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비중 축소…현재 추진중인 원전 어떻게 되나
입력 2013.10.13 (16:42)
수정 2013.10.13 (16: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2024년까지 총 11기 건설 중이거나 건설 예정
현재로선 2차 에너지기본계획 계획 영향 가늠하기 힘들어
국가에너지기본계획 민관워킹그룹이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2013∼2035년)에서 원전 비중 목표를 22∼29%로 설정함에 따라 현재 진행 중이거나 계획한 원전 건설 사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13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기존 23개의 원전 외에 2010년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현재 건설 중이거나 건설 예정된 원전은 총 11기다.
신월성 2호기(설비용량 100만kW)가 내년 7월 완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고 밀양 송전탑 건설과 관련된 신고리 3·4호기(각 140만kW)도 나란히 내년 8·9월 완공될 예정이다.
이어 신한울 1호기(140만kW)가 2017년 4월, 신한울 2호기(140만kW)기가 이듬해 2월 완공을 목표로 한창 공사가 진행 중이다.
여기에 더해 신고리 5호기(완공 예정 2019년. 140만kW), 신고리 6호기(2020년. 140만kW), 신울진 3호기(2021년. 140만kW), 신울진 4호기(2022년. 140만kW), 신고리 7호기(150만kW. 2023년), 신고리 8호기(1
50만kW. 2024년) 등은 건설 예정이다.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원전 공급 확대를 뼈대로 2008년 설계된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2008∼2030년)의 세부 실행 계획이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원전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올해 초 공개된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3∼2027년)에는 신규 건설 계획이 빠졌다.
2035년 원전 비중 목표를 22∼29% 범위로 설정한 것이 이들 원전 11기 사업 추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현재로서는 가늠하기 어렵다.
고리 원전 1호기 등 노후 원전 폐쇄 여부, 전력소비 증가율 등 여러 변수가 있기 때문이다.
전력소비 증가율이 빠르게 둔화하거나 정부가 강력한 수요관리 정책을 세운다면 2020년 이후 완공 예정인 원전의 경우 백지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반대로 전력수요가 현재처럼 급격하게 증가할 경우 추진 중인 것은 물론이고 신규 건설이 필요해질 수도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력수요 예측치나 실제 수요치가 언제든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원전 기수 축소 또는 확대를 예상하기는 힘들다"며 "이 부분은 장기적 관점에서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현재로선 2차 에너지기본계획 계획 영향 가늠하기 힘들어
국가에너지기본계획 민관워킹그룹이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2013∼2035년)에서 원전 비중 목표를 22∼29%로 설정함에 따라 현재 진행 중이거나 계획한 원전 건설 사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13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기존 23개의 원전 외에 2010년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현재 건설 중이거나 건설 예정된 원전은 총 11기다.
신월성 2호기(설비용량 100만kW)가 내년 7월 완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고 밀양 송전탑 건설과 관련된 신고리 3·4호기(각 140만kW)도 나란히 내년 8·9월 완공될 예정이다.
이어 신한울 1호기(140만kW)가 2017년 4월, 신한울 2호기(140만kW)기가 이듬해 2월 완공을 목표로 한창 공사가 진행 중이다.
여기에 더해 신고리 5호기(완공 예정 2019년. 140만kW), 신고리 6호기(2020년. 140만kW), 신울진 3호기(2021년. 140만kW), 신울진 4호기(2022년. 140만kW), 신고리 7호기(150만kW. 2023년), 신고리 8호기(1
50만kW. 2024년) 등은 건설 예정이다.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원전 공급 확대를 뼈대로 2008년 설계된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2008∼2030년)의 세부 실행 계획이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원전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올해 초 공개된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3∼2027년)에는 신규 건설 계획이 빠졌다.
2035년 원전 비중 목표를 22∼29% 범위로 설정한 것이 이들 원전 11기 사업 추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현재로서는 가늠하기 어렵다.
고리 원전 1호기 등 노후 원전 폐쇄 여부, 전력소비 증가율 등 여러 변수가 있기 때문이다.
전력소비 증가율이 빠르게 둔화하거나 정부가 강력한 수요관리 정책을 세운다면 2020년 이후 완공 예정인 원전의 경우 백지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반대로 전력수요가 현재처럼 급격하게 증가할 경우 추진 중인 것은 물론이고 신규 건설이 필요해질 수도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력수요 예측치나 실제 수요치가 언제든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원전 기수 축소 또는 확대를 예상하기는 힘들다"며 "이 부분은 장기적 관점에서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원전 비중 축소…현재 추진중인 원전 어떻게 되나
-
- 입력 2013-10-13 16:42:11
- 수정2013-10-13 16:42:35
2024년까지 총 11기 건설 중이거나 건설 예정
현재로선 2차 에너지기본계획 계획 영향 가늠하기 힘들어
국가에너지기본계획 민관워킹그룹이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2013∼2035년)에서 원전 비중 목표를 22∼29%로 설정함에 따라 현재 진행 중이거나 계획한 원전 건설 사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13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기존 23개의 원전 외에 2010년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현재 건설 중이거나 건설 예정된 원전은 총 11기다.
신월성 2호기(설비용량 100만kW)가 내년 7월 완공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고 밀양 송전탑 건설과 관련된 신고리 3·4호기(각 140만kW)도 나란히 내년 8·9월 완공될 예정이다.
이어 신한울 1호기(140만kW)가 2017년 4월, 신한울 2호기(140만kW)기가 이듬해 2월 완공을 목표로 한창 공사가 진행 중이다.
여기에 더해 신고리 5호기(완공 예정 2019년. 140만kW), 신고리 6호기(2020년. 140만kW), 신울진 3호기(2021년. 140만kW), 신울진 4호기(2022년. 140만kW), 신고리 7호기(150만kW. 2023년), 신고리 8호기(1
50만kW. 2024년) 등은 건설 예정이다.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원전 공급 확대를 뼈대로 2008년 설계된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2008∼2030년)의 세부 실행 계획이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원전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올해 초 공개된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3∼2027년)에는 신규 건설 계획이 빠졌다.
2035년 원전 비중 목표를 22∼29% 범위로 설정한 것이 이들 원전 11기 사업 추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현재로서는 가늠하기 어렵다.
고리 원전 1호기 등 노후 원전 폐쇄 여부, 전력소비 증가율 등 여러 변수가 있기 때문이다.
전력소비 증가율이 빠르게 둔화하거나 정부가 강력한 수요관리 정책을 세운다면 2020년 이후 완공 예정인 원전의 경우 백지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반대로 전력수요가 현재처럼 급격하게 증가할 경우 추진 중인 것은 물론이고 신규 건설이 필요해질 수도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력수요 예측치나 실제 수요치가 언제든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원전 기수 축소 또는 확대를 예상하기는 힘들다"며 "이 부분은 장기적 관점에서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