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의 사과’…오너는 보이지 않아 논란

입력 2013.05.30 (11:03) 수정 2013.05.30 (15: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갑(甲)의 횡포' 논란을 일으킨 기업들이 잇따라 국민앞에 머리를 숙였지만 정작 사과 기자회견장에 오너들이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진정성 논란이 일고 있다.

가맹점주의 잇따른 자살과 회사측의 자살 점주 사망 진단서 변조 논란에 휩싸인 BGF리테일은 30일 대국민 사과문과 상생경영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가맹 계약 관행 개선 등을 포함한 대책을 마련해 경영난에 처한 점주들을 사지로 내몰지 않겠다는 것이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이 내놓은 재발방지책이다.

그러나 회견장에 오너인 홍석조 회장이 빠지고 박재구 사장이 나서 진정성 논란이 불거졌다.

'밀어내기'(강매) 등으로 사회적 파문을 야기했던 남양유업이 지난 9일 대국민 사과를 하면서 오너인 홍원식 회장 대신 김웅 대표이사가 나왔던 것과 같은 양상이다.

당시 남양은 비난 여론이 불매운동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자 사과 기자회견을 자청했다.

점주의 잇따른 자살에도 꿈쩍 않던 BGF리테일도 사망진단서 변조 논란이 불거지고 피해 점주들이 홍 회장을 검찰에 고발하는 등 문제가 확산되자 뒤늦게 회견을 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전국편의점가맹점주협의회 방경수 대표는 "불공정 관행을 통해 재산을 축적한 오너가 정작 문제가 불거졌을 때 자신의 책임을 경영진에 떠넘기는걸 보면, 사과를 했다고는 하나 그것이 진정성 없는 형식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홍 회장은 2007년 취임 이후 작년까지 200억원이 넘는 배당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따르면 홍 회장이 취임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이 회사의 배당률은 30%였고, 2010년부터는 배당률이 50%까지 올렸다. 액면가 5천원인 주식 1주당 2천500원을 배당금으로 지급한 것이다.

홍 회장의 회사 지분율은 34.93%다. 따라서 총배당액이 71억∼78억이었던 2007∼2009년에는 해마다 25억∼27억원을 배당으로 받았다.

또 연간 총 배당액이 119억∼123억억원으로 늘어난 2010년 이후에는 연간 41억∼43억원의 배당을 받았다. 취임 이후 지금까지 홍 회장이 가져간 배당금은 대략 200억원이 넘는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갑의 사과’…오너는 보이지 않아 논란
    • 입력 2013-05-30 11:03:47
    • 수정2013-05-30 15:59:21
    연합뉴스
'갑(甲)의 횡포' 논란을 일으킨 기업들이 잇따라 국민앞에 머리를 숙였지만 정작 사과 기자회견장에 오너들이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진정성 논란이 일고 있다.

가맹점주의 잇따른 자살과 회사측의 자살 점주 사망 진단서 변조 논란에 휩싸인 BGF리테일은 30일 대국민 사과문과 상생경영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가맹 계약 관행 개선 등을 포함한 대책을 마련해 경영난에 처한 점주들을 사지로 내몰지 않겠다는 것이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이 내놓은 재발방지책이다.

그러나 회견장에 오너인 홍석조 회장이 빠지고 박재구 사장이 나서 진정성 논란이 불거졌다.

'밀어내기'(강매) 등으로 사회적 파문을 야기했던 남양유업이 지난 9일 대국민 사과를 하면서 오너인 홍원식 회장 대신 김웅 대표이사가 나왔던 것과 같은 양상이다.

당시 남양은 비난 여론이 불매운동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자 사과 기자회견을 자청했다.

점주의 잇따른 자살에도 꿈쩍 않던 BGF리테일도 사망진단서 변조 논란이 불거지고 피해 점주들이 홍 회장을 검찰에 고발하는 등 문제가 확산되자 뒤늦게 회견을 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전국편의점가맹점주협의회 방경수 대표는 "불공정 관행을 통해 재산을 축적한 오너가 정작 문제가 불거졌을 때 자신의 책임을 경영진에 떠넘기는걸 보면, 사과를 했다고는 하나 그것이 진정성 없는 형식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홍 회장은 2007년 취임 이후 작년까지 200억원이 넘는 배당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따르면 홍 회장이 취임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이 회사의 배당률은 30%였고, 2010년부터는 배당률이 50%까지 올렸다. 액면가 5천원인 주식 1주당 2천500원을 배당금으로 지급한 것이다.

홍 회장의 회사 지분율은 34.93%다. 따라서 총배당액이 71억∼78억이었던 2007∼2009년에는 해마다 25억∼27억원을 배당으로 받았다.

또 연간 총 배당액이 119억∼123억억원으로 늘어난 2010년 이후에는 연간 41억∼43억원의 배당을 받았다. 취임 이후 지금까지 홍 회장이 가져간 배당금은 대략 200억원이 넘는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