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조직 기증자의 병력을 확인해 이식이 금지된 인체 조직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법적 근거 마련이 추진됩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신의진 의원은 인체조직을 채취·분배할 때 이식 금지 대상인지 확인하도록 하는 '인체조직안전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개정안에 따르면 인체조직 은행은 기증된 인체조직이 이식 금지 조직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기증자에게 병력 조사 등에 대한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기증자 동의를 거치면 건강보험공단 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정보를 통해 이식 금지 인체 조직에 해당하는지 병력 확인을 할 수 있게 되고, 부적합조직을 발견했을 때는 이를 폐기처분한 뒤 그 결과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보고해야 합니다.
조직기증자나 가족이 조사에 동의하지 않아 기증자의 병력을 조사하지 못하면 해당 조직을 회수·폐기하도록 하는 근거도 마련됐습니다.
식약처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최근까지 인체조직 기증자의 병력을 확인할 수 없어 치매 병력이 있는 기증자 6명에게서 나온 인체조직 106개가 2천830여 명에게 이식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체조직기증은 장기기증과 달리 사후에 뼈나 피부, 연골, 혈관 등을 기증하는 것을 말합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신의진 의원은 인체조직을 채취·분배할 때 이식 금지 대상인지 확인하도록 하는 '인체조직안전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개정안에 따르면 인체조직 은행은 기증된 인체조직이 이식 금지 조직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기증자에게 병력 조사 등에 대한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기증자 동의를 거치면 건강보험공단 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정보를 통해 이식 금지 인체 조직에 해당하는지 병력 확인을 할 수 있게 되고, 부적합조직을 발견했을 때는 이를 폐기처분한 뒤 그 결과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보고해야 합니다.
조직기증자나 가족이 조사에 동의하지 않아 기증자의 병력을 조사하지 못하면 해당 조직을 회수·폐기하도록 하는 근거도 마련됐습니다.
식약처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최근까지 인체조직 기증자의 병력을 확인할 수 없어 치매 병력이 있는 기증자 6명에게서 나온 인체조직 106개가 2천830여 명에게 이식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체조직기증은 장기기증과 달리 사후에 뼈나 피부, 연골, 혈관 등을 기증하는 것을 말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체조직 기증자 병력 확인 법적 근거 마련 추진
-
- 입력 2013-12-24 11:11:20
인체조직 기증자의 병력을 확인해 이식이 금지된 인체 조직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법적 근거 마련이 추진됩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신의진 의원은 인체조직을 채취·분배할 때 이식 금지 대상인지 확인하도록 하는 '인체조직안전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개정안에 따르면 인체조직 은행은 기증된 인체조직이 이식 금지 조직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기증자에게 병력 조사 등에 대한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기증자 동의를 거치면 건강보험공단 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정보를 통해 이식 금지 인체 조직에 해당하는지 병력 확인을 할 수 있게 되고, 부적합조직을 발견했을 때는 이를 폐기처분한 뒤 그 결과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보고해야 합니다.
조직기증자나 가족이 조사에 동의하지 않아 기증자의 병력을 조사하지 못하면 해당 조직을 회수·폐기하도록 하는 근거도 마련됐습니다.
식약처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최근까지 인체조직 기증자의 병력을 확인할 수 없어 치매 병력이 있는 기증자 6명에게서 나온 인체조직 106개가 2천830여 명에게 이식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체조직기증은 장기기증과 달리 사후에 뼈나 피부, 연골, 혈관 등을 기증하는 것을 말합니다.
-
-
남승우 기자 futurist@kbs.co.kr
남승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