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명의료 공청회, 부작용 우려…신중론 제기
입력 2013.05.30 (06:38)
수정 2013.05.30 (07: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가족들의 뜻으로도 무의미한 연명 의료 중단을 결정할 수 있게 하자는 국가생명윤리위 특위의 합의안을 놓고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법 제정을 앞두고 열린 정부 공청회에서 '안락사'로의 변질 우려를 막기 위한 신중론이 제기됐습니다.
남승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회복 가능성이 없다면 무의미한 연명 의료를 받지 않겠다'
이런 뜻을 미리 신청받는 단체 사무실입니다.
이른바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문의가 하루에 30~40통씩 걸려옵니다.
<녹취> '사전의료의향서' 신청자 : "나중에 혹시 그런 일 있으면 애들한테 부담 안 줄 것 같고 그래서 신청을 하려고요."
<인터뷰> 장경희('죽음 준비 교육' 강사) : "저렇게 고생하면서 무의미한 연명치료 안 하겠다 이런 생각이 들어서 작성하게 됐습니다, 이런 전화도 오세요."
정부 공청회에선 최근 국가생명윤리심의위 특위에서 합의된 대로 제도화의 필요성이 제시됐습니다.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여부를 가족들의 뜻으로도 결정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겁니다.
<인터뷰> 허대석(서울대 의대 교수/특위 위원) : "무의미한 연명의료를 받을 지 말 지를 결정해야 하는 사람이 1년에 한 18만 명, 그 가족을 치면 한 60만 명 정도가 이 문제로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락사로 변질될 우려를 놓고 신중론도 나옵니다.
<인터뷰> 정재우(가톨릭대 생명대학원 교수/특위 위원) : "무의미하다는 이유로 환자분을 인위적으로 돌아가시게 하는 그런 안락사 행위는 용인될 수 없습니다."
정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수렴된 의견을 토대로 무의미한 연명의료 중단의 제도화 방안을 최종 확정해 법제화 작업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KBS뉴스 남승우입니다.
가족들의 뜻으로도 무의미한 연명 의료 중단을 결정할 수 있게 하자는 국가생명윤리위 특위의 합의안을 놓고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법 제정을 앞두고 열린 정부 공청회에서 '안락사'로의 변질 우려를 막기 위한 신중론이 제기됐습니다.
남승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회복 가능성이 없다면 무의미한 연명 의료를 받지 않겠다'
이런 뜻을 미리 신청받는 단체 사무실입니다.
이른바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문의가 하루에 30~40통씩 걸려옵니다.
<녹취> '사전의료의향서' 신청자 : "나중에 혹시 그런 일 있으면 애들한테 부담 안 줄 것 같고 그래서 신청을 하려고요."
<인터뷰> 장경희('죽음 준비 교육' 강사) : "저렇게 고생하면서 무의미한 연명치료 안 하겠다 이런 생각이 들어서 작성하게 됐습니다, 이런 전화도 오세요."
정부 공청회에선 최근 국가생명윤리심의위 특위에서 합의된 대로 제도화의 필요성이 제시됐습니다.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여부를 가족들의 뜻으로도 결정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겁니다.
<인터뷰> 허대석(서울대 의대 교수/특위 위원) : "무의미한 연명의료를 받을 지 말 지를 결정해야 하는 사람이 1년에 한 18만 명, 그 가족을 치면 한 60만 명 정도가 이 문제로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락사로 변질될 우려를 놓고 신중론도 나옵니다.
<인터뷰> 정재우(가톨릭대 생명대학원 교수/특위 위원) : "무의미하다는 이유로 환자분을 인위적으로 돌아가시게 하는 그런 안락사 행위는 용인될 수 없습니다."
