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후죽순’ 수련 활동, 인증제 있으나 마나

입력 2013.07.22 (21:40) 수정 2013.07.22 (22: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번 해병대 캠프 사고의 원인을 분석해 봤더니, 학생들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제도는 명목상 존재했지만 제대로 효과를 발휘하지는 못했습니다.

사고가 나자, 정부에서는 수련활동을 하려면 안전을 인증받은 프로그램만 이용하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른바 안전을 인증받은 프로그램이라는 게 있기는 있는 걸까요?

구영희 기자가 그 실태를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학생들이 빗속에 수련회를 갑니다.

태안 사고 직후에도 전국에선 이처럼 수련활동이 이어집니다.

<녹취> 학교 관계자 : "캠프활동은 프로그램 다양해요. 둘째 날은 날씨가 괜찮으면 갯벌체험도 있고..."

이들이 간 곳은 한 지방자치단체의 수련원.

하지만, 학교 단체수련을 위해 인증받은 프로그램은 아예 없습니다.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는, 프로그램과 지도자격, 환경, 안전성을 검증해 인증해주는 제도.

교육부는 사고 이후 인증받은 체험활동만 하라고 하지만, 수련기관들은 학교수련활동을 위한 인증자체를 꺼려합니다.

<녹취> 청소년수련원 관계자 : "안전기준이 까다롭게 만들어놔서. 그렇게하기는 좀... 야외활동은 지도인력이 너무 부족해요. 야외활동기준이 (학생)15명당 (지도자가)한명이니까"

게다가 수련활동은 관리도 제각각입니다.

프로그램인증은 여성가족부, 시설등록과 자체점검 보고는 지방자치단체 소관, 구멍도 많습니다.

<녹취> 청소년 수련원 관계자 : "청소년 지도사 자격증 있는 지도사가 지도를 하게 돼있어요.현실적으로 거기에 있는 직원인지 아닌지 검증이 안돼요."

학교 교육은 교육부의 업무지만, 수련활동은 현황파악도 하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 떴다방식 영업도 극성.

<녹취> 청소년 수련원 관계자 : "겨울에 폐업했다가 봄에는 열어서 입찰 참가해서 하는 데도 여럿 있어요. 통제가 안되니까"

사고는 되풀이되고있지만 학생안전을 담보할 신뢰성있는 구체적인 대책은 보이지 않습니다.

KBS 뉴스 구영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후죽순’ 수련 활동, 인증제 있으나 마나
    • 입력 2013-07-22 21:40:50
    • 수정2013-07-22 22:26:59
    뉴스 9
<앵커 멘트>

이번 해병대 캠프 사고의 원인을 분석해 봤더니, 학생들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제도는 명목상 존재했지만 제대로 효과를 발휘하지는 못했습니다.

사고가 나자, 정부에서는 수련활동을 하려면 안전을 인증받은 프로그램만 이용하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른바 안전을 인증받은 프로그램이라는 게 있기는 있는 걸까요?

구영희 기자가 그 실태를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학생들이 빗속에 수련회를 갑니다.

태안 사고 직후에도 전국에선 이처럼 수련활동이 이어집니다.

<녹취> 학교 관계자 : "캠프활동은 프로그램 다양해요. 둘째 날은 날씨가 괜찮으면 갯벌체험도 있고..."

이들이 간 곳은 한 지방자치단체의 수련원.

하지만, 학교 단체수련을 위해 인증받은 프로그램은 아예 없습니다.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는, 프로그램과 지도자격, 환경, 안전성을 검증해 인증해주는 제도.

교육부는 사고 이후 인증받은 체험활동만 하라고 하지만, 수련기관들은 학교수련활동을 위한 인증자체를 꺼려합니다.

<녹취> 청소년수련원 관계자 : "안전기준이 까다롭게 만들어놔서. 그렇게하기는 좀... 야외활동은 지도인력이 너무 부족해요. 야외활동기준이 (학생)15명당 (지도자가)한명이니까"

게다가 수련활동은 관리도 제각각입니다.

프로그램인증은 여성가족부, 시설등록과 자체점검 보고는 지방자치단체 소관, 구멍도 많습니다.

<녹취> 청소년 수련원 관계자 : "청소년 지도사 자격증 있는 지도사가 지도를 하게 돼있어요.현실적으로 거기에 있는 직원인지 아닌지 검증이 안돼요."

학교 교육은 교육부의 업무지만, 수련활동은 현황파악도 하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 떴다방식 영업도 극성.

<녹취> 청소년 수련원 관계자 : "겨울에 폐업했다가 봄에는 열어서 입찰 참가해서 하는 데도 여럿 있어요. 통제가 안되니까"

사고는 되풀이되고있지만 학생안전을 담보할 신뢰성있는 구체적인 대책은 보이지 않습니다.

KBS 뉴스 구영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