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공간이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
입력 2013.10.01 (07:42)
수정 2013.10.01 (07: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낡은 건물은 허물고 새 건물을 짓는 게 일반적인 도시의 풍경이었죠.
그런데 최근 몇십 년 된 낡은 건물의 공간이 그대로 보존돼 문화 공간으로 하나 둘 새롭게 태어나고 있습니다.
조태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붉은 벽돌의 외벽과 녹슨 창틀에서 세월의 흔적이 묻어납니다.
여기저기 덧댄 시멘트 벽과 드러난 배관까지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습니다.
1970년대 초부터 정미소로 또 창고로 쓰였던 이 건물에 20~30대 젊은이들이 모였습니다.
유명 록 가수의 콘서트가 열린 겁니다.
낡고 좁은 창고를 거친 록 음악과 관객들의 함성이 채우면서 독특한 분위기가 만들어집니다.
<인터뷰> 김은혜(경기도 성남시 태평동) : "페인트 자국이라던지 시멘트로 만든 이런 느낌이, 창고 느낌이 살아있는 것 같아서 좋아요. 색다르고."
40년 된 아파트의 뒷골목. 이 건물 1층에는 오래된 당구장 간판이 걸려있습니다.
하지만, 내부는 도시의 생성과 소멸을 주제로 한 작품이 전시된 미술관입니다.
<인터뷰> 박주원(미술관 큐레이터) : "굉장히 낡았지만 그것이 새로운 공간으로 변신하면서 또 다른 즐거움을 준다는 점이 큰 만족을 주는 것 같습니다."
버려진 발전소를 활용한 영국의 테이트모던 미술관 등 낡은 건물을 문화 공간으로 꾸미는 것은 외국에선 흔한 일입니다.
아직은 미흡하지만 삭막했던 우리 도시들도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문화의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태흠입니다.
낡은 건물은 허물고 새 건물을 짓는 게 일반적인 도시의 풍경이었죠.
그런데 최근 몇십 년 된 낡은 건물의 공간이 그대로 보존돼 문화 공간으로 하나 둘 새롭게 태어나고 있습니다.
조태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붉은 벽돌의 외벽과 녹슨 창틀에서 세월의 흔적이 묻어납니다.
여기저기 덧댄 시멘트 벽과 드러난 배관까지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습니다.
1970년대 초부터 정미소로 또 창고로 쓰였던 이 건물에 20~30대 젊은이들이 모였습니다.
유명 록 가수의 콘서트가 열린 겁니다.
낡고 좁은 창고를 거친 록 음악과 관객들의 함성이 채우면서 독특한 분위기가 만들어집니다.
<인터뷰> 김은혜(경기도 성남시 태평동) : "페인트 자국이라던지 시멘트로 만든 이런 느낌이, 창고 느낌이 살아있는 것 같아서 좋아요. 색다르고."
40년 된 아파트의 뒷골목. 이 건물 1층에는 오래된 당구장 간판이 걸려있습니다.
하지만, 내부는 도시의 생성과 소멸을 주제로 한 작품이 전시된 미술관입니다.
<인터뷰> 박주원(미술관 큐레이터) : "굉장히 낡았지만 그것이 새로운 공간으로 변신하면서 또 다른 즐거움을 준다는 점이 큰 만족을 주는 것 같습니다."
버려진 발전소를 활용한 영국의 테이트모던 미술관 등 낡은 건물을 문화 공간으로 꾸미는 것은 외국에선 흔한 일입니다.
아직은 미흡하지만 삭막했던 우리 도시들도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문화의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태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낡은 공간이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
-
- 입력 2013-10-01 07:44:19
- 수정2013-10-01 07:58:01

<앵커 멘트>
낡은 건물은 허물고 새 건물을 짓는 게 일반적인 도시의 풍경이었죠.
그런데 최근 몇십 년 된 낡은 건물의 공간이 그대로 보존돼 문화 공간으로 하나 둘 새롭게 태어나고 있습니다.
조태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붉은 벽돌의 외벽과 녹슨 창틀에서 세월의 흔적이 묻어납니다.
여기저기 덧댄 시멘트 벽과 드러난 배관까지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습니다.
1970년대 초부터 정미소로 또 창고로 쓰였던 이 건물에 20~30대 젊은이들이 모였습니다.
유명 록 가수의 콘서트가 열린 겁니다.
낡고 좁은 창고를 거친 록 음악과 관객들의 함성이 채우면서 독특한 분위기가 만들어집니다.
<인터뷰> 김은혜(경기도 성남시 태평동) : "페인트 자국이라던지 시멘트로 만든 이런 느낌이, 창고 느낌이 살아있는 것 같아서 좋아요. 색다르고."
40년 된 아파트의 뒷골목. 이 건물 1층에는 오래된 당구장 간판이 걸려있습니다.
하지만, 내부는 도시의 생성과 소멸을 주제로 한 작품이 전시된 미술관입니다.
<인터뷰> 박주원(미술관 큐레이터) : "굉장히 낡았지만 그것이 새로운 공간으로 변신하면서 또 다른 즐거움을 준다는 점이 큰 만족을 주는 것 같습니다."
버려진 발전소를 활용한 영국의 테이트모던 미술관 등 낡은 건물을 문화 공간으로 꾸미는 것은 외국에선 흔한 일입니다.
아직은 미흡하지만 삭막했던 우리 도시들도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문화의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태흠입니다.
낡은 건물은 허물고 새 건물을 짓는 게 일반적인 도시의 풍경이었죠.
그런데 최근 몇십 년 된 낡은 건물의 공간이 그대로 보존돼 문화 공간으로 하나 둘 새롭게 태어나고 있습니다.
조태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붉은 벽돌의 외벽과 녹슨 창틀에서 세월의 흔적이 묻어납니다.
여기저기 덧댄 시멘트 벽과 드러난 배관까지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습니다.
1970년대 초부터 정미소로 또 창고로 쓰였던 이 건물에 20~30대 젊은이들이 모였습니다.
유명 록 가수의 콘서트가 열린 겁니다.
낡고 좁은 창고를 거친 록 음악과 관객들의 함성이 채우면서 독특한 분위기가 만들어집니다.
<인터뷰> 김은혜(경기도 성남시 태평동) : "페인트 자국이라던지 시멘트로 만든 이런 느낌이, 창고 느낌이 살아있는 것 같아서 좋아요. 색다르고."
40년 된 아파트의 뒷골목. 이 건물 1층에는 오래된 당구장 간판이 걸려있습니다.
하지만, 내부는 도시의 생성과 소멸을 주제로 한 작품이 전시된 미술관입니다.
<인터뷰> 박주원(미술관 큐레이터) : "굉장히 낡았지만 그것이 새로운 공간으로 변신하면서 또 다른 즐거움을 준다는 점이 큰 만족을 주는 것 같습니다."
버려진 발전소를 활용한 영국의 테이트모던 미술관 등 낡은 건물을 문화 공간으로 꾸미는 것은 외국에선 흔한 일입니다.
아직은 미흡하지만 삭막했던 우리 도시들도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문화의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태흠입니다.
-
-
조태흠 기자 jotem@kbs.co.kr
조태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