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택시요금 오른지 2주…‘승차 거부’ 여전

입력 2013.10.28 (12:17) 수정 2013.10.28 (18: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서울의 택시요금이 오른 지 2주가 됐는데요.

택시기사 처우가 개선돼 승차 거부 근절 등 서비스 개선효과가 있을 거라고 서울시는 전했습니다.

과연 요금이 올라서 승차거부가 줄었을까요?

박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자정을 넘긴 서울 강남역, 한 택시가 여성 승객을 태우지 않고 그냥 보냅니다.

<녹취> 택시 기사 : "(건너가서 타는 자체가 승차거부입니다.) 한번만 봐주세요. 나 지금 들어가야 되서... ..."

단속 통지를 받은 기사는 되레 분통을 터트립니다.

<녹취> 택시 기사 : "실적 올리려고 하는거요. 뭐요 이게 내가 뭐 틀린얘기 했어요!"

잠시 뒤...

<녹취> 승객 : "(어디가신다고 하셨어요?) 저 사당이요. (그냥 지나갔어요?) 네"

택시기사도 할 말이 있습니다.

<녹취> 택시 운전 기사 : "건너가서 타는게 맞지 않느냐...횡단보도 건너가면 많이 있어요 차가..."

하지만, 일단 승객을 보고 택시를 세웠다면 모두 승차거부에 해당됩니다.

손을 들어도...두드려도... 그냥 지나쳐 버리는 빈 택시...

요금은 올랐지만 시민들의 불편은 여전합니다.

<인터뷰> 권주연(서울 봉천동) : "계속 승차거부는 심한것 같아요 여기서 2시간 기다린 적도 있거든요"

문제는 허술한 처벌 규정...

지난 9월까지 서울시에 접수된 승차거부 신고는 만 천건 정도입니다.

하지만, 자격정지나 취소는 11건 과태료가 부과된 경우도 전체의 20% 수준에 불과합니다.

연말까지 집중 단속은 계속되지만 처벌 강화 등 근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택시요금 오른지 2주…‘승차 거부’ 여전
    • 입력 2013-10-28 13:08:45
    • 수정2013-10-28 18:52:44
    뉴스 12
<앵커 멘트>

서울의 택시요금이 오른 지 2주가 됐는데요.

택시기사 처우가 개선돼 승차 거부 근절 등 서비스 개선효과가 있을 거라고 서울시는 전했습니다.

과연 요금이 올라서 승차거부가 줄었을까요?

박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자정을 넘긴 서울 강남역, 한 택시가 여성 승객을 태우지 않고 그냥 보냅니다.

<녹취> 택시 기사 : "(건너가서 타는 자체가 승차거부입니다.) 한번만 봐주세요. 나 지금 들어가야 되서... ..."

단속 통지를 받은 기사는 되레 분통을 터트립니다.

<녹취> 택시 기사 : "실적 올리려고 하는거요. 뭐요 이게 내가 뭐 틀린얘기 했어요!"

잠시 뒤...

<녹취> 승객 : "(어디가신다고 하셨어요?) 저 사당이요. (그냥 지나갔어요?) 네"

택시기사도 할 말이 있습니다.

<녹취> 택시 운전 기사 : "건너가서 타는게 맞지 않느냐...횡단보도 건너가면 많이 있어요 차가..."

하지만, 일단 승객을 보고 택시를 세웠다면 모두 승차거부에 해당됩니다.

손을 들어도...두드려도... 그냥 지나쳐 버리는 빈 택시...

요금은 올랐지만 시민들의 불편은 여전합니다.

<인터뷰> 권주연(서울 봉천동) : "계속 승차거부는 심한것 같아요 여기서 2시간 기다린 적도 있거든요"

문제는 허술한 처벌 규정...

지난 9월까지 서울시에 접수된 승차거부 신고는 만 천건 정도입니다.

하지만, 자격정지나 취소는 11건 과태료가 부과된 경우도 전체의 20% 수준에 불과합니다.

연말까지 집중 단속은 계속되지만 처벌 강화 등 근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