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크 제조 특성과 주의할 점은?

입력 2013.12.24 (09:39) 수정 2013.12.24 (10: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성탄절이 하루 앞인데요.

이때쯤 특수를 누리는 것이 바로 케이크입니다.

하지만 케이크 유통기한이 얼마인지 보관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제대로 아시는 분들은 많지 않으실텐데요.

계현우 기자의 보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리포트>

공장에서 생산되는 케이크는 포장 상자에 유통기한이 표시돼 있습니다.

하지만 제과점에서 바로 만들어내는 케이크는 유통기한 표시 의무가 없어 겉모습을 꼼꼼히 살펴야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특히 빵을 둘러싼 크림 모양이 쉽게 변합니다.

<인터뷰> 임정현(제빵학원 강사) : "시간이 지나면서 이렇게 약간 처지는 현상이 생기는 거고요. 수분이 증발하면서 갈라지니까 그런 거를 주의하셔야죠."

과일이 윤기가 없거나 쭈그러들었는지도 살펴봐야 합니다.

구입 후 보관에도 신경 써야 하는데, 케이크는 보통 빵보다 계란과 설탕이 많이 들어 있어 부패하기 쉽습니다.

<인터뷰> 박종현(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생크림이라든가 과일이라든가 이런데에는 세균이 오염될 수가 있습니다. 그런 오염된 세균은 우리가 케이크를 오래뒀을 때 증식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수분 증발을 막아야 하는데, 먹다 남은 케이크는 적당한 크기로 잘라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보관해야 합니다.

또 제품 종류별 유통기한도 다르다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생크림 케이크는 제조 후 이틀, 버터 케이크는 나흘 정도가 유통 기한입니다.

KBS 뉴스 계현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케이크 제조 특성과 주의할 점은?
    • 입력 2013-12-24 09:41:24
    • 수정2013-12-24 10:11:15
    930뉴스
<앵커 멘트>

성탄절이 하루 앞인데요.

이때쯤 특수를 누리는 것이 바로 케이크입니다.

하지만 케이크 유통기한이 얼마인지 보관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제대로 아시는 분들은 많지 않으실텐데요.

계현우 기자의 보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리포트>

공장에서 생산되는 케이크는 포장 상자에 유통기한이 표시돼 있습니다.

하지만 제과점에서 바로 만들어내는 케이크는 유통기한 표시 의무가 없어 겉모습을 꼼꼼히 살펴야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특히 빵을 둘러싼 크림 모양이 쉽게 변합니다.

<인터뷰> 임정현(제빵학원 강사) : "시간이 지나면서 이렇게 약간 처지는 현상이 생기는 거고요. 수분이 증발하면서 갈라지니까 그런 거를 주의하셔야죠."

과일이 윤기가 없거나 쭈그러들었는지도 살펴봐야 합니다.

구입 후 보관에도 신경 써야 하는데, 케이크는 보통 빵보다 계란과 설탕이 많이 들어 있어 부패하기 쉽습니다.

<인터뷰> 박종현(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생크림이라든가 과일이라든가 이런데에는 세균이 오염될 수가 있습니다. 그런 오염된 세균은 우리가 케이크를 오래뒀을 때 증식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수분 증발을 막아야 하는데, 먹다 남은 케이크는 적당한 크기로 잘라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보관해야 합니다.

또 제품 종류별 유통기한도 다르다는 점을 유념해야 합니다.

생크림 케이크는 제조 후 이틀, 버터 케이크는 나흘 정도가 유통 기한입니다.

KBS 뉴스 계현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