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차세대전투기 선정 임박…최대 변수는 ‘가격’
입력 2013.06.11 (21:39)
수정 2013.06.11 (22: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차세대전투기 기종 선정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평가는 4가지로 나눠 진행되는데요,
33%의 비중을 차지하는 임무수행능력은 스텔스 기능을 앞세운 F-35가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비중 18% 정도인 군 운용적합성에서는 기존 공군 전투기와 호환성이 좋은 F-15 사일런트이글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경제적 파급력과 기술이전의 경우 한국형 전투기 개발지원을 약속한 유로파이터측이 강셉니다.
3개 업체의 치열한 경쟁 속에 승패는 30%를 차지하는 가격 입찰에서 갈릴 것으로 보입니다.
박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4월 미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은 F-35 60대를 108억 달러에 한국에 팔겠다고 의회에 보고했습니다.
우리 돈 12조 원 정도로, 정부가 준비한 차세대전투기 예산 8조 3천억 원을 훨씬 뛰어넘는 액숩니다.
협상 과정에서 가격이 내려갈 여지는 있지만, 총 도입액수는 10조 원을 넘길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보잉의 F-15 사일런트 이글과 유럽 EADS의 유로파이터도 정부의 예산을 맞추긴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양욱(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 "무리하게 가격을 낮추다 보면 첨단장비나 무기를 줄여야 하기 때문에 차세대전투기 사업의 취지가 무색해질 우려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방위사업청은 차세대전투기 도입 예산을 9조 원 정도로 올려달라고 최근 기획재정부에 요구했지만, 예산 문제 때문에 곤란하다는 회신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방사청은 이르면 모레부터 시작되는 가격입찰을 통해 가격을 최대한 낮추기로 했습니다.
<녹취> 백윤형(방위사업청 대변인) : "8조 3천억 원을 초과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가격 범위 안에 들어올 수 있도록 가격입찰을 유도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최대 수십 번의 입찰 절차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최종 기종선정은 다음달 중순으로 넘어가게 됐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차세대전투기 기종 선정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평가는 4가지로 나눠 진행되는데요,
33%의 비중을 차지하는 임무수행능력은 스텔스 기능을 앞세운 F-35가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비중 18% 정도인 군 운용적합성에서는 기존 공군 전투기와 호환성이 좋은 F-15 사일런트이글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경제적 파급력과 기술이전의 경우 한국형 전투기 개발지원을 약속한 유로파이터측이 강셉니다.
3개 업체의 치열한 경쟁 속에 승패는 30%를 차지하는 가격 입찰에서 갈릴 것으로 보입니다.
박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4월 미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은 F-35 60대를 108억 달러에 한국에 팔겠다고 의회에 보고했습니다.
우리 돈 12조 원 정도로, 정부가 준비한 차세대전투기 예산 8조 3천억 원을 훨씬 뛰어넘는 액숩니다.
협상 과정에서 가격이 내려갈 여지는 있지만, 총 도입액수는 10조 원을 넘길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보잉의 F-15 사일런트 이글과 유럽 EADS의 유로파이터도 정부의 예산을 맞추긴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양욱(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 "무리하게 가격을 낮추다 보면 첨단장비나 무기를 줄여야 하기 때문에 차세대전투기 사업의 취지가 무색해질 우려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방위사업청은 차세대전투기 도입 예산을 9조 원 정도로 올려달라고 최근 기획재정부에 요구했지만, 예산 문제 때문에 곤란하다는 회신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방사청은 이르면 모레부터 시작되는 가격입찰을 통해 가격을 최대한 낮추기로 했습니다.
