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해수면↑, ‘대재앙’ 닥친다…인류적 대책 필요

입력 2013.09.27 (21:28) 수정 2013.09.27 (22: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빙하가 녹은 물로 해수면이 상승해 뉴욕을 비롯한 대도시가 침수된다는 영화 '투모로우'의 한 장면입니다.

이번 IPCC의 기후변화 보고서 가운데 가장 충격적인 내용도 2100년이면 바닷물 수위가 최고 98cm까지 오른다는 건데요.

지구촌의 곳곳이 바닷물에 침수되면서 이재민이 6억 명에 이를 것이란 예측입니다.

김민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 세계 인구의 40%가 살고 있는 해안가.

해안에서 수백 미터 내 도시들이 바닷속으로 사라지는 위기가, 앞으로 80여 년 뒤엔 현실이 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오늘 유엔 산하 국제 기후변화협의체, IPCC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100년엔 해수면이 최대 98cm나 높아져, 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은 대부분 물에 잠기고, 북유럽의 해안지대도 바다로 변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미국 뉴욕도 물에 잠겨, 해안선과 불과 7여km 남짓 떨어진 케네디 공항까지 침수됩니다.

중국대륙 역시 지도가 달라집니다.

장쑤성 부근 중국 남동부해안도 완전히 사라질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발생하는 이재민은 무려 6억 명, 현재 세계 인구의 8%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최근 20년 동안 두 배 가까이 높아진 해수면 상승속도가 앞으로 100년 동안은 지금보다도 3배 이상 더 훨씬 빨라질 것으로 예측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윤원태(기상청 기후정책과장) :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중에 해양이 흡수하는 양이 많아져 바다가 뜨거워지면서 팽창하고 여기에 그린랜드의 빙하가 감소하면서 해수면 상승이 가속화 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바다가 뜨거워지면 슈퍼 태풍 발생 가능성도 커져 해안선의 침수는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우려됩니다.

<기자 멘트>

우리나라는 어떻게 될까요?

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예측한 결과, 2100년이면 해수면이 최고 1m 36cm 더 올라갑니다.

서울 면적의 7배인 4천여 제곱킬로미터가 침수되는데, 국토 면적의 4%에 해당합니다.

또, 현재 침수 예상지역 거주민은 백4십만 명에 달합니다.

특히 인천시를 보면 인천공항과 연안 매립지까지 침수되는 등 인천광역시의 45%가 바닷물에 잠기는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이곳은 부산 낙동강 하구의 녹산공단입니다.

바다에 맞닿아 있는데, 해수면 상승에 따라 녹산공단을 비롯한 전국 90개 연안 공단, 5백여 제곱킬로미터가 침수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한반도의 아열대화도 꾸준히 진행됩니다.

현재 제주도와 일부 남해안까지만 아열대 기후지만, 금세기 말이면 강원도를 제외한 전국이 아열대로 바뀌어 극심한 폭염과 집중호우, 슈퍼태풍도 자주 북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구 온난화는 인류가 화석연료를 사용해 불러온 환경 재앙입니다.

이런 재앙을 막기 위해 어떤 대책이 필요한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2009년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에서 우리 정부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치보다 30% 줄이겠다고 국제 사회에 공언했습니다.

그러나, 이듬해 2010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오히려 9.8%나 늘었고, 올해 도입 예정이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2년이나 연기됐습니다.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현재 세계 7위 규모, 전력 수급계획에 따라 화력발전소 12개를 더 짓게 되면 배출량은 5% 더 늘어납니다.

<인터뷰> 오재호(부경대 교수/전 녹색성장위 위원) : "과감한 온실가스 저감 정책을 지난 정부에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경제적인 압박이라든가 에너지원에 대한 문제 이런 상황으로 인해서 현실은 크게 못 미치고 있습니다."

최근 기온 상승이 멈췄다는 온난화 회의론도 기후변화 대책을 주저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IPCC는 1970년 이후 5차례 기온 상승이 주춤했지만 온난화 경향을 뒤집을 만한 과학적 근거는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라젠드라 파차우리(IPCC 의장)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기 위해 탄소세를 물리는 등의 세금정책을 쓰고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을 늘려가는 에너지 체계 개편이 전인류의 시급한 과제입니다.

국제 사회가 이런 기후변화 대책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면 해수면의 상승을 47cm까지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IPCC는 분석했습니다.

