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 피우면 후두암·폐암 5~6배 발생…손배 검토
입력 2013.08.27 (09:49)
수정 2013.08.27 (11: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 국민 130만 명의 질병 정보를 20년 가까이 추적한 역학 조사 결과,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후두암과 폐암 등에 걸릴 확률이 5~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1992년부터 95년 사이 건강검진을 받은 공무원 등 130만 명에 대해 최대 19년에 걸쳐 질병 발생 추이를 분석한 결과, 이 가운데 14만여 명이 암에 걸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암 발생자를 흡연 여부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흡연 남성이 비흡연 남성에 비해 후두암은 6.5배, 폐암 4.6배, 식도암은 3.6배 발생 위험이 높았습니다.
여성의 경우도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후두암 5.5배, 췌장암 3.6배 등 암 환자가 많게는 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연기간이 길어질수록 폐암과 심혈관질환의 발생 위험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금연을 한 후 6년이 지나면 폐암의 위험이 절반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번 조사는 아시아 최대의 빅데이터 분석 사례라고 건보측은 밝혔습니다.
흡연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1년의 경우 1조 6천 9백억여 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3.7%를 차지했습니다.
건보공단은 흡연으로 인한 의료비는 결국 건강보험이 책임지기 때문에 가입자의 건강과 경제적 부담의 형평성을 고려해 담배회사를 상대로 흡연 진료비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하는등 다각적인 금연 대책을 세울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1992년부터 95년 사이 건강검진을 받은 공무원 등 130만 명에 대해 최대 19년에 걸쳐 질병 발생 추이를 분석한 결과, 이 가운데 14만여 명이 암에 걸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암 발생자를 흡연 여부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흡연 남성이 비흡연 남성에 비해 후두암은 6.5배, 폐암 4.6배, 식도암은 3.6배 발생 위험이 높았습니다.
여성의 경우도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후두암 5.5배, 췌장암 3.6배 등 암 환자가 많게는 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연기간이 길어질수록 폐암과 심혈관질환의 발생 위험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금연을 한 후 6년이 지나면 폐암의 위험이 절반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번 조사는 아시아 최대의 빅데이터 분석 사례라고 건보측은 밝혔습니다.
흡연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1년의 경우 1조 6천 9백억여 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3.7%를 차지했습니다.
건보공단은 흡연으로 인한 의료비는 결국 건강보험이 책임지기 때문에 가입자의 건강과 경제적 부담의 형평성을 고려해 담배회사를 상대로 흡연 진료비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하는등 다각적인 금연 대책을 세울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담배 피우면 후두암·폐암 5~6배 발생…손배 검토
-
- 입력 2013-08-27 09:49:30
- 수정2013-08-27 11:04:30
우리 국민 130만 명의 질병 정보를 20년 가까이 추적한 역학 조사 결과,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후두암과 폐암 등에 걸릴 확률이 5~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1992년부터 95년 사이 건강검진을 받은 공무원 등 130만 명에 대해 최대 19년에 걸쳐 질병 발생 추이를 분석한 결과, 이 가운데 14만여 명이 암에 걸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암 발생자를 흡연 여부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흡연 남성이 비흡연 남성에 비해 후두암은 6.5배, 폐암 4.6배, 식도암은 3.6배 발생 위험이 높았습니다.
여성의 경우도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후두암 5.5배, 췌장암 3.6배 등 암 환자가 많게는 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연기간이 길어질수록 폐암과 심혈관질환의 발생 위험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금연을 한 후 6년이 지나면 폐암의 위험이 절반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번 조사는 아시아 최대의 빅데이터 분석 사례라고 건보측은 밝혔습니다.
흡연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1년의 경우 1조 6천 9백억여 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3.7%를 차지했습니다.
건보공단은 흡연으로 인한 의료비는 결국 건강보험이 책임지기 때문에 가입자의 건강과 경제적 부담의 형평성을 고려해 담배회사를 상대로 흡연 진료비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하는등 다각적인 금연 대책을 세울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1992년부터 95년 사이 건강검진을 받은 공무원 등 130만 명에 대해 최대 19년에 걸쳐 질병 발생 추이를 분석한 결과, 이 가운데 14만여 명이 암에 걸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암 발생자를 흡연 여부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흡연 남성이 비흡연 남성에 비해 후두암은 6.5배, 폐암 4.6배, 식도암은 3.6배 발생 위험이 높았습니다.
여성의 경우도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후두암 5.5배, 췌장암 3.6배 등 암 환자가 많게는 5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연기간이 길어질수록 폐암과 심혈관질환의 발생 위험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금연을 한 후 6년이 지나면 폐암의 위험이 절반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번 조사는 아시아 최대의 빅데이터 분석 사례라고 건보측은 밝혔습니다.
흡연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1년의 경우 1조 6천 9백억여 원으로 전체 진료비의 3.7%를 차지했습니다.
건보공단은 흡연으로 인한 의료비는 결국 건강보험이 책임지기 때문에 가입자의 건강과 경제적 부담의 형평성을 고려해 담배회사를 상대로 흡연 진료비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하는등 다각적인 금연 대책을 세울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
-
곽혜정 기자 charter77@kbs.co.kr
곽혜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