<녹취> 백윤형(방위사업청 대변인) : "8조 3천억 원을 초과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가격 범위 안에 들어올 수 있도록 가격입찰을 유도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최대 수십 번의 입찰 절차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최종 기종선정은 다음달 중순으로 넘어가게 됐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차세대전투기 선정 임박…최대 변수는 ‘가격’
-
- 입력 2013-06-11 21:41:50
- 수정2013-06-11 22:45:42

<앵커 멘트>
차세대전투기 기종 선정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평가는 4가지로 나눠 진행되는데요,
33%의 비중을 차지하는 임무수행능력은 스텔스 기능을 앞세운 F-35가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비중 18% 정도인 군 운용적합성에서는 기존 공군 전투기와 호환성이 좋은 F-15 사일런트이글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경제적 파급력과 기술이전의 경우 한국형 전투기 개발지원을 약속한 유로파이터측이 강셉니다.
3개 업체의 치열한 경쟁 속에 승패는 30%를 차지하는 가격 입찰에서 갈릴 것으로 보입니다.
박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4월 미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은 F-35 60대를 108억 달러에 한국에 팔겠다고 의회에 보고했습니다.
우리 돈 12조 원 정도로, 정부가 준비한 차세대전투기 예산 8조 3천억 원을 훨씬 뛰어넘는 액숩니다.
협상 과정에서 가격이 내려갈 여지는 있지만, 총 도입액수는 10조 원을 넘길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보잉의 F-15 사일런트 이글과 유럽 EADS의 유로파이터도 정부의 예산을 맞추긴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양욱(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 "무리하게 가격을 낮추다 보면 첨단장비나 무기를 줄여야 하기 때문에 차세대전투기 사업의 취지가 무색해질 우려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방위사업청은 차세대전투기 도입 예산을 9조 원 정도로 올려달라고 최근 기획재정부에 요구했지만, 예산 문제 때문에 곤란하다는 회신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방사청은 이르면 모레부터 시작되는 가격입찰을 통해 가격을 최대한 낮추기로 했습니다.
<녹취> 백윤형(방위사업청 대변인) : "8조 3천억 원을 초과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가격 범위 안에 들어올 수 있도록 가격입찰을 유도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최대 수십 번의 입찰 절차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최종 기종선정은 다음달 중순으로 넘어가게 됐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차세대전투기 기종 선정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평가는 4가지로 나눠 진행되는데요,
33%의 비중을 차지하는 임무수행능력은 스텔스 기능을 앞세운 F-35가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비중 18% 정도인 군 운용적합성에서는 기존 공군 전투기와 호환성이 좋은 F-15 사일런트이글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경제적 파급력과 기술이전의 경우 한국형 전투기 개발지원을 약속한 유로파이터측이 강셉니다.
3개 업체의 치열한 경쟁 속에 승패는 30%를 차지하는 가격 입찰에서 갈릴 것으로 보입니다.
박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4월 미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은 F-35 60대를 108억 달러에 한국에 팔겠다고 의회에 보고했습니다.
우리 돈 12조 원 정도로, 정부가 준비한 차세대전투기 예산 8조 3천억 원을 훨씬 뛰어넘는 액숩니다.
협상 과정에서 가격이 내려갈 여지는 있지만, 총 도입액수는 10조 원을 넘길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보잉의 F-15 사일런트 이글과 유럽 EADS의 유로파이터도 정부의 예산을 맞추긴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양욱(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 "무리하게 가격을 낮추다 보면 첨단장비나 무기를 줄여야 하기 때문에 차세대전투기 사업의 취지가 무색해질 우려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방위사업청은 차세대전투기 도입 예산을 9조 원 정도로 올려달라고 최근 기획재정부에 요구했지만, 예산 문제 때문에 곤란하다는 회신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방사청은 이르면 모레부터 시작되는 가격입찰을 통해 가격을 최대한 낮추기로 했습니다.
<녹취> 백윤형(방위사업청 대변인) : "8조 3천억 원을 초과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가격 범위 안에 들어올 수 있도록 가격입찰을 유도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최대 수십 번의 입찰 절차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최종 기종선정은 다음달 중순으로 넘어가게 됐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
-
박진영 기자 parkjy@kbs.co.kr
박진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