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학생 꿈 키우는 음악교실
입력 2013.10.28 (21:38)
수정 2013.10.28 (21: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장애 학생들에게 특별한 음악 활동 기회를 마련해 재능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학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자칫 교육에서 소외되기 쉬운 장애 학생들의 집중력과 사회성이 눈에 띄게 향상되는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송형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 특수학교 음악실, 수준급의 오케스트라 연주가 울려퍼집니다.
지적장애, 발달장애 등 장애학생들이 연주에 집중하는 모습이 전문 음악가 못지 않습니다.
지휘 교사는 악보를 알아보지 못하는 학생들을 위해 손가락 숫자로 소통합니다.
오케스트라를 창단한 지 1년 반, 실력은 물론 마음도 훌쩍 자랐습니다.
<인터뷰> 김진실(홀트학교 중등부 2학년) : "성격이 더 좋아지고 밝아진 것 같아요. 옛날엔 짜증부리고 대들고 울고⋯⋯."
지역에서 활동하는 음악가들은 자신의 전문 재능을 기부해 교사들의 부족한 일손을 돕습니다.
<인터뷰> 고현경(재능기부 반주자) : "아이들이 너무 음악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하기 때문에 제가 오히려 도움을 많이 받고 음악적으로도 같이 연주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경기도교육청은 현재 도내 48개 학교에서 특수교육 음악동아리를 운영하며 점차 지원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인터뷰> 박에스더(홀트학교 예술교육부장) : "우리 장애학생들에게 이 비싼 악기며 이런 오케스트라 교육을 왜 하느냐 이런 부정적인 견해가 많아서 이쪽으로 투자를 잘 안하려고 하시는데, 시도를 해보니까 아이들도 충분히 할 수 있는 거고..."
서로 다른 소리가 어우러져 아름다운 화음을 이루는 음악교실에서 장애 학생들의 꿈이 커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장애 학생들에게 특별한 음악 활동 기회를 마련해 재능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학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자칫 교육에서 소외되기 쉬운 장애 학생들의 집중력과 사회성이 눈에 띄게 향상되는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송형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 특수학교 음악실, 수준급의 오케스트라 연주가 울려퍼집니다.
지적장애, 발달장애 등 장애학생들이 연주에 집중하는 모습이 전문 음악가 못지 않습니다.
지휘 교사는 악보를 알아보지 못하는 학생들을 위해 손가락 숫자로 소통합니다.
오케스트라를 창단한 지 1년 반, 실력은 물론 마음도 훌쩍 자랐습니다.
<인터뷰> 김진실(홀트학교 중등부 2학년) : "성격이 더 좋아지고 밝아진 것 같아요. 옛날엔 짜증부리고 대들고 울고⋯⋯."
지역에서 활동하는 음악가들은 자신의 전문 재능을 기부해 교사들의 부족한 일손을 돕습니다.
<인터뷰> 고현경(재능기부 반주자) : "아이들이 너무 음악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하기 때문에 제가 오히려 도움을 많이 받고 음악적으로도 같이 연주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경기도교육청은 현재 도내 48개 학교에서 특수교육 음악동아리를 운영하며 점차 지원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인터뷰> 박에스더(홀트학교 예술교육부장) : "우리 장애학생들에게 이 비싼 악기며 이런 오케스트라 교육을 왜 하느냐 이런 부정적인 견해가 많아서 이쪽으로 투자를 잘 안하려고 하시는데, 시도를 해보니까 아이들도 충분히 할 수 있는 거고..."
서로 다른 소리가 어우러져 아름다운 화음을 이루는 음악교실에서 장애 학생들의 꿈이 커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장애학생 꿈 키우는 음악교실
-
- 입력 2013-10-28 21:43:34
- 수정2013-10-28 21:49:52

<앵커 멘트>
장애 학생들에게 특별한 음악 활동 기회를 마련해 재능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학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자칫 교육에서 소외되기 쉬운 장애 학생들의 집중력과 사회성이 눈에 띄게 향상되는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송형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 특수학교 음악실, 수준급의 오케스트라 연주가 울려퍼집니다.
지적장애, 발달장애 등 장애학생들이 연주에 집중하는 모습이 전문 음악가 못지 않습니다.
지휘 교사는 악보를 알아보지 못하는 학생들을 위해 손가락 숫자로 소통합니다.
오케스트라를 창단한 지 1년 반, 실력은 물론 마음도 훌쩍 자랐습니다.
<인터뷰> 김진실(홀트학교 중등부 2학년) : "성격이 더 좋아지고 밝아진 것 같아요. 옛날엔 짜증부리고 대들고 울고⋯⋯."
지역에서 활동하는 음악가들은 자신의 전문 재능을 기부해 교사들의 부족한 일손을 돕습니다.
<인터뷰> 고현경(재능기부 반주자) : "아이들이 너무 음악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하기 때문에 제가 오히려 도움을 많이 받고 음악적으로도 같이 연주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경기도교육청은 현재 도내 48개 학교에서 특수교육 음악동아리를 운영하며 점차 지원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인터뷰> 박에스더(홀트학교 예술교육부장) : "우리 장애학생들에게 이 비싼 악기며 이런 오케스트라 교육을 왜 하느냐 이런 부정적인 견해가 많아서 이쪽으로 투자를 잘 안하려고 하시는데, 시도를 해보니까 아이들도 충분히 할 수 있는 거고..."
서로 다른 소리가 어우러져 아름다운 화음을 이루는 음악교실에서 장애 학생들의 꿈이 커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장애 학생들에게 특별한 음악 활동 기회를 마련해 재능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학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자칫 교육에서 소외되기 쉬운 장애 학생들의 집중력과 사회성이 눈에 띄게 향상되는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송형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 특수학교 음악실, 수준급의 오케스트라 연주가 울려퍼집니다.
지적장애, 발달장애 등 장애학생들이 연주에 집중하는 모습이 전문 음악가 못지 않습니다.
지휘 교사는 악보를 알아보지 못하는 학생들을 위해 손가락 숫자로 소통합니다.
오케스트라를 창단한 지 1년 반, 실력은 물론 마음도 훌쩍 자랐습니다.
<인터뷰> 김진실(홀트학교 중등부 2학년) : "성격이 더 좋아지고 밝아진 것 같아요. 옛날엔 짜증부리고 대들고 울고⋯⋯."
지역에서 활동하는 음악가들은 자신의 전문 재능을 기부해 교사들의 부족한 일손을 돕습니다.
<인터뷰> 고현경(재능기부 반주자) : "아이들이 너무 음악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하기 때문에 제가 오히려 도움을 많이 받고 음악적으로도 같이 연주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경기도교육청은 현재 도내 48개 학교에서 특수교육 음악동아리를 운영하며 점차 지원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인터뷰> 박에스더(홀트학교 예술교육부장) : "우리 장애학생들에게 이 비싼 악기며 이런 오케스트라 교육을 왜 하느냐 이런 부정적인 견해가 많아서 이쪽으로 투자를 잘 안하려고 하시는데, 시도를 해보니까 아이들도 충분히 할 수 있는 거고..."
서로 다른 소리가 어우러져 아름다운 화음을 이루는 음악교실에서 장애 학생들의 꿈이 커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
-
송형국 기자 spianato@kbs.co.kr
송형국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