿐인 환경 정보 공개 제도…정부기관 가장 저조
입력 2013.05.30 (06:20)
수정 2013.05.30 (07: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환경정보공개제도, 혹시 들어보셨습니까?
국민 알권리를 위해서라며 정부 기관과 기업들이 각종 정보를 공개하는 제도인데요,
1년여 만에 첫 공개가 이뤄졌지만 기대에는 못 미쳤습니다.
의무 공개 대상이 아닌 항목의 정보 공개율이 20%를 밑돌았는데, 다름아닌 정부기관의 공개실적이 가장 저조했습니다.
나신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민의 알권리 충족과 기업·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지난 2011년 정부가 도입한 환경정보공개제도.
국내 기관과 기업 천여곳의 2011년도 환경정보가 이번에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공개 항목은 에너지 사용과 오염물질 배출 현황 등 모두 27개. 이 가운데 의무항목의 공개율은 100%에 이릅니다.
그러나 신재생 에너지 투자와 온실가스 배출량, 소음·진동·악취 관리 등 자율항목의 공개율은 16.4%에 그쳤습니다.
477개 기업체의 자율항목 공개율은 23.2%인 반면, 570개 공공기관은 9.6%에 불과했습니다.
중앙행정기관 32곳 가운데 고용노동부를 비롯해 기획재정부와 법무부 등 24곳의 공개율은 0%였습니다.
광역자치단체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부산을 비롯해, 대전, 서울 등 8곳의 공개율이 0%였습니다.
공기업 28곳 가운데 대한주택보증 등 8곳도 자율항목 정보를 전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인터뷰>김종률(환경부 환경기술경제과장) : "공공기관은 준비가 덜 돼 있다 보니...환경경영 시스템 현황 구축 등 어떤 정상적인 부분의 구축이 안돼 있고"
환경부는 정보공개가 아직 시작단계인 만큼 공공기관의 자율적인 정보공개를 더욱 독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뉴스 나신하입니다.
환경정보공개제도, 혹시 들어보셨습니까?
국민 알권리를 위해서라며 정부 기관과 기업들이 각종 정보를 공개하는 제도인데요,
1년여 만에 첫 공개가 이뤄졌지만 기대에는 못 미쳤습니다.
의무 공개 대상이 아닌 항목의 정보 공개율이 20%를 밑돌았는데, 다름아닌 정부기관의 공개실적이 가장 저조했습니다.
나신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민의 알권리 충족과 기업·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지난 2011년 정부가 도입한 환경정보공개제도.
국내 기관과 기업 천여곳의 2011년도 환경정보가 이번에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공개 항목은 에너지 사용과 오염물질 배출 현황 등 모두 27개. 이 가운데 의무항목의 공개율은 100%에 이릅니다.
그러나 신재생 에너지 투자와 온실가스 배출량, 소음·진동·악취 관리 등 자율항목의 공개율은 16.4%에 그쳤습니다.
477개 기업체의 자율항목 공개율은 23.2%인 반면, 570개 공공기관은 9.6%에 불과했습니다.
중앙행정기관 32곳 가운데 고용노동부를 비롯해 기획재정부와 법무부 등 24곳의 공개율은 0%였습니다.
광역자치단체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부산을 비롯해, 대전, 서울 등 8곳의 공개율이 0%였습니다.
공기업 28곳 가운데 대한주택보증 등 8곳도 자율항목 정보를 전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인터뷰>김종률(환경부 환경기술경제과장) : "공공기관은 준비가 덜 돼 있다 보니...환경경영 시스템 현황 구축 등 어떤 정상적인 부분의 구축이 안돼 있고"
환경부는 정보공개가 아직 시작단계인 만큼 공공기관의 자율적인 정보공개를 더욱 독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뉴스 나신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늉뿐인 환경 정보 공개 제도…정부기관 가장 저조
-
- 입력 2013-05-30 06:22:50
- 수정2013-05-30 07:04:58
![](/data/news/2013/05/30/2667054_150.jpg)
<앵커 멘트>
환경정보공개제도, 혹시 들어보셨습니까?
국민 알권리를 위해서라며 정부 기관과 기업들이 각종 정보를 공개하는 제도인데요,
1년여 만에 첫 공개가 이뤄졌지만 기대에는 못 미쳤습니다.
의무 공개 대상이 아닌 항목의 정보 공개율이 20%를 밑돌았는데, 다름아닌 정부기관의 공개실적이 가장 저조했습니다.
나신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민의 알권리 충족과 기업·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지난 2011년 정부가 도입한 환경정보공개제도.
국내 기관과 기업 천여곳의 2011년도 환경정보가 이번에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공개 항목은 에너지 사용과 오염물질 배출 현황 등 모두 27개. 이 가운데 의무항목의 공개율은 100%에 이릅니다.
그러나 신재생 에너지 투자와 온실가스 배출량, 소음·진동·악취 관리 등 자율항목의 공개율은 16.4%에 그쳤습니다.
477개 기업체의 자율항목 공개율은 23.2%인 반면, 570개 공공기관은 9.6%에 불과했습니다.
중앙행정기관 32곳 가운데 고용노동부를 비롯해 기획재정부와 법무부 등 24곳의 공개율은 0%였습니다.
광역자치단체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부산을 비롯해, 대전, 서울 등 8곳의 공개율이 0%였습니다.
공기업 28곳 가운데 대한주택보증 등 8곳도 자율항목 정보를 전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인터뷰>김종률(환경부 환경기술경제과장) : "공공기관은 준비가 덜 돼 있다 보니...환경경영 시스템 현황 구축 등 어떤 정상적인 부분의 구축이 안돼 있고"
환경부는 정보공개가 아직 시작단계인 만큼 공공기관의 자율적인 정보공개를 더욱 독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뉴스 나신하입니다.
환경정보공개제도, 혹시 들어보셨습니까?
국민 알권리를 위해서라며 정부 기관과 기업들이 각종 정보를 공개하는 제도인데요,
1년여 만에 첫 공개가 이뤄졌지만 기대에는 못 미쳤습니다.
의무 공개 대상이 아닌 항목의 정보 공개율이 20%를 밑돌았는데, 다름아닌 정부기관의 공개실적이 가장 저조했습니다.
나신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민의 알권리 충족과 기업·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지난 2011년 정부가 도입한 환경정보공개제도.
국내 기관과 기업 천여곳의 2011년도 환경정보가 이번에 처음으로 공개됐습니다.
공개 항목은 에너지 사용과 오염물질 배출 현황 등 모두 27개. 이 가운데 의무항목의 공개율은 100%에 이릅니다.
그러나 신재생 에너지 투자와 온실가스 배출량, 소음·진동·악취 관리 등 자율항목의 공개율은 16.4%에 그쳤습니다.
477개 기업체의 자율항목 공개율은 23.2%인 반면, 570개 공공기관은 9.6%에 불과했습니다.
중앙행정기관 32곳 가운데 고용노동부를 비롯해 기획재정부와 법무부 등 24곳의 공개율은 0%였습니다.
광역자치단체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부산을 비롯해, 대전, 서울 등 8곳의 공개율이 0%였습니다.
공기업 28곳 가운데 대한주택보증 등 8곳도 자율항목 정보를 전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인터뷰>김종률(환경부 환경기술경제과장) : "공공기관은 준비가 덜 돼 있다 보니...환경경영 시스템 현황 구축 등 어떤 정상적인 부분의 구축이 안돼 있고"
환경부는 정보공개가 아직 시작단계인 만큼 공공기관의 자율적인 정보공개를 더욱 독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뉴스 나신하입니다.
-
-
나신하 기자 daniel@kbs.co.kr
나신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