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아웃 비상! 정부·지자체 대책 안간힘
입력 2013.06.11 (06:33)
수정 2013.06.11 (09: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 연일 서울 지역 수은주가 30도를 넘어서고 있는데요,
연이은 무더위에 블랙아웃까지 우려되자, 정부와 지자체가 에너지 절약 방안 마련에 머리를 싸매고 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기로 움직이는 전동차.
약 1km 마다, 가정에서 하루에 쓰는 전기가 소모됩니다.
서울시가 이 전기를 조금이라도 아끼기로 했습니다.
출퇴근 시간이 아닐 때, 전동차 대기시간은 평균 6분입니다.
하지만, 올 여름 7,8월 기간에 승객들은 1분 가량 더 기다려야 합니다.
하루 평균 운행대수가 12% 가량 줄어듭니다.
피크시간대 3천800여가구가 쓰는 전기와 맞먹는, 만1500Kw를 아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30도를 웃도는 한낮 전력 피크 시간.
한집 건너 한집은 문이 열려 있습니다. 에어컨을 튼 상태입니다.
<녹취>업주 : "문을 열어두지 않으면 장사가 안돼요. 열어둔 것과 닫아둔 건 차이가 너무 많아요."
정부는 다음달부터 이런 곳에 최대 30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했습니다.
또 실내 냉방온도가 26도가 적용되는 기준도 더 확대 됐습니다.
<인터뷰>임옥기(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 : "계약 전력 100kW 이상, 5층 건물 정도면 다 해당되신다고 보면 됩니다."
서울시는 전력을 많이 쓰는 건물에는 누진 요금제를 적용하는 방안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하루가 멀다하고, 에너지 절약을 홍보하고 각종 해법을 내놓고 있는 정부와 지자체들.
올 여름 최악의 '블랙아웃'만은 피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최근 연일 서울 지역 수은주가 30도를 넘어서고 있는데요,
연이은 무더위에 블랙아웃까지 우려되자, 정부와 지자체가 에너지 절약 방안 마련에 머리를 싸매고 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기로 움직이는 전동차.
약 1km 마다, 가정에서 하루에 쓰는 전기가 소모됩니다.
서울시가 이 전기를 조금이라도 아끼기로 했습니다.
출퇴근 시간이 아닐 때, 전동차 대기시간은 평균 6분입니다.
하지만, 올 여름 7,8월 기간에 승객들은 1분 가량 더 기다려야 합니다.
하루 평균 운행대수가 12% 가량 줄어듭니다.
피크시간대 3천800여가구가 쓰는 전기와 맞먹는, 만1500Kw를 아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30도를 웃도는 한낮 전력 피크 시간.
한집 건너 한집은 문이 열려 있습니다. 에어컨을 튼 상태입니다.
<녹취>업주 : "문을 열어두지 않으면 장사가 안돼요. 열어둔 것과 닫아둔 건 차이가 너무 많아요."
정부는 다음달부터 이런 곳에 최대 30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했습니다.
또 실내 냉방온도가 26도가 적용되는 기준도 더 확대 됐습니다.
<인터뷰>임옥기(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 : "계약 전력 100kW 이상, 5층 건물 정도면 다 해당되신다고 보면 됩니다."
서울시는 전력을 많이 쓰는 건물에는 누진 요금제를 적용하는 방안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하루가 멀다하고, 에너지 절약을 홍보하고 각종 해법을 내놓고 있는 정부와 지자체들.
올 여름 최악의 '블랙아웃'만은 피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블랙아웃 비상! 정부·지자체 대책 안간힘
-
- 입력 2013-06-11 06:35:09
- 수정2013-06-11 09:03:25

<앵커 멘트>
최근 연일 서울 지역 수은주가 30도를 넘어서고 있는데요,
연이은 무더위에 블랙아웃까지 우려되자, 정부와 지자체가 에너지 절약 방안 마련에 머리를 싸매고 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기로 움직이는 전동차.
약 1km 마다, 가정에서 하루에 쓰는 전기가 소모됩니다.
서울시가 이 전기를 조금이라도 아끼기로 했습니다.
출퇴근 시간이 아닐 때, 전동차 대기시간은 평균 6분입니다.
하지만, 올 여름 7,8월 기간에 승객들은 1분 가량 더 기다려야 합니다.
하루 평균 운행대수가 12% 가량 줄어듭니다.
피크시간대 3천800여가구가 쓰는 전기와 맞먹는, 만1500Kw를 아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30도를 웃도는 한낮 전력 피크 시간.
한집 건너 한집은 문이 열려 있습니다. 에어컨을 튼 상태입니다.
<녹취>업주 : "문을 열어두지 않으면 장사가 안돼요. 열어둔 것과 닫아둔 건 차이가 너무 많아요."
정부는 다음달부터 이런 곳에 최대 30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했습니다.
또 실내 냉방온도가 26도가 적용되는 기준도 더 확대 됐습니다.
<인터뷰>임옥기(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 : "계약 전력 100kW 이상, 5층 건물 정도면 다 해당되신다고 보면 됩니다."
서울시는 전력을 많이 쓰는 건물에는 누진 요금제를 적용하는 방안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하루가 멀다하고, 에너지 절약을 홍보하고 각종 해법을 내놓고 있는 정부와 지자체들.
올 여름 최악의 '블랙아웃'만은 피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최근 연일 서울 지역 수은주가 30도를 넘어서고 있는데요,
연이은 무더위에 블랙아웃까지 우려되자, 정부와 지자체가 에너지 절약 방안 마련에 머리를 싸매고 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기로 움직이는 전동차.
약 1km 마다, 가정에서 하루에 쓰는 전기가 소모됩니다.
서울시가 이 전기를 조금이라도 아끼기로 했습니다.
출퇴근 시간이 아닐 때, 전동차 대기시간은 평균 6분입니다.
하지만, 올 여름 7,8월 기간에 승객들은 1분 가량 더 기다려야 합니다.
하루 평균 운행대수가 12% 가량 줄어듭니다.
피크시간대 3천800여가구가 쓰는 전기와 맞먹는, 만1500Kw를 아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30도를 웃도는 한낮 전력 피크 시간.
한집 건너 한집은 문이 열려 있습니다. 에어컨을 튼 상태입니다.
<녹취>업주 : "문을 열어두지 않으면 장사가 안돼요. 열어둔 것과 닫아둔 건 차이가 너무 많아요."
정부는 다음달부터 이런 곳에 최대 30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했습니다.
또 실내 냉방온도가 26도가 적용되는 기준도 더 확대 됐습니다.
<인터뷰>임옥기(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 : "계약 전력 100kW 이상, 5층 건물 정도면 다 해당되신다고 보면 됩니다."
서울시는 전력을 많이 쓰는 건물에는 누진 요금제를 적용하는 방안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하루가 멀다하고, 에너지 절약을 홍보하고 각종 해법을 내놓고 있는 정부와 지자체들.
올 여름 최악의 '블랙아웃'만은 피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
우한울 기자 whw@kbs.co.kr
우한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