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경전철 이번엔 급제동…안전 사고 논란까지
입력 2013.06.04 (21:39)
수정 2013.06.04 (21: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한 달여 전 출범한 용인 경전철이 이번에는 빈번한 급제동으로 인한 안전사고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선로 안에 사람이 뛰어드는걸 막기 위해 전철을 급정거시키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데,이로 인해 위험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는겁니다.
이승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달 중순 용인 경전철을 탔던 주부 박모 씨.
역에 진입하던 전철이 갑자기 멈춰서면서 바닥에 넘어져 허리를 다쳤습니다.
<녹취> 부상자 : "순식간에 확 멈췄으니까. 너무 센거 같아요. 충격이. 몇 명 더 있어요. (선생님 말고도 부상입으신 분들이?) 예."
지난 4월 26일 용인 경전철이 개통된 이후, 많을 땐 하루에도 몇 차례씩 이런 급정거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경전철이 이렇게 자주 급정거를 하는건 승강장에 설치된 이 선로 침입 감지 장치 때문입니다.
철로 안에 떨어진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센서를 이용해 차량을 급제동 하는 시스템인데, 이로 인해 차량안에 탄 승객들이 넘어져 다치는 겁니다.
<녹취> 용인경전철 관계자 (음성변조) : "운행 초기에 사람들이 호기심으로 발을 레일안으로 걸쳐보고 그러다보니.."
열차 급정거 대신 스크린 도어를 설치하면 해결되지만, 가뜩이나 심각한 적자 운행에 예산 부족으로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용인시 관계자 (음성변조) : "재정 부담이 워낙에 있으니까 그걸 설치하려면. 우리시 재정상태가 그렇게 좋지 않아가지고."
적자 운행에다 안전 사고 논란까지..
경전철이 개통된지 한달이 지났지만 시민들의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한 달여 전 출범한 용인 경전철이 이번에는 빈번한 급제동으로 인한 안전사고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선로 안에 사람이 뛰어드는걸 막기 위해 전철을 급정거시키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데,이로 인해 위험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는겁니다.
이승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달 중순 용인 경전철을 탔던 주부 박모 씨.
역에 진입하던 전철이 갑자기 멈춰서면서 바닥에 넘어져 허리를 다쳤습니다.
<녹취> 부상자 : "순식간에 확 멈췄으니까. 너무 센거 같아요. 충격이. 몇 명 더 있어요. (선생님 말고도 부상입으신 분들이?) 예."
지난 4월 26일 용인 경전철이 개통된 이후, 많을 땐 하루에도 몇 차례씩 이런 급정거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경전철이 이렇게 자주 급정거를 하는건 승강장에 설치된 이 선로 침입 감지 장치 때문입니다.
철로 안에 떨어진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센서를 이용해 차량을 급제동 하는 시스템인데, 이로 인해 차량안에 탄 승객들이 넘어져 다치는 겁니다.
<녹취> 용인경전철 관계자 (음성변조) : "운행 초기에 사람들이 호기심으로 발을 레일안으로 걸쳐보고 그러다보니.."
열차 급정거 대신 스크린 도어를 설치하면 해결되지만, 가뜩이나 심각한 적자 운행에 예산 부족으로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용인시 관계자 (음성변조) : "재정 부담이 워낙에 있으니까 그걸 설치하려면. 우리시 재정상태가 그렇게 좋지 않아가지고."
적자 운행에다 안전 사고 논란까지..
경전철이 개통된지 한달이 지났지만 시민들의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용인경전철 이번엔 급제동…안전 사고 논란까지
-
- 입력 2013-06-04 21:41:54
- 수정2013-06-04 21:48:58

<앵커 멘트>
한 달여 전 출범한 용인 경전철이 이번에는 빈번한 급제동으로 인한 안전사고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선로 안에 사람이 뛰어드는걸 막기 위해 전철을 급정거시키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데,이로 인해 위험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는겁니다.
이승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달 중순 용인 경전철을 탔던 주부 박모 씨.
역에 진입하던 전철이 갑자기 멈춰서면서 바닥에 넘어져 허리를 다쳤습니다.
<녹취> 부상자 : "순식간에 확 멈췄으니까. 너무 센거 같아요. 충격이. 몇 명 더 있어요. (선생님 말고도 부상입으신 분들이?) 예."
지난 4월 26일 용인 경전철이 개통된 이후, 많을 땐 하루에도 몇 차례씩 이런 급정거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경전철이 이렇게 자주 급정거를 하는건 승강장에 설치된 이 선로 침입 감지 장치 때문입니다.
철로 안에 떨어진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센서를 이용해 차량을 급제동 하는 시스템인데, 이로 인해 차량안에 탄 승객들이 넘어져 다치는 겁니다.
<녹취> 용인경전철 관계자 (음성변조) : "운행 초기에 사람들이 호기심으로 발을 레일안으로 걸쳐보고 그러다보니.."
열차 급정거 대신 스크린 도어를 설치하면 해결되지만, 가뜩이나 심각한 적자 운행에 예산 부족으로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용인시 관계자 (음성변조) : "재정 부담이 워낙에 있으니까 그걸 설치하려면. 우리시 재정상태가 그렇게 좋지 않아가지고."
적자 운행에다 안전 사고 논란까지..
경전철이 개통된지 한달이 지났지만 시민들의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한 달여 전 출범한 용인 경전철이 이번에는 빈번한 급제동으로 인한 안전사고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선로 안에 사람이 뛰어드는걸 막기 위해 전철을 급정거시키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데,이로 인해 위험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는겁니다.
이승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달 중순 용인 경전철을 탔던 주부 박모 씨.
역에 진입하던 전철이 갑자기 멈춰서면서 바닥에 넘어져 허리를 다쳤습니다.
<녹취> 부상자 : "순식간에 확 멈췄으니까. 너무 센거 같아요. 충격이. 몇 명 더 있어요. (선생님 말고도 부상입으신 분들이?) 예."
지난 4월 26일 용인 경전철이 개통된 이후, 많을 땐 하루에도 몇 차례씩 이런 급정거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경전철이 이렇게 자주 급정거를 하는건 승강장에 설치된 이 선로 침입 감지 장치 때문입니다.
철로 안에 떨어진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센서를 이용해 차량을 급제동 하는 시스템인데, 이로 인해 차량안에 탄 승객들이 넘어져 다치는 겁니다.
<녹취> 용인경전철 관계자 (음성변조) : "운행 초기에 사람들이 호기심으로 발을 레일안으로 걸쳐보고 그러다보니.."
열차 급정거 대신 스크린 도어를 설치하면 해결되지만, 가뜩이나 심각한 적자 운행에 예산 부족으로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용인시 관계자 (음성변조) : "재정 부담이 워낙에 있으니까 그걸 설치하려면. 우리시 재정상태가 그렇게 좋지 않아가지고."
적자 운행에다 안전 사고 논란까지..
경전철이 개통된지 한달이 지났지만 시민들의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
-
이승훈 기자 hun21@kbs.co.kr
이승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