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쓰비시 근로정신대 손해배상 소송 일지

입력 2013.11.01 (15:10) 수정 2013.11.01 (20: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로정신대 할머니들이 미쓰비시 중공업을 상대로 한일 양국 법원에 소송을 낸 지 14년만에 처음으로 승소 판결을 받았다.

다음은 근로정신대 징용과 손해배상 관련 상황 일지.

▲1944.5.30 = 목포·나주·광주·순천·여수 등 전남, 충남 출신 소녀 300여명 미쓰비시 중공업 나고야 항공기 제작소로 끌려감.
▲1944.12.7 = 도난카이(東南海) 지진으로 목포, 나주, 광주 출신 6명 사망.
▲1945.8.15 = 해방.(귀국은 1945년 10월 중순)
▲1988.12.7 = 일부 나고야 시민, 미쓰비시 공장에 조선인 희생자 추모비 건립.
▲1999.3.1 = 양금덕 할머니 외 7명 일본정부, 미쓰비시중공업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 시작.
▲2005.3.24 = 일본 나고야 지방재판소 기각 판결.
▲2007.5.30 = 나고야 고등재판소 기각 판결.
▲2008.11.11 = 도쿄 최고재판소 기각 판결.
▲2009.3.12 =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결성.
▲2009.6.25 = 근로정신대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2만8천174명 서명부 미쓰비시중공업 본사에 전달.
▲2009.7.25 = 원고 김혜옥 할머니 사망.
▲2009.9.7 = 일본 후생노동성 사회보험청, 원고 8명에 대한 후생연금 가입사실 확인.
▲2009.10.5 = 미쓰비시 자동차 광주전시장 개장에 반발 1인 시위 돌입.
▲2009.12월 중순 = 일본 후생노동성 사회보험청, 후생연금 탈퇴수당 99엔 지급.
▲2010.1.24 = 시민모임, 양금덕 할머니 등 '99엔 파문' 관련해 미쓰비시중공업, 후생노동성 항의방문.
▲2010.6.23 = 시민모임, 13만4천162명 서명부 미쓰비시중공업과 일본 정부에 전달, 미쓰비시중공업 측 면담에서 7월15일까지 근로정신대 문제 해결 위한 협의체 구성 촉구
▲2010.7.14 = 미쓰비시중공업 '나고야 미쓰비시 조선여자 근로정신대 소송 지원회' 통해 협의체 구성안 수용의사 전달.
▲2012.5.24 = 대법원, 강제동원 피해자 개인 청구권 인정 취지 판결.
▲2012.10.24 = 양금덕 할머니 등 원고 5명 광주지법에 손해배상 소송 청구.
▲2013.7.10 = 서울고법, 신일철주금(신일본제철 후신) 상대 유사 소송서 원고 4명에게 1억원씩 지급 판결. 일본 기업으로 하여금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배상하도록 한 첫 판결.
▲2013.7.30 = 부산고법, 미쓰비시 상대 유사 소송서 원고 5명에게 8천만원씩 지급 판결.
▲2013.11.1 = 광주지법, 피해자 4명에게 1억5천만원씩·유족 1명에게 8천만원 등 위자료 6억8천만원 지급 판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쓰비시 근로정신대 손해배상 소송 일지
    • 입력 2013-11-01 15:10:47
    • 수정2013-11-01 20:23:00
    연합뉴스
근로정신대 할머니들이 미쓰비시 중공업을 상대로 한일 양국 법원에 소송을 낸 지 14년만에 처음으로 승소 판결을 받았다.

다음은 근로정신대 징용과 손해배상 관련 상황 일지.

▲1944.5.30 = 목포·나주·광주·순천·여수 등 전남, 충남 출신 소녀 300여명 미쓰비시 중공업 나고야 항공기 제작소로 끌려감.
▲1944.12.7 = 도난카이(東南海) 지진으로 목포, 나주, 광주 출신 6명 사망.
▲1945.8.15 = 해방.(귀국은 1945년 10월 중순)
▲1988.12.7 = 일부 나고야 시민, 미쓰비시 공장에 조선인 희생자 추모비 건립.
▲1999.3.1 = 양금덕 할머니 외 7명 일본정부, 미쓰비시중공업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 시작.
▲2005.3.24 = 일본 나고야 지방재판소 기각 판결.
▲2007.5.30 = 나고야 고등재판소 기각 판결.
▲2008.11.11 = 도쿄 최고재판소 기각 판결.
▲2009.3.12 =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결성.
▲2009.6.25 = 근로정신대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2만8천174명 서명부 미쓰비시중공업 본사에 전달.
▲2009.7.25 = 원고 김혜옥 할머니 사망.
▲2009.9.7 = 일본 후생노동성 사회보험청, 원고 8명에 대한 후생연금 가입사실 확인.
▲2009.10.5 = 미쓰비시 자동차 광주전시장 개장에 반발 1인 시위 돌입.
▲2009.12월 중순 = 일본 후생노동성 사회보험청, 후생연금 탈퇴수당 99엔 지급.
▲2010.1.24 = 시민모임, 양금덕 할머니 등 '99엔 파문' 관련해 미쓰비시중공업, 후생노동성 항의방문.
▲2010.6.23 = 시민모임, 13만4천162명 서명부 미쓰비시중공업과 일본 정부에 전달, 미쓰비시중공업 측 면담에서 7월15일까지 근로정신대 문제 해결 위한 협의체 구성 촉구
▲2010.7.14 = 미쓰비시중공업 '나고야 미쓰비시 조선여자 근로정신대 소송 지원회' 통해 협의체 구성안 수용의사 전달.
▲2012.5.24 = 대법원, 강제동원 피해자 개인 청구권 인정 취지 판결.
▲2012.10.24 = 양금덕 할머니 등 원고 5명 광주지법에 손해배상 소송 청구.
▲2013.7.10 = 서울고법, 신일철주금(신일본제철 후신) 상대 유사 소송서 원고 4명에게 1억원씩 지급 판결. 일본 기업으로 하여금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배상하도록 한 첫 판결.
▲2013.7.30 = 부산고법, 미쓰비시 상대 유사 소송서 원고 5명에게 8천만원씩 지급 판결.
▲2013.11.1 = 광주지법, 피해자 4명에게 1억5천만원씩·유족 1명에게 8천만원 등 위자료 6억8천만원 지급 판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