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장수하늘소 첫 야생적응 실험
입력 2013.10.01 (09:43)
수정 2013.10.01 (10: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나라에서는 사실상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천연기념물인 장수하늘소를 복원하기 위한 야생적응 실험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국립공원 오대산에서 시작됐습니다.
장수하늘소의 생태 비밀을 밝히는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김민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몸집이 크고 힘이 세 장수라는 이름을 가진 장수하늘소
흑갈색의 몸에 톱날 같은 가시가 돋아 있습니다.
동북아 지역에서 가장 큰 곤충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어려워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분류돼 있습니다.
장수하늘소는 지난 2천 6년 경기도 광릉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된 이후 지금껏 자연상태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신갈나무 고사목에 구멍을 뚫고, 인공증식된 지 2년 6개월이 지난 10센티미터 크기의 장수하늘소 유충을 넣습니다.
부화한 지 3달 된 1센티미터의 유충 10마리도 야생적응에 들어가 나무를 갉아먹으며 성충으로 자라게 됩니다.
장수하늘소는 알에서 부화한 지 5년에서 7년이 되면 성충이 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과학적으로 규명된 바는 없습니다.
무인 카메라를 통해 유충이 성충이 되는 전 과정을 기록합니다.
<인터뷰> 이대암(영월곤충박물관장) : "인공증식을 통해 얻은 유충을 넣어서 이 유충들이 성충이 돼서 나올 때까지 얼마나 걸리는지 측정하는데..."
특히 오대산 지역은 장수하늘소의 남방 한계선이어서 복원의 최적지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규만(원주지방환경청장) : "장수하늘소 복원사업은 시일이 많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지속적으로 복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첫 인공증식에 이어 이번 야생적응 실험에서 생태의 비밀이 풀리면 복원사업도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민성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사실상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천연기념물인 장수하늘소를 복원하기 위한 야생적응 실험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국립공원 오대산에서 시작됐습니다.
장수하늘소의 생태 비밀을 밝히는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김민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몸집이 크고 힘이 세 장수라는 이름을 가진 장수하늘소
흑갈색의 몸에 톱날 같은 가시가 돋아 있습니다.
동북아 지역에서 가장 큰 곤충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어려워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분류돼 있습니다.
장수하늘소는 지난 2천 6년 경기도 광릉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된 이후 지금껏 자연상태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신갈나무 고사목에 구멍을 뚫고, 인공증식된 지 2년 6개월이 지난 10센티미터 크기의 장수하늘소 유충을 넣습니다.
부화한 지 3달 된 1센티미터의 유충 10마리도 야생적응에 들어가 나무를 갉아먹으며 성충으로 자라게 됩니다.
장수하늘소는 알에서 부화한 지 5년에서 7년이 되면 성충이 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과학적으로 규명된 바는 없습니다.
무인 카메라를 통해 유충이 성충이 되는 전 과정을 기록합니다.
<인터뷰> 이대암(영월곤충박물관장) : "인공증식을 통해 얻은 유충을 넣어서 이 유충들이 성충이 돼서 나올 때까지 얼마나 걸리는지 측정하는데..."
특히 오대산 지역은 장수하늘소의 남방 한계선이어서 복원의 최적지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규만(원주지방환경청장) : "장수하늘소 복원사업은 시일이 많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지속적으로 복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첫 인공증식에 이어 이번 야생적응 실험에서 생태의 비밀이 풀리면 복원사업도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민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멸종위기 장수하늘소 첫 야생적응 실험
-
- 입력 2013-10-01 09:46:13
- 수정2013-10-01 10:02:51

<앵커 멘트>
우리나라에서는 사실상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천연기념물인 장수하늘소를 복원하기 위한 야생적응 실험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국립공원 오대산에서 시작됐습니다.
장수하늘소의 생태 비밀을 밝히는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김민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몸집이 크고 힘이 세 장수라는 이름을 가진 장수하늘소
흑갈색의 몸에 톱날 같은 가시가 돋아 있습니다.
동북아 지역에서 가장 큰 곤충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어려워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분류돼 있습니다.
장수하늘소는 지난 2천 6년 경기도 광릉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된 이후 지금껏 자연상태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신갈나무 고사목에 구멍을 뚫고, 인공증식된 지 2년 6개월이 지난 10센티미터 크기의 장수하늘소 유충을 넣습니다.
부화한 지 3달 된 1센티미터의 유충 10마리도 야생적응에 들어가 나무를 갉아먹으며 성충으로 자라게 됩니다.
장수하늘소는 알에서 부화한 지 5년에서 7년이 되면 성충이 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과학적으로 규명된 바는 없습니다.
무인 카메라를 통해 유충이 성충이 되는 전 과정을 기록합니다.
<인터뷰> 이대암(영월곤충박물관장) : "인공증식을 통해 얻은 유충을 넣어서 이 유충들이 성충이 돼서 나올 때까지 얼마나 걸리는지 측정하는데..."
특히 오대산 지역은 장수하늘소의 남방 한계선이어서 복원의 최적지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규만(원주지방환경청장) : "장수하늘소 복원사업은 시일이 많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지속적으로 복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첫 인공증식에 이어 이번 야생적응 실험에서 생태의 비밀이 풀리면 복원사업도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민성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사실상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천연기념물인 장수하늘소를 복원하기 위한 야생적응 실험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국립공원 오대산에서 시작됐습니다.
장수하늘소의 생태 비밀을 밝히는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김민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몸집이 크고 힘이 세 장수라는 이름을 가진 장수하늘소
흑갈색의 몸에 톱날 같은 가시가 돋아 있습니다.
동북아 지역에서 가장 큰 곤충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어려워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분류돼 있습니다.
장수하늘소는 지난 2천 6년 경기도 광릉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된 이후 지금껏 자연상태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신갈나무 고사목에 구멍을 뚫고, 인공증식된 지 2년 6개월이 지난 10센티미터 크기의 장수하늘소 유충을 넣습니다.
부화한 지 3달 된 1센티미터의 유충 10마리도 야생적응에 들어가 나무를 갉아먹으며 성충으로 자라게 됩니다.
장수하늘소는 알에서 부화한 지 5년에서 7년이 되면 성충이 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과학적으로 규명된 바는 없습니다.
무인 카메라를 통해 유충이 성충이 되는 전 과정을 기록합니다.
<인터뷰> 이대암(영월곤충박물관장) : "인공증식을 통해 얻은 유충을 넣어서 이 유충들이 성충이 돼서 나올 때까지 얼마나 걸리는지 측정하는데..."
특히 오대산 지역은 장수하늘소의 남방 한계선이어서 복원의 최적지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규만(원주지방환경청장) : "장수하늘소 복원사업은 시일이 많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지속적으로 복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첫 인공증식에 이어 이번 야생적응 실험에서 생태의 비밀이 풀리면 복원사업도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KBS 뉴스 김민성입니다.
-
-
김민성 기자 kims@kbs.co.kr
김민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