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美 NSA 도청 파문 확산…한국 대통령도?

입력 2013.10.28 (21:18) 수정 2013.10.28 (22: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미국 메릴랜드주에 있는 국가안보국,NSA 본붑니다.

이 NSA의 도청, 과연 어디, 어느 수준까지 퍼져있을까요?

세계의 지도자들, 이 각국 정상들의 전화도 대부분 도청됐다는게 유럽언론의 폭롭니다.

우방국가, 동맹국 정상들의 통화내용도 오바마 대통령은 다 알고 있었다는 얘기죠.

독일 메르켈 총리와 오바마 대통령.

아주 가까운 사이였는데요.

미 국가안보국은 메르켈 총리의 휴대전화를 10년 넘게 도청해왔고, 3년전부터는 오바마 대통령도 알고 있었다는 보도까지 나왔습니다.

바로 이 사진, 독일내 미국 대사관의 옥상 테라스인데요.

가까운 곳에 있는 총리 관저나 의사당이 다 보여 NSA의 도청 장소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NSA는 베를린과 파리,마드리드 등 전 세계 80여곳에 도청 비밀 조직을 운영해왔다고 합니다.

물론 미국 정부는 "대통령은 몰랐다", "국제평화와 안보를 위해 불가피한 일"이라고 해명합니다.

그러나 유엔에서도 독일과 브라질을 중심으로 시정 요구 결의안이 추진되는 등 국제적 비판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먼저 정상들에 대한 도청이 어떻게 이뤄졌는지, 실태를 이은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청 파문 이후 전화 사용에 유난히 민감해진 메르켈 총리.

휴대 전화까지 바꿨지만 소용이 없었습니다.

전화번호는 친분있는 미국관리를 통해 미 국가안보국에 넘겨졌고, 미 대사관의 비밀지부, 첨단 장비를 통해 도청됐습니다.

휴대 전화에서 기지국으로 가는 동안 통화내용이 무선신호로 추출돼 음성 정보로 전환하는 방식이 동원됐을 수 있습니다.

기지국과 기지국을 잇는 광케이블에 특수 장치를 설치해 통화 내용을 도청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인터뷰> 임종인(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최근에는 펨토셀이라고 해서 초소형 이동기지국이 있거든요. 그걸 이용해서 실시간으로 녹음도 하고 해킹도 합니다."

전 세계 통신 정보의 80%가 오가는 북미의 해저 광케이블도 감시 대상이었습니다.

이른바 '업스트림'이란 프로그램으로 광케이블의 정보를 직접 수집한 것입니다.

여기에 통신사업자의 협력을 얻는 프리즘 프로그램을 결합해 통신 시간과 메일내용까지 확보해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 세계 표준이 된 미국의 앞선 통신기술과 장비가 미 정보기관, 도청과 감청의 핵심 자산이 됐습니다.

<기자 멘트>

이런 미국 정보기관의 도청 기술앞에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지난 6월에는 미국내 외국대사관에 대한 NSA의 도청목록이 폭로됐는데, 대상이 된 38개국 대사관엔 주미 한국대사관도 포함돼 있었습니다.

당시 폭로 기사를 썼던 전 가디언 지의 글렌 그린왈드 기자는 최근엔 NSA가 한국에 대해서도 도청을 해왔으며, 관련 기록을 정리해 곧 공개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우리 정부도 미국에 사실 확인을 요구하는 등 대책에 부심하고 있습니다.

<리포트>

외교부는 동맹인 미국이 한국을 대상으로도 도청을 했다는 의혹이 잇따르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우선 미국 NSA가 도청한 세계 지도자에 한국 대통령이 포함됐는지 확인을 요청했습니다.

<녹취> 한혜진(외교부 부대변인) : "관련 사실을 확인 중에 있습니다. 구체적 진전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사안의 성격에 따라 엄중하게 대응해나갈 예정입니다."

지난 6월 미국이 워싱턴의 한국 대사관을 도청했다는 스노든의 폭로 때도 외교부는 똑같은 입장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넉 달이 지나도록 사실 관계조차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미국은 우리의 요청에 일반적인 정보활동에 대해 두 차례 설명했을 뿐 묵묵부답입니다.

<녹취> 윤병세(외교부장관/지난 2일 외통위) : "미국의 정보활동에 대한 기본 입장을 우리측에 설명해 왔고요. 또 앞으로 적절한 채널을 통해서 추가적인 협의를 해나가기로 했습니다."

국정원이 요원을 보내 주미 대사관 보안측정을 실시했지만 어떤 방식으로 도청이 이뤄졌는지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만약 주미 대사관에 이어 한국 대통령에 대한 도청까지 사실로 드러날 경우 주권 침해 문제로 비화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대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美 NSA 도청 파문 확산…한국 대통령도?
    • 입력 2013-10-28 21:20:18
    • 수정2013-10-28 22:14:24
    뉴스 9
<앵커 멘트>

미국 메릴랜드주에 있는 국가안보국,NSA 본붑니다.

