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에 만화거리…문화 관광특구로 육성
입력 2013.12.24 (07:42)
수정 2013.12.24 (08: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K팝과 드라마 못지않은 한류 확산의 주역이 바로 만화인데요.
서울 도심에 만화가들이 무상으로 제공한 콘텐츠로 만화 거리가 조성됐습니다.
이철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1980년대 TV 만화로 제작될 정도로 인기였던 '달려라 하니'
만화의 주인공들이 남산 언덕길에 등장했습니다.
중국 음식점 벽면에 그려진 캐릭터는 어린 시절 중국집에 갈 때면, 늘 설레었던 추억을 담았습니다.
<인터뷰> 이빈 ('안녕 자두야' 작가) : "이 거리하고 이 중국집하고 잘 어울리는 것 같아서 제 어렸을 때 모습을 이렇게 만화로 표현해 보았습니다."
명동에서 남산으로 올라가는 450미터 거리 곳곳에서 한국 만화사에 큰 획을 그었던 작품의 주인공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인터뷰> 황율미·안선희 : "(아는 작품 어떤게 있었어요?) 달려라 하니, 자두, 은밀하게 위대하게. 더 활기차 보이고 더 밝게 해주는 것 같아요."
70여 명의 만화가들이 자신들의 콘텐츠로 꾸며낸 남산길 '재미로'...
근처엔 작품 전시와 공연을 할 수 있는 문화 공간도 마련됐습니다.
<인터뷰> 주호민('신과 함께' 작가) :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명동 한복판에 만화 문화 공간이 생김으로써 한국 만화를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같습니다."
내년부터는 만화 관련 물품을 사고파는 가게도 등장할 예정....
서울시는 만화 거리를 서울의 대표적인 문화 관광 특구로 육성해 나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K팝과 드라마 못지않은 한류 확산의 주역이 바로 만화인데요.
서울 도심에 만화가들이 무상으로 제공한 콘텐츠로 만화 거리가 조성됐습니다.
이철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1980년대 TV 만화로 제작될 정도로 인기였던 '달려라 하니'
만화의 주인공들이 남산 언덕길에 등장했습니다.
중국 음식점 벽면에 그려진 캐릭터는 어린 시절 중국집에 갈 때면, 늘 설레었던 추억을 담았습니다.
<인터뷰> 이빈 ('안녕 자두야' 작가) : "이 거리하고 이 중국집하고 잘 어울리는 것 같아서 제 어렸을 때 모습을 이렇게 만화로 표현해 보았습니다."
명동에서 남산으로 올라가는 450미터 거리 곳곳에서 한국 만화사에 큰 획을 그었던 작품의 주인공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인터뷰> 황율미·안선희 : "(아는 작품 어떤게 있었어요?) 달려라 하니, 자두, 은밀하게 위대하게. 더 활기차 보이고 더 밝게 해주는 것 같아요."
70여 명의 만화가들이 자신들의 콘텐츠로 꾸며낸 남산길 '재미로'...
근처엔 작품 전시와 공연을 할 수 있는 문화 공간도 마련됐습니다.
<인터뷰> 주호민('신과 함께' 작가) :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명동 한복판에 만화 문화 공간이 생김으로써 한국 만화를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같습니다."
내년부터는 만화 관련 물품을 사고파는 가게도 등장할 예정....
서울시는 만화 거리를 서울의 대표적인 문화 관광 특구로 육성해 나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도심에 만화거리…문화 관광특구로 육성
-
- 입력 2013-12-24 07:55:13
- 수정2013-12-24 08:56:08
<앵커 멘트>
K팝과 드라마 못지않은 한류 확산의 주역이 바로 만화인데요.
서울 도심에 만화가들이 무상으로 제공한 콘텐츠로 만화 거리가 조성됐습니다.
이철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1980년대 TV 만화로 제작될 정도로 인기였던 '달려라 하니'
만화의 주인공들이 남산 언덕길에 등장했습니다.
중국 음식점 벽면에 그려진 캐릭터는 어린 시절 중국집에 갈 때면, 늘 설레었던 추억을 담았습니다.
<인터뷰> 이빈 ('안녕 자두야' 작가) : "이 거리하고 이 중국집하고 잘 어울리는 것 같아서 제 어렸을 때 모습을 이렇게 만화로 표현해 보았습니다."
명동에서 남산으로 올라가는 450미터 거리 곳곳에서 한국 만화사에 큰 획을 그었던 작품의 주인공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인터뷰> 황율미·안선희 : "(아는 작품 어떤게 있었어요?) 달려라 하니, 자두, 은밀하게 위대하게. 더 활기차 보이고 더 밝게 해주는 것 같아요."
70여 명의 만화가들이 자신들의 콘텐츠로 꾸며낸 남산길 '재미로'...
근처엔 작품 전시와 공연을 할 수 있는 문화 공간도 마련됐습니다.
<인터뷰> 주호민('신과 함께' 작가) :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명동 한복판에 만화 문화 공간이 생김으로써 한국 만화를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같습니다."
내년부터는 만화 관련 물품을 사고파는 가게도 등장할 예정....
서울시는 만화 거리를 서울의 대표적인 문화 관광 특구로 육성해 나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K팝과 드라마 못지않은 한류 확산의 주역이 바로 만화인데요.
서울 도심에 만화가들이 무상으로 제공한 콘텐츠로 만화 거리가 조성됐습니다.
이철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1980년대 TV 만화로 제작될 정도로 인기였던 '달려라 하니'
만화의 주인공들이 남산 언덕길에 등장했습니다.
중국 음식점 벽면에 그려진 캐릭터는 어린 시절 중국집에 갈 때면, 늘 설레었던 추억을 담았습니다.
<인터뷰> 이빈 ('안녕 자두야' 작가) : "이 거리하고 이 중국집하고 잘 어울리는 것 같아서 제 어렸을 때 모습을 이렇게 만화로 표현해 보았습니다."
명동에서 남산으로 올라가는 450미터 거리 곳곳에서 한국 만화사에 큰 획을 그었던 작품의 주인공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인터뷰> 황율미·안선희 : "(아는 작품 어떤게 있었어요?) 달려라 하니, 자두, 은밀하게 위대하게. 더 활기차 보이고 더 밝게 해주는 것 같아요."
70여 명의 만화가들이 자신들의 콘텐츠로 꾸며낸 남산길 '재미로'...
근처엔 작품 전시와 공연을 할 수 있는 문화 공간도 마련됐습니다.
<인터뷰> 주호민('신과 함께' 작가) :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명동 한복판에 만화 문화 공간이 생김으로써 한국 만화를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같습니다."
내년부터는 만화 관련 물품을 사고파는 가게도 등장할 예정....
서울시는 만화 거리를 서울의 대표적인 문화 관광 특구로 육성해 나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
-
이철호 기자 manjeok@kbs.co.kr
이철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