세계 각국의 공조만이 이번 세기말 닥쳐올 바닷물의 공포로부터 인류를 구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해수면↑, ‘대재앙’ 닥친다…인류적 대책 필요
    • 입력 2013-09-27 21:30:01
    • 수정2013-09-27 22:14:14
    뉴스 9
<기자 멘트>

빙하가 녹은 물로 해수면이 상승해 뉴욕을 비롯한 대도시가 침수된다는 영화 '투모로우'의 한 장면입니다.

이번 IPCC의 기후변화 보고서 가운데 가장 충격적인 내용도 2100년이면 바닷물 수위가 최고 98cm까지 오른다는 건데요.

지구촌의 곳곳이 바닷물에 침수되면서 이재민이 6억 명에 이를 것이란 예측입니다.

김민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전 세계 인구의 40%가 살고 있는 해안가.

해안에서 수백 미터 내 도시들이 바닷속으로 사라지는 위기가, 앞으로 80여 년 뒤엔 현실이 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오늘 유엔 산하 국제 기후변화협의체, IPCC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100년엔 해수면이 최대 98cm나 높아져, 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은 대부분 물에 잠기고, 북유럽의 해안지대도 바다로 변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미국 뉴욕도 물에 잠겨, 해안선과 불과 7여km 남짓 떨어진 케네디 공항까지 침수됩니다.

중국대륙 역시 지도가 달라집니다.

장쑤성 부근 중국 남동부해안도 완전히 사라질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해수면 상승으로 발생하는 이재민은 무려 6억 명, 현재 세계 인구의 8%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최근 20년 동안 두 배 가까이 높아진 해수면 상승속도가 앞으로 100년 동안은 지금보다도 3배 이상 더 훨씬 빨라질 것으로 예측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윤원태(기상청 기후정책과장) :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중에 해양이 흡수하는 양이 많아져 바다가 뜨거워지면서 팽창하고 여기에 그린랜드의 빙하가 감소하면서 해수면 상승이 가속화 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바다가 뜨거워지면 슈퍼 태풍 발생 가능성도 커져 해안선의 침수는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우려됩니다.

<기자 멘트>

우리나라는 어떻게 될까요?

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예측한 결과, 2100년이면 해수면이 최고 1m 36cm 더 올라갑니다.

서울 면적의 7배인 4천여 제곱킬로미터가 침수되는데, 국토 면적의 4%에 해당합니다.

또, 현재 침수 예상지역 거주민은 백4십만 명에 달합니다.

특히 인천시를 보면 인천공항과 연안 매립지까지 침수되는 등 인천광역시의 45%가 바닷물에 잠기는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이곳은 부산 낙동강 하구의 녹산공단입니다.

바다에 맞닿아 있는데, 해수면 상승에 따라 녹산공단을 비롯한 전국 90개 연안 공단, 5백여 제곱킬로미터가 침수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한반도의 아열대화도 꾸준히 진행됩니다.

현재 제주도와 일부 남해안까지만 아열대 기후지만, 금세기 말이면 강원도를 제외한 전국이 아열대로 바뀌어 극심한 폭염과 집중호우, 슈퍼태풍도 자주 북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구 온난화는 인류가 화석연료를 사용해 불러온 환경 재앙입니다.

이런 재앙을 막기 위해 어떤 대책이 필요한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2009년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에서 우리 정부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치보다 30% 줄이겠다고 국제 사회에 공언했습니다.

그러나, 이듬해 2010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오히려 9.8%나 늘었고, 올해 도입 예정이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2년이나 연기됐습니다.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현재 세계 7위 규모, 전력 수급계획에 따라 화력발전소 12개를 더 짓게 되면 배출량은 5% 더 늘어납니다.

<인터뷰> 오재호(부경대 교수/전 녹색성장위 위원) : "과감한 온실가스 저감 정책을 지난 정부에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경제적인 압박이라든가 에너지원에 대한 문제 이런 상황으로 인해서 현실은 크게 못 미치고 있습니다."

최근 기온 상승이 멈췄다는 온난화 회의론도 기후변화 대책을 주저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IPCC는 1970년 이후 5차례 기온 상승이 주춤했지만 온난화 경향을 뒤집을 만한 과학적 근거는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라젠드라 파차우리(IPCC 의장)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기 위해 탄소세를 물리는 등의 세금정책을 쓰고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을 늘려가는 에너지 체계 개편이 전인류의 시급한 과제입니다.

국제 사회가 이런 기후변화 대책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면 해수면의 상승을 47cm까지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IPCC는 분석했습니다.

세계 각국의 공조만이 이번 세기말 닥쳐올 바닷물의 공포로부터 인류를 구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