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6·25 납북 피해자 가족의 아픔

입력 2013.06.25 (21:26) 수정 2013.06.25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6.25 발발 나흘째 북한군은 서울을 점령한 뒤, 곧바로 사람들을 잡아가기 시작했습니다.

의용군으로 징집할 학생에서부터 체제선전 등에 이용할 공무원과 법조인 등 지위고하를 가리지 않았는데요.

춘원 이광수 등 지식인, 단일 국가를 염원했던 독립운동가 김규식, 조소앙 선생도 북으로 끌려갔습니다.

이른바 6.25 납북 피해자들입니다.

먼저 63년간 치유되지 않고 있는 이들의 상처를 한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피랍된 것으로 추정되는 행군은 북한으로 이어집니다.

75살 이경찬씨도 전쟁 때 아버지를 잃었습니다.

당시 서울지방검찰청 부장검사였던 이주신씨는 전쟁 첫해인 7월 쯤 길거리에서 붙잡혀 북으로 끌려간 것으로 추정 됩니다.

<인터뷰> 이경찬(이주신씨) : '셋째 아들' "눈만 뜨면 끼니 걱정하는 것이 제일 힘들었죠. 아버지가 남겨 놓은 것, 팔 수 있는 것은 다 팔았어요."

대한 청년단이었다는 이유로 21살에 납북된 형.

벌써 63년 째 동생은 부치지 못하는 편지로 안부를 전합니다.

가족들은 생계의 버팀목이던 장남을 잃은 걸로도 모자라 지난 세월 '월북자' 가족이라는 오해에 시달렸습니다.

<인터뷰> 김규래(납북자 '동생') : "그 이후에 요시찰이 있다는 것을 알았지 뭐. 공무원이 사실상 합격되고도 남을 성적인데 불합격 처리를 한 것을 보면."

따가운 시선과 숱한 차별, 당국의 감시는 이들의 가슴을 더욱 짓누르기도 했습니다.

강산이 여섯 번 변할 정도로 세월이 흘렀지만, 납북피해 가족들의 상처는 아물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한성원입니다.

<기자 멘트>

서울이 점령된 3개월 동안, 이곳 서대문 형무소는 북한이 체포한 사람들로 넘쳤습니다.

북한 체제를 부인하고, 우파 단체에서 활동하거나, 일제 강점기 때 고위관료들이 주된 색출 대상이었는데요.

정부에 피랍자로 신고된 인원만 9만 여명에 이릅니다.

북한은 이들이 반역죄를 저질렀다며 북으로 강제 이송했습니다.

북측은 지금까지도 이들이 스스로 월북했다고 주장하는데요.

하지만, 최근, 북한의 강제 납북을 뒷받침할만한 바로 이, CIA 기밀문건이 발견됐습니다.

내용을 보면, 모두 635명에 이르는, 민간인의 영문, 한문 이름과, 주소와 직업 등이 기록돼 있습니다.

제목은 '북한에 의해 체포된 사람들'인데요, '체포'라는 말에서, 자진 월북이 아님을 암시합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납북자 명단은 피해자 가족 신고를 토대로, 정부가 작성한 게 전부인데요.

가장 처음 조사된 것이 1950년 12월.

그런데 CIA 문건 작성은, 이보다 2개월 앞섭니다.

서울수복 직후인데요, 미국이 북한이 갖고 있던 체포자 명단을 노획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실제로 '이'를 '리'로 표기하는 등 북한식 표기가 확인됩니다.

명단에서는 우익 청년단체를 대거 체포한 정황도 확인되는데요.

6명 가운데 한 명이 대한청년회 소속이었습니다.

또 다른 CIA 문건을 보면, 이들을 포함한, 4600명에 이르는 사람들은 북으로 이송됐고 일부는 총살당했으며, 나머진 만포진수용소에 수감됐다고 돼 있습니다.

이렇게, 민간인 피랍의 구체적 정황이 속속 확인되고 있지만, 전쟁 납북자에 대한 진상규명은 여전히 걸음마 단계입니다.

그 한계와 과제를 소현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10년 말.

'6.25 납북진상규명위원회' 발족 이후 정부는 전국 229개 시·군·구와 재외공관을 통해 피해신고를 받고 있습니다.

4월 말 기준으로 3천여 건이 접수됐습니다.

정부추산 전체 납북자의 3%선에 불과하지만 그나마도 2천 여건만 납북자로 인정됐습니다.

신고에 따른 금전적 보상이 전혀 없는데다 신고인이나 보증인이 대부분 고령이어서 현실적으로 신고에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위원회는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실태 조사를 위해 다음 달부터 전시 납북자에 대한 전수 조사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또 국내는 물론 해외의 자료와 증언들도 모아 진상 조사 보고서를 펴낼 계획입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납북자 가족들이 간절히 바라는 것은 생사 확인과 상봉, 그리고 귀환입니다.

하지만 북한이 납북자체를 부인하고 있어서 결코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 이미일(이사장) : "북한 입장은, 왜냐하면 납치는 범죄거든요. 절대 있어서는 안 되는 전쟁범죄이기 때문에 그것을 감추기 위해서 계속 없다고 주장하는 납북자들이 대부분 고령인만큼 정부는 물론 민간 차원에서도 남북대화 시도 등 다양한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KBS 뉴스 소현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6·25 납북 피해자 가족의 아픔
    • 입력 2013-06-25 21:27:37
    • 수정2013-06-25 22:03:32
    뉴스 9
<앵커 멘트>

6.25 발발 나흘째 북한군은 서울을 점령한 뒤, 곧바로 사람들을 잡아가기 시작했습니다.