이 NSA의 도청, 과연 어디, 어느 수준까지 퍼져있을까요?

세계의 지도자들, 이 각국 정상들의 전화도 대부분 도청됐다는게 유럽언론의 폭롭니다.

우방국가, 동맹국 정상들의 통화내용도 오바마 대통령은 다 알고 있었다는 얘기죠.

독일 메르켈 총리와 오바마 대통령.

아주 가까운 사이였는데요.

미 국가안보국은 메르켈 총리의 휴대전화를 10년 넘게 도청해왔고, 3년전부터는 오바마 대통령도 알고 있었다는 보도까지 나왔습니다.

바로 이 사진, 독일내 미국 대사관의 옥상 테라스인데요.

가까운 곳에 있는 총리 관저나 의사당이 다 보여 NSA의 도청 장소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NSA는 베를린과 파리,마드리드 등 전 세계 80여곳에 도청 비밀 조직을 운영해왔다고 합니다.

물론 미국 정부는 "대통령은 몰랐다", "국제평화와 안보를 위해 불가피한 일"이라고 해명합니다.

그러나 유엔에서도 독일과 브라질을 중심으로 시정 요구 결의안이 추진되는 등 국제적 비판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먼저 정상들에 대한 도청이 어떻게 이뤄졌는지, 실태를 이은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도청 파문 이후 전화 사용에 유난히 민감해진 메르켈 총리.

휴대 전화까지 바꿨지만 소용이 없었습니다.

전화번호는 친분있는 미국관리를 통해 미 국가안보국에 넘겨졌고, 미 대사관의 비밀지부, 첨단 장비를 통해 도청됐습니다.

휴대 전화에서 기지국으로 가는 동안 통화내용이 무선신호로 추출돼 음성 정보로 전환하는 방식이 동원됐을 수 있습니다.

기지국과 기지국을 잇는 광케이블에 특수 장치를 설치해 통화 내용을 도청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인터뷰> 임종인(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최근에는 펨토셀이라고 해서 초소형 이동기지국이 있거든요. 그걸 이용해서 실시간으로 녹음도 하고 해킹도 합니다."

전 세계 통신 정보의 80%가 오가는 북미의 해저 광케이블도 감시 대상이었습니다.

이른바 '업스트림'이란 프로그램으로 광케이블의 정보를 직접 수집한 것입니다.

여기에 통신사업자의 협력을 얻는 프리즘 프로그램을 결합해 통신 시간과 메일내용까지 확보해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 세계 표준이 된 미국의 앞선 통신기술과 장비가 미 정보기관, 도청과 감청의 핵심 자산이 됐습니다.

<기자 멘트>

이런 미국 정보기관의 도청 기술앞에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지난 6월에는 미국내 외국대사관에 대한 NSA의 도청목록이 폭로됐는데, 대상이 된 38개국 대사관엔 주미 한국대사관도 포함돼 있었습니다.

당시 폭로 기사를 썼던 전 가디언 지의 글렌 그린왈드 기자는 최근엔 NSA가 한국에 대해서도 도청을 해왔으며, 관련 기록을 정리해 곧 공개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우리 정부도 미국에 사실 확인을 요구하는 등 대책에 부심하고 있습니다.

<리포트>

외교부는 동맹인 미국이 한국을 대상으로도 도청을 했다는 의혹이 잇따르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우선 미국 NSA가 도청한 세계 지도자에 한국 대통령이 포함됐는지 확인을 요청했습니다.

<녹취> 한혜진(외교부 부대변인) : "관련 사실을 확인 중에 있습니다. 구체적 진전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사안의 성격에 따라 엄중하게 대응해나갈 예정입니다."

지난 6월 미국이 워싱턴의 한국 대사관을 도청했다는 스노든의 폭로 때도 외교부는 똑같은 입장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넉 달이 지나도록 사실 관계조차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미국은 우리의 요청에 일반적인 정보활동에 대해 두 차례 설명했을 뿐 묵묵부답입니다.

<녹취> 윤병세(외교부장관/지난 2일 외통위) : "미국의 정보활동에 대한 기본 입장을 우리측에 설명해 왔고요. 또 앞으로 적절한 채널을 통해서 추가적인 협의를 해나가기로 했습니다."

국정원이 요원을 보내 주미 대사관 보안측정을 실시했지만 어떤 방식으로 도청이 이뤄졌는지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만약 주미 대사관에 이어 한국 대통령에 대한 도청까지 사실로 드러날 경우 주권 침해 문제로 비화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대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