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애타는 이산가족…‘상봉’ 정례화해야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북은 다음달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3년만에 재개되는 만큼 상봉가족 수가 늘어나기를 기대했지만,
전과 같이 남북 각각 100명씩 모두 200명이 만나기로 합의하는데 그쳤습니다.
이제나 저제나 헤어진 가족을 만날 날을 고대하는 이산가족들은 10년 넘게 제자리 걸음인 상봉 규모에 답답해 하고 있는데요.
먼저 이산가족들의 사연을 김종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올해 82살인 한수봉 할아버지, 지난 92년 제3국을 통해 어렵사리 구한 사진 속 어머니는 이미 세상을 떠났습니다.
조카들을 만나겠다는 희망을 포기하진 않았지만, 직계가 아니라는 이유로 이마저도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 한수봉(82살/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 "얘들(조카들)이 살았는지 죽었는지도 몰라요. 얘들 지금 전부 70이 넘었다고요 우리 조카 아이들이.."
1988년 이후 이산상봉 신청자는 모두 12만 8천 여명...
이 가운데 43%인 5만 여명이 가족상봉의 꿈을 이루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습니다.
생전 상봉이 로또당첨보다 어렵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제3국에서 브로커에서 큰 돈을 주고 가족을 만나려는 이들도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제3국 상봉은 2007년 160명 수준에서 2011년 11명, 지난 해엔 6명으로 급감했습니다.
북한의 감시가 강화됐기 때문입니다.
정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형석(대변인/브리핑) : "여러 가지 정말 이산가족들이 상봉을 하지 못함으로써 받는 아픔을 해소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법도 ..."
현재 생존해 있는 이산상봉 신청자는 7만 4천 여명...
시간과의 싸움을 벌이며 희망을 끈을 놓지 않고 있지만 생전에 그리던 혈육을 만날수 있을지, 지금도 이산가족들의 마음은 타들어가고 있습니다.
<기자 멘트>
지금 보시는 것은 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입니다.
지난 2009년과 2010년 두차례에 걸쳐 이 곳에서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진행됐습니다.
이렇게 2000년 이후 모두 18차례 상봉행사가 열렸는데요,
지난 10년간 한해 평균 1,800명이 헤어진 가족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산가족 중 한해 평균 사망자수는 약 3800명입니다.
상봉자의 2배가 넘습니다.
누적 사망률도 10년 사이 15.9%에서 43%로 가파르게 증가했습니다.
해마다 평균 2000명이 북녘의 가족을 만나지 못한 채 사망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남북은 2002년 9월 4차 적십자 총재 회의에서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에 합의했지만, 유명무실해지고 말았습니다
북한에서 쌀과 비료등 대북 지원과 금강산 관광 재개 회담을 '연계'하는 것도 발목을 잡는 요인중 하납니다
이번에도 북한은 개성공단 회담 중 금강산 관광 회담과 함께 이산상봉 관련 회담을 제안했고, 이 두 사안을 '연계'한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3년 동안에만 벌써 만 명이 넘는 이산가족이 고인이 됐습니다..
때문에 이제 이산가족 문제는 순수 인도적 차원에서 접근해 정례화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또 암묵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 역시 과거와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이중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군포로와 납북자가 이산가족 상봉대상에 포함된 것은 2006년 남북 장관급회담 이후부텁니다.
'전쟁시기 실종자'란 모호한 표현이 사용되긴 했지만 북한이 아예 존재 자체를 부정했던 과거보다 진일보한 조치였습니다.
<인터뷰> 권호웅(18차 장관급회담 북한측 수석대표) : "북과 남은 전쟁시기와 그 이후 소식을 알 수 없게 된 사람들의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극히 일부 대상자만 포함되고 있을 뿐 얼마나 생존해 있는지, 정확한 통계조차 없는 실정입니다.
가족들의 고통을 더 이상 방치해선 안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윱니다.
우리와는 여건이 달랐지만 통일 전 서독이 재정지원 등의 대가를 치르고 동독의 정치범 등을 데려온 이른바 '프라이카우프' 방식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도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손기웅(통일연구원 선임연구원) :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를) 정치적으로 활용하려 한다면 사업 자체가 북한의 반발로 끊어지게될 위험이 있습니다. 여야 간에, 또는 국내 사회에서의 공감대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특히 정치 사안에서 인도주의 사안을 과감히 분리하고 국민적 합의를 토대로 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중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애타는 이산가족…‘상봉’ 정례화해야
-
- 입력 2013-08-26 21:28:30
- 수정2013-08-26 22:12:29
남북은 다음달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3년만에 재개되는 만큼 상봉가족 수가 늘어나기를 기대했지만,
전과 같이 남북 각각 100명씩 모두 200명이 만나기로 합의하는데 그쳤습니다.