정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수렴된 의견을 토대로 무의미한 연명의료 중단의 제도화 방안을 최종 확정해 법제화 작업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KBS뉴스 남승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연명의료 공청회, 부작용 우려…신중론 제기
-
- 입력 2013-05-30 06:40:17
- 수정2013-05-30 07:05:02
<앵커 멘트>
가족들의 뜻으로도 무의미한 연명 의료 중단을 결정할 수 있게 하자는 국가생명윤리위 특위의 합의안을 놓고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법 제정을 앞두고 열린 정부 공청회에서 '안락사'로의 변질 우려를 막기 위한 신중론이 제기됐습니다.
남승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회복 가능성이 없다면 무의미한 연명 의료를 받지 않겠다'
이런 뜻을 미리 신청받는 단체 사무실입니다.
이른바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문의가 하루에 30~40통씩 걸려옵니다.
<녹취> '사전의료의향서' 신청자 : "나중에 혹시 그런 일 있으면 애들한테 부담 안 줄 것 같고 그래서 신청을 하려고요."
<인터뷰> 장경희('죽음 준비 교육' 강사) : "저렇게 고생하면서 무의미한 연명치료 안 하겠다 이런 생각이 들어서 작성하게 됐습니다, 이런 전화도 오세요."
정부 공청회에선 최근 국가생명윤리심의위 특위에서 합의된 대로 제도화의 필요성이 제시됐습니다.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여부를 가족들의 뜻으로도 결정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겁니다.
<인터뷰> 허대석(서울대 의대 교수/특위 위원) : "무의미한 연명의료를 받을 지 말 지를 결정해야 하는 사람이 1년에 한 18만 명, 그 가족을 치면 한 60만 명 정도가 이 문제로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락사로 변질될 우려를 놓고 신중론도 나옵니다.
<인터뷰> 정재우(가톨릭대 생명대학원 교수/특위 위원) : "무의미하다는 이유로 환자분을 인위적으로 돌아가시게 하는 그런 안락사 행위는 용인될 수 없습니다."
정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수렴된 의견을 토대로 무의미한 연명의료 중단의 제도화 방안을 최종 확정해 법제화 작업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KBS뉴스 남승우입니다.
가족들의 뜻으로도 무의미한 연명 의료 중단을 결정할 수 있게 하자는 국가생명윤리위 특위의 합의안을 놓고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법 제정을 앞두고 열린 정부 공청회에서 '안락사'로의 변질 우려를 막기 위한 신중론이 제기됐습니다.
남승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회복 가능성이 없다면 무의미한 연명 의료를 받지 않겠다'
이런 뜻을 미리 신청받는 단체 사무실입니다.
이른바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문의가 하루에 30~40통씩 걸려옵니다.
<녹취> '사전의료의향서' 신청자 : "나중에 혹시 그런 일 있으면 애들한테 부담 안 줄 것 같고 그래서 신청을 하려고요."
<인터뷰> 장경희('죽음 준비 교육' 강사) : "저렇게 고생하면서 무의미한 연명치료 안 하겠다 이런 생각이 들어서 작성하게 됐습니다, 이런 전화도 오세요."
정부 공청회에선 최근 국가생명윤리심의위 특위에서 합의된 대로 제도화의 필요성이 제시됐습니다.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여부를 가족들의 뜻으로도 결정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겁니다.
<인터뷰> 허대석(서울대 의대 교수/특위 위원) : "무의미한 연명의료를 받을 지 말 지를 결정해야 하는 사람이 1년에 한 18만 명, 그 가족을 치면 한 60만 명 정도가 이 문제로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락사로 변질될 우려를 놓고 신중론도 나옵니다.
<인터뷰> 정재우(가톨릭대 생명대학원 교수/특위 위원) : "무의미하다는 이유로 환자분을 인위적으로 돌아가시게 하는 그런 안락사 행위는 용인될 수 없습니다."
정부는 이번 공청회에서 수렴된 의견을 토대로 무의미한 연명의료 중단의 제도화 방안을 최종 확정해 법제화 작업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KBS뉴스 남승우입니다.
-
-
남승우 기자 futurist@kbs.co.kr
남승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