의용군으로 징집할 학생에서부터 체제선전 등에 이용할 공무원과 법조인 등 지위고하를 가리지 않았는데요.

춘원 이광수 등 지식인, 단일 국가를 염원했던 독립운동가 김규식, 조소앙 선생도 북으로 끌려갔습니다.

이른바 6.25 납북 피해자들입니다.

먼저 63년간 치유되지 않고 있는 이들의 상처를 한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피랍된 것으로 추정되는 행군은 북한으로 이어집니다.

75살 이경찬씨도 전쟁 때 아버지를 잃었습니다.

당시 서울지방검찰청 부장검사였던 이주신씨는 전쟁 첫해인 7월 쯤 길거리에서 붙잡혀 북으로 끌려간 것으로 추정 됩니다.

<인터뷰> 이경찬(이주신씨) : '셋째 아들' "눈만 뜨면 끼니 걱정하는 것이 제일 힘들었죠. 아버지가 남겨 놓은 것, 팔 수 있는 것은 다 팔았어요."

대한 청년단이었다는 이유로 21살에 납북된 형.

벌써 63년 째 동생은 부치지 못하는 편지로 안부를 전합니다.

가족들은 생계의 버팀목이던 장남을 잃은 걸로도 모자라 지난 세월 '월북자' 가족이라는 오해에 시달렸습니다.

<인터뷰> 김규래(납북자 '동생') : "그 이후에 요시찰이 있다는 것을 알았지 뭐. 공무원이 사실상 합격되고도 남을 성적인데 불합격 처리를 한 것을 보면."

따가운 시선과 숱한 차별, 당국의 감시는 이들의 가슴을 더욱 짓누르기도 했습니다.

강산이 여섯 번 변할 정도로 세월이 흘렀지만, 납북피해 가족들의 상처는 아물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한성원입니다.

<기자 멘트>

서울이 점령된 3개월 동안, 이곳 서대문 형무소는 북한이 체포한 사람들로 넘쳤습니다.

북한 체제를 부인하고, 우파 단체에서 활동하거나, 일제 강점기 때 고위관료들이 주된 색출 대상이었는데요.

정부에 피랍자로 신고된 인원만 9만 여명에 이릅니다.

북한은 이들이 반역죄를 저질렀다며 북으로 강제 이송했습니다.

북측은 지금까지도 이들이 스스로 월북했다고 주장하는데요.

하지만, 최근, 북한의 강제 납북을 뒷받침할만한 바로 이, CIA 기밀문건이 발견됐습니다.

내용을 보면, 모두 635명에 이르는, 민간인의 영문, 한문 이름과, 주소와 직업 등이 기록돼 있습니다.

제목은 '북한에 의해 체포된 사람들'인데요, '체포'라는 말에서, 자진 월북이 아님을 암시합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납북자 명단은 피해자 가족 신고를 토대로, 정부가 작성한 게 전부인데요.

가장 처음 조사된 것이 1950년 12월.

그런데 CIA 문건 작성은, 이보다 2개월 앞섭니다.

서울수복 직후인데요, 미국이 북한이 갖고 있던 체포자 명단을 노획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실제로 '이'를 '리'로 표기하는 등 북한식 표기가 확인됩니다.

명단에서는 우익 청년단체를 대거 체포한 정황도 확인되는데요.

6명 가운데 한 명이 대한청년회 소속이었습니다.

또 다른 CIA 문건을 보면, 이들을 포함한, 4600명에 이르는 사람들은 북으로 이송됐고 일부는 총살당했으며, 나머진 만포진수용소에 수감됐다고 돼 있습니다.

이렇게, 민간인 피랍의 구체적 정황이 속속 확인되고 있지만, 전쟁 납북자에 대한 진상규명은 여전히 걸음마 단계입니다.

그 한계와 과제를 소현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10년 말.

'6.25 납북진상규명위원회' 발족 이후 정부는 전국 229개 시·군·구와 재외공관을 통해 피해신고를 받고 있습니다.

4월 말 기준으로 3천여 건이 접수됐습니다.

정부추산 전체 납북자의 3%선에 불과하지만 그나마도 2천 여건만 납북자로 인정됐습니다.

신고에 따른 금전적 보상이 전혀 없는데다 신고인이나 보증인이 대부분 고령이어서 현실적으로 신고에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위원회는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실태 조사를 위해 다음 달부터 전시 납북자에 대한 전수 조사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또 국내는 물론 해외의 자료와 증언들도 모아 진상 조사 보고서를 펴낼 계획입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납북자 가족들이 간절히 바라는 것은 생사 확인과 상봉, 그리고 귀환입니다.

하지만 북한이 납북자체를 부인하고 있어서 결코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 이미일(이사장) : "북한 입장은, 왜냐하면 납치는 범죄거든요. 절대 있어서는 안 되는 전쟁범죄이기 때문에 그것을 감추기 위해서 계속 없다고 주장하는 납북자들이 대부분 고령인만큼 정부는 물론 민간 차원에서도 남북대화 시도 등 다양한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KBS 뉴스 소현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