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의 경영상 필요에 따라 퇴사한 뒤 하청업체에 재입사한 경우 다소 공백기간이 있더라도 원청업체 근무까지 근속기간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판결이 나왔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부(이승택 부장판사)는 강원도 삼척의 한 광업소에서 일하다가 퇴직한 최모(51)씨가 "근속기간을 다시 계산해 석탄생산감축지원금을 달라"며 한국광해관리공단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고 6일 밝혔다.
석탄생산감축지원금은 퇴직한 광산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전업준비금과 특별위로금을 말한다. 경제성이 없는 석탄의 생산 감축을 유도하기 위해 1994년 도입됐다. 액수는 근속기간과 평균임금에 따라 다르다.
최씨는 1994년 한 광산업체에 입사했다. 그는 '자리가 불필요해졌으니 하청업체로 옮기라'는 회사의 요구로 2009년 퇴직하고 한 달을 쉰 뒤 하청업체로 이직했다.
광해관리공단은 올해 초 퇴직한 최씨에게 하청업체에서 근무한 3년 7개월만 근속기간으로 인정해 지원금을 책정했다. 그러나 최씨는 1994년 최초 입사 때부터 18년 7개월을 근속기간으로 봐야 한다며 소송을 냈다.
재판부는 최씨가 회사의 요구에 따라 이직한 만큼 근속기간이 단절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1개월의 공백 역시 문제가 안 된다고 봤다.
재판부는 "공백기간이 비교적 짧은데다 근무를 원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전임자의 자리가 비기를 기다린 것에 불과하다"며 "공백기간 여부만으로 근속기간을 산정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판시했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부(이승택 부장판사)는 강원도 삼척의 한 광업소에서 일하다가 퇴직한 최모(51)씨가 "근속기간을 다시 계산해 석탄생산감축지원금을 달라"며 한국광해관리공단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고 6일 밝혔다.
석탄생산감축지원금은 퇴직한 광산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전업준비금과 특별위로금을 말한다. 경제성이 없는 석탄의 생산 감축을 유도하기 위해 1994년 도입됐다. 액수는 근속기간과 평균임금에 따라 다르다.
최씨는 1994년 한 광산업체에 입사했다. 그는 '자리가 불필요해졌으니 하청업체로 옮기라'는 회사의 요구로 2009년 퇴직하고 한 달을 쉰 뒤 하청업체로 이직했다.
광해관리공단은 올해 초 퇴직한 최씨에게 하청업체에서 근무한 3년 7개월만 근속기간으로 인정해 지원금을 책정했다. 그러나 최씨는 1994년 최초 입사 때부터 18년 7개월을 근속기간으로 봐야 한다며 소송을 냈다.
재판부는 최씨가 회사의 요구에 따라 이직한 만큼 근속기간이 단절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1개월의 공백 역시 문제가 안 된다고 봤다.
재판부는 "공백기간이 비교적 짧은데다 근무를 원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전임자의 자리가 비기를 기다린 것에 불과하다"며 "공백기간 여부만으로 근속기간을 산정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판시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법원 “회사 요구로 재입사 땐 근속기간 연장”
-
- 입력 2013-10-06 09:26:02
회사의 경영상 필요에 따라 퇴사한 뒤 하청업체에 재입사한 경우 다소 공백기간이 있더라도 원청업체 근무까지 근속기간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판결이 나왔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부(이승택 부장판사)는 강원도 삼척의 한 광업소에서 일하다가 퇴직한 최모(51)씨가 "근속기간을 다시 계산해 석탄생산감축지원금을 달라"며 한국광해관리공단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고 6일 밝혔다.
석탄생산감축지원금은 퇴직한 광산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전업준비금과 특별위로금을 말한다. 경제성이 없는 석탄의 생산 감축을 유도하기 위해 1994년 도입됐다. 액수는 근속기간과 평균임금에 따라 다르다.
최씨는 1994년 한 광산업체에 입사했다. 그는 '자리가 불필요해졌으니 하청업체로 옮기라'는 회사의 요구로 2009년 퇴직하고 한 달을 쉰 뒤 하청업체로 이직했다.
광해관리공단은 올해 초 퇴직한 최씨에게 하청업체에서 근무한 3년 7개월만 근속기간으로 인정해 지원금을 책정했다. 그러나 최씨는 1994년 최초 입사 때부터 18년 7개월을 근속기간으로 봐야 한다며 소송을 냈다.
재판부는 최씨가 회사의 요구에 따라 이직한 만큼 근속기간이 단절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1개월의 공백 역시 문제가 안 된다고 봤다.
재판부는 "공백기간이 비교적 짧은데다 근무를 원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전임자의 자리가 비기를 기다린 것에 불과하다"며 "공백기간 여부만으로 근속기간을 산정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판시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