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 2명 중 1명은 특별한 병은 없지만 건강상 불편함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한의학연구원에 따르면 이시우 박사팀이 지난 5∼7월 전국 성인 1천101명을 대상으로 '미병'의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47%가 병이 없음에도 건강상 여러 가지 이상이 있다고 답했다.
미병(未病)이란 병이 없음에도 건강상 불편한 증상을 호소하는 상태로, 질병과 건강의 중간 영역을 말한다.
건강에 이상이 있다고 답한 이들 가운데 피로, 통증, 수면장애, 소화불량, 우울감, 분노, 불안감 등 모두 7가지 미병과 관련한 증상에 대해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은 이들(70.7%)이 '피로'를 느낀다고 답했다.
다음으로는 통증(30.8%), 분노(18.7%), 소화불량(18.3%), 우울감(17.3%), 수면장애(16.7%), 불안감(12.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이상 때문에 의료기관을 방문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통증 증세의 경우 48.1%, 소화불량은 34.2가 그렇다고 답했다.
반면 수면장애(12%)나 피로(10.4%), 우울감(7.4%), 불안감(6.4%), 분노(2.4%) 등의 경우 실제 의료기관을 찾는 비율은 극히 낮았다.
이시우 박사는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건강상 문제를 느끼면서도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사람의 비율이 낮았다"면서 "최근 예방의학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이들을 제대로 관리할 미병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3일 한국한의학연구원에 따르면 이시우 박사팀이 지난 5∼7월 전국 성인 1천101명을 대상으로 '미병'의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47%가 병이 없음에도 건강상 여러 가지 이상이 있다고 답했다.
미병(未病)이란 병이 없음에도 건강상 불편한 증상을 호소하는 상태로, 질병과 건강의 중간 영역을 말한다.
건강에 이상이 있다고 답한 이들 가운데 피로, 통증, 수면장애, 소화불량, 우울감, 분노, 불안감 등 모두 7가지 미병과 관련한 증상에 대해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은 이들(70.7%)이 '피로'를 느낀다고 답했다.
다음으로는 통증(30.8%), 분노(18.7%), 소화불량(18.3%), 우울감(17.3%), 수면장애(16.7%), 불안감(12.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이상 때문에 의료기관을 방문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통증 증세의 경우 48.1%, 소화불량은 34.2가 그렇다고 답했다.
반면 수면장애(12%)나 피로(10.4%), 우울감(7.4%), 불안감(6.4%), 분노(2.4%) 등의 경우 실제 의료기관을 찾는 비율은 극히 낮았다.
이시우 박사는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건강상 문제를 느끼면서도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사람의 비율이 낮았다"면서 "최근 예방의학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이들을 제대로 관리할 미병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의학연 “성인 절반 병 없지만 피로 등 불편 호소”
-
- 입력 2013-12-03 09:12:05
우리나라 성인 2명 중 1명은 특별한 병은 없지만 건강상 불편함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한의학연구원에 따르면 이시우 박사팀이 지난 5∼7월 전국 성인 1천101명을 대상으로 '미병'의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47%가 병이 없음에도 건강상 여러 가지 이상이 있다고 답했다.
미병(未病)이란 병이 없음에도 건강상 불편한 증상을 호소하는 상태로, 질병과 건강의 중간 영역을 말한다.
건강에 이상이 있다고 답한 이들 가운데 피로, 통증, 수면장애, 소화불량, 우울감, 분노, 불안감 등 모두 7가지 미병과 관련한 증상에 대해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은 이들(70.7%)이 '피로'를 느낀다고 답했다.
다음으로는 통증(30.8%), 분노(18.7%), 소화불량(18.3%), 우울감(17.3%), 수면장애(16.7%), 불안감(12.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이상 때문에 의료기관을 방문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통증 증세의 경우 48.1%, 소화불량은 34.2가 그렇다고 답했다.
반면 수면장애(12%)나 피로(10.4%), 우울감(7.4%), 불안감(6.4%), 분노(2.4%) 등의 경우 실제 의료기관을 찾는 비율은 극히 낮았다.
이시우 박사는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건강상 문제를 느끼면서도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사람의 비율이 낮았다"면서 "최근 예방의학의 중요성이 커지는 만큼, 이들을 제대로 관리할 미병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