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과로 사망 여군 ‘순직’ 인정…대책 시급
입력 2013.09.13 (09:36)
수정 2013.09.13 (09: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전방부대에서 훈련준비에 몰두하던 만삭의 여군중위가 뇌출혈로 숨져 육군이 뒤늦게 순직을 인정했습니다.
여군의 임신과 출산에 대한 지원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육군 장교 출신인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대를 이어 강원도 최전방 부대에서 근무하던 28살 이신애 중위.
임신 7개월의 몸으로 하루 12시간 넘게 근무를 하다 지난 2월 뇌출혈로 숨졌습니다.
<녹취> 이 모 씨(이신애 중위 아버지) : "인제군에는 산부인과가 없어서 그렇게 된 거죠. 춘천하고 속초에 산부인과가 있는데 군 위수 지역을 벗어나는 거죠."
당시 육군은 이 중위 사망 원인인 임신성 고혈압이 업무와는 상관 없는 것이었다며 '일반 사망' 처리했습니다.
하지만 뒤늦게 국민권익위원회의 권고를 받고 과로에 따른 '순직'을 인정하게 됐습니다.
조금이나마 망자의 넋을 위로할 수 있게는 됐지만 제2, 제3의 피해 여군이 나올 가능성은 여전한 상태입니다.
전국 16개 국군병원 가운데 산부인과가 있는 병원은 5곳, 특히 군의관 2천 명 가운데 산부인과 전문의는 5명에 불과합니다.
현재 전군에 배치된 여군은 8천 3백여 명.
국방부는 여군 비중을 2020년까지 현재 4%대에서 6%까지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그러나 이런 계획에 앞서 여군의 임신.출산.육아 관련 대책 마련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최전방부대에서 훈련준비에 몰두하던 만삭의 여군중위가 뇌출혈로 숨져 육군이 뒤늦게 순직을 인정했습니다.
여군의 임신과 출산에 대한 지원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육군 장교 출신인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대를 이어 강원도 최전방 부대에서 근무하던 28살 이신애 중위.
임신 7개월의 몸으로 하루 12시간 넘게 근무를 하다 지난 2월 뇌출혈로 숨졌습니다.
<녹취> 이 모 씨(이신애 중위 아버지) : "인제군에는 산부인과가 없어서 그렇게 된 거죠. 춘천하고 속초에 산부인과가 있는데 군 위수 지역을 벗어나는 거죠."
당시 육군은 이 중위 사망 원인인 임신성 고혈압이 업무와는 상관 없는 것이었다며 '일반 사망' 처리했습니다.
하지만 뒤늦게 국민권익위원회의 권고를 받고 과로에 따른 '순직'을 인정하게 됐습니다.
조금이나마 망자의 넋을 위로할 수 있게는 됐지만 제2, 제3의 피해 여군이 나올 가능성은 여전한 상태입니다.
전국 16개 국군병원 가운데 산부인과가 있는 병원은 5곳, 특히 군의관 2천 명 가운데 산부인과 전문의는 5명에 불과합니다.
현재 전군에 배치된 여군은 8천 3백여 명.
국방부는 여군 비중을 2020년까지 현재 4%대에서 6%까지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그러나 이런 계획에 앞서 여군의 임신.출산.육아 관련 대책 마련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임신 중 과로 사망 여군 ‘순직’ 인정…대책 시급
-
- 입력 2013-09-13 08:53:49
- 수정2013-09-13 09:53:00

<앵커 멘트>
최전방부대에서 훈련준비에 몰두하던 만삭의 여군중위가 뇌출혈로 숨져 육군이 뒤늦게 순직을 인정했습니다.
여군의 임신과 출산에 대한 지원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육군 장교 출신인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대를 이어 강원도 최전방 부대에서 근무하던 28살 이신애 중위.
임신 7개월의 몸으로 하루 12시간 넘게 근무를 하다 지난 2월 뇌출혈로 숨졌습니다.
<녹취> 이 모 씨(이신애 중위 아버지) : "인제군에는 산부인과가 없어서 그렇게 된 거죠. 춘천하고 속초에 산부인과가 있는데 군 위수 지역을 벗어나는 거죠."
당시 육군은 이 중위 사망 원인인 임신성 고혈압이 업무와는 상관 없는 것이었다며 '일반 사망' 처리했습니다.
하지만 뒤늦게 국민권익위원회의 권고를 받고 과로에 따른 '순직'을 인정하게 됐습니다.
조금이나마 망자의 넋을 위로할 수 있게는 됐지만 제2, 제3의 피해 여군이 나올 가능성은 여전한 상태입니다.
전국 16개 국군병원 가운데 산부인과가 있는 병원은 5곳, 특히 군의관 2천 명 가운데 산부인과 전문의는 5명에 불과합니다.
현재 전군에 배치된 여군은 8천 3백여 명.
국방부는 여군 비중을 2020년까지 현재 4%대에서 6%까지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그러나 이런 계획에 앞서 여군의 임신.출산.육아 관련 대책 마련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최전방부대에서 훈련준비에 몰두하던 만삭의 여군중위가 뇌출혈로 숨져 육군이 뒤늦게 순직을 인정했습니다.
여군의 임신과 출산에 대한 지원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육군 장교 출신인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대를 이어 강원도 최전방 부대에서 근무하던 28살 이신애 중위.
임신 7개월의 몸으로 하루 12시간 넘게 근무를 하다 지난 2월 뇌출혈로 숨졌습니다.
<녹취> 이 모 씨(이신애 중위 아버지) : "인제군에는 산부인과가 없어서 그렇게 된 거죠. 춘천하고 속초에 산부인과가 있는데 군 위수 지역을 벗어나는 거죠."
당시 육군은 이 중위 사망 원인인 임신성 고혈압이 업무와는 상관 없는 것이었다며 '일반 사망' 처리했습니다.
하지만 뒤늦게 국민권익위원회의 권고를 받고 과로에 따른 '순직'을 인정하게 됐습니다.
조금이나마 망자의 넋을 위로할 수 있게는 됐지만 제2, 제3의 피해 여군이 나올 가능성은 여전한 상태입니다.
전국 16개 국군병원 가운데 산부인과가 있는 병원은 5곳, 특히 군의관 2천 명 가운데 산부인과 전문의는 5명에 불과합니다.
현재 전군에 배치된 여군은 8천 3백여 명.
국방부는 여군 비중을 2020년까지 현재 4%대에서 6%까지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그러나 이런 계획에 앞서 여군의 임신.출산.육아 관련 대책 마련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
-
황현택 기자 news1@kbs.co.kr
황현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