이제나 저제나 헤어진 가족을 만날 날을 고대하는 이산가족들은 10년 넘게 제자리 걸음인 상봉 규모에 답답해 하고 있는데요.
먼저 이산가족들의 사연을 김종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올해 82살인 한수봉 할아버지, 지난 92년 제3국을 통해 어렵사리 구한 사진 속 어머니는 이미 세상을 떠났습니다.
조카들을 만나겠다는 희망을 포기하진 않았지만, 직계가 아니라는 이유로 이마저도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 한수봉(82살/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 "얘들(조카들)이 살았는지 죽었는지도 몰라요. 얘들 지금 전부 70이 넘었다고요 우리 조카 아이들이.."
1988년 이후 이산상봉 신청자는 모두 12만 8천 여명...
이 가운데 43%인 5만 여명이 가족상봉의 꿈을 이루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습니다.
생전 상봉이 로또당첨보다 어렵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제3국에서 브로커에서 큰 돈을 주고 가족을 만나려는 이들도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제3국 상봉은 2007년 160명 수준에서 2011년 11명, 지난 해엔 6명으로 급감했습니다.
북한의 감시가 강화됐기 때문입니다.
정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형석(대변인/브리핑) : "여러 가지 정말 이산가족들이 상봉을 하지 못함으로써 받는 아픔을 해소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법도 ..."
현재 생존해 있는 이산상봉 신청자는 7만 4천 여명...
시간과의 싸움을 벌이며 희망을 끈을 놓지 않고 있지만 생전에 그리던 혈육을 만날수 있을지, 지금도 이산가족들의 마음은 타들어가고 있습니다.
<기자 멘트>
지금 보시는 것은 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입니다.
지난 2009년과 2010년 두차례에 걸쳐 이 곳에서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진행됐습니다.
이렇게 2000년 이후 모두 18차례 상봉행사가 열렸는데요,
지난 10년간 한해 평균 1,800명이 헤어진 가족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산가족 중 한해 평균 사망자수는 약 3800명입니다.
상봉자의 2배가 넘습니다.
누적 사망률도 10년 사이 15.9%에서 43%로 가파르게 증가했습니다.
해마다 평균 2000명이 북녘의 가족을 만나지 못한 채 사망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남북은 2002년 9월 4차 적십자 총재 회의에서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에 합의했지만, 유명무실해지고 말았습니다
북한에서 쌀과 비료등 대북 지원과 금강산 관광 재개 회담을 '연계'하는 것도 발목을 잡는 요인중 하납니다
이번에도 북한은 개성공단 회담 중 금강산 관광 회담과 함께 이산상봉 관련 회담을 제안했고, 이 두 사안을 '연계'한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3년 동안에만 벌써 만 명이 넘는 이산가족이 고인이 됐습니다..
때문에 이제 이산가족 문제는 순수 인도적 차원에서 접근해 정례화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또 암묵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 역시 과거와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이중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국군포로와 납북자가 이산가족 상봉대상에 포함된 것은 2006년 남북 장관급회담 이후부텁니다.
'전쟁시기 실종자'란 모호한 표현이 사용되긴 했지만 북한이 아예 존재 자체를 부정했던 과거보다 진일보한 조치였습니다.
<인터뷰> 권호웅(18차 장관급회담 북한측 수석대표) : "북과 남은 전쟁시기와 그 이후 소식을 알 수 없게 된 사람들의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하였다."
하지만 극히 일부 대상자만 포함되고 있을 뿐 얼마나 생존해 있는지, 정확한 통계조차 없는 실정입니다.
가족들의 고통을 더 이상 방치해선 안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윱니다.
우리와는 여건이 달랐지만 통일 전 서독이 재정지원 등의 대가를 치르고 동독의 정치범 등을 데려온 이른바 '프라이카우프' 방식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도 나오고 있습니다.
<인터뷰> 손기웅(통일연구원 선임연구원) :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를) 정치적으로 활용하려 한다면 사업 자체가 북한의 반발로 끊어지게될 위험이 있습니다. 여야 간에, 또는 국내 사회에서의 공감대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특히 정치 사안에서 인도주의 사안을 과감히 분리하고 국민적 합의를 토대로 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이중근입니다.
-
-
소현정 기자 shj204@kbs.co.kr
소현정 기자의 기사 모음 -
김종수 기자 sweeper@kbs.co.kr
김종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중근 기자 news24@kbs.co.kr
이중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이산가족 상봉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