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차 대전 이전 일왕 제도에 뿌리를 두고 있는 '건국 기념의 날'을 맞아 총리로는 처음으로 메시지를 발표해 과거 회귀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아베 총리는 어제 내놓은 메시지에서 "우리가 사랑하는 나라 일본을 더 아름답고 자랑스러운 나라로 만들어 갈 책임을 통감하고, 결의를 새롭게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아베 총리는 "선인들의 노력에 깊은 경의를 표하는 동시에, 평화와 번영을 더욱 발전시켜 다음 세대에도 안심하고 살 수 있도록 계승하는 것은 우리에게 부과된 책무"라고 강조했습니다.
건국 기념의 날로 지정된 2월 11일은 원래 초대 일왕인 '진무 천황'의 즉위를 기념하는 축제일로 지난 1872년 기념일로 지정됐지만 1948년 폐지됐다 자민당의 노력으로 지난 1966년 현재 이름으로 부활해 이듬해부터 공휴일이 됐습니다.
건국 기념의 날이 공휴일이 되는 과정에서 야당인 사회당 등 진보세력들은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다', '제국주의의 논리가 담겨있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반대했습니다.
이런 역사적 배경 때문에 일각에서는 아베 총리의 메시지 발표를 우경화 행보와 연결지어 비판하는 시각이 제기됐습니다.
교도통신은 메이지가쿠인 대학의 하라 다케시 교수가 "건국기념의 날에는 전쟁 이전 '천황제 이데올로기'가 살아있다"며 "건국 기념일의 의미와 역사적 경위를 전혀 설명하지 않은 채 정권이 메시지를 내는 것은 균형이 결여된 행동"이라고 지적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정치평론가인 모리타 미노루도 "자민당이 처음 2월 11일을 공휴일로 하는 법 개정안을 제출했을 무렵 아베 총리의 외조부인 기시 노부스케 전 총리가 취임했고 당시 전쟁 이전으로의 회귀 움직임이 강해졌다"고 회상한 뒤 "기시 전 총리의 복고 이미지와 아베 총리가 겹쳐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공휴일의 취지에 따라 총리가 메시지를 내는 것이 왜 그렇게 취급되어야 하는가"라며 항변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어제 내놓은 메시지에서 "우리가 사랑하는 나라 일본을 더 아름답고 자랑스러운 나라로 만들어 갈 책임을 통감하고, 결의를 새롭게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아베 총리는 "선인들의 노력에 깊은 경의를 표하는 동시에, 평화와 번영을 더욱 발전시켜 다음 세대에도 안심하고 살 수 있도록 계승하는 것은 우리에게 부과된 책무"라고 강조했습니다.
건국 기념의 날로 지정된 2월 11일은 원래 초대 일왕인 '진무 천황'의 즉위를 기념하는 축제일로 지난 1872년 기념일로 지정됐지만 1948년 폐지됐다 자민당의 노력으로 지난 1966년 현재 이름으로 부활해 이듬해부터 공휴일이 됐습니다.
건국 기념의 날이 공휴일이 되는 과정에서 야당인 사회당 등 진보세력들은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다', '제국주의의 논리가 담겨있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반대했습니다.
이런 역사적 배경 때문에 일각에서는 아베 총리의 메시지 발표를 우경화 행보와 연결지어 비판하는 시각이 제기됐습니다.
교도통신은 메이지가쿠인 대학의 하라 다케시 교수가 "건국기념의 날에는 전쟁 이전 '천황제 이데올로기'가 살아있다"며 "건국 기념일의 의미와 역사적 경위를 전혀 설명하지 않은 채 정권이 메시지를 내는 것은 균형이 결여된 행동"이라고 지적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정치평론가인 모리타 미노루도 "자민당이 처음 2월 11일을 공휴일로 하는 법 개정안을 제출했을 무렵 아베 총리의 외조부인 기시 노부스케 전 총리가 취임했고 당시 전쟁 이전으로의 회귀 움직임이 강해졌다"고 회상한 뒤 "기시 전 총리의 복고 이미지와 아베 총리가 겹쳐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공휴일의 취지에 따라 총리가 메시지를 내는 것이 왜 그렇게 취급되어야 하는가"라며 항변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베, 건국기념일 첫 애국 메시지…‘과거회귀’ 논란
-
- 입력 2014-02-11 05:05:29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차 대전 이전 일왕 제도에 뿌리를 두고 있는 '건국 기념의 날'을 맞아 총리로는 처음으로 메시지를 발표해 과거 회귀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아베 총리는 어제 내놓은 메시지에서 "우리가 사랑하는 나라 일본을 더 아름답고 자랑스러운 나라로 만들어 갈 책임을 통감하고, 결의를 새롭게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아베 총리는 "선인들의 노력에 깊은 경의를 표하는 동시에, 평화와 번영을 더욱 발전시켜 다음 세대에도 안심하고 살 수 있도록 계승하는 것은 우리에게 부과된 책무"라고 강조했습니다.
건국 기념의 날로 지정된 2월 11일은 원래 초대 일왕인 '진무 천황'의 즉위를 기념하는 축제일로 지난 1872년 기념일로 지정됐지만 1948년 폐지됐다 자민당의 노력으로 지난 1966년 현재 이름으로 부활해 이듬해부터 공휴일이 됐습니다.
건국 기념의 날이 공휴일이 되는 과정에서 야당인 사회당 등 진보세력들은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다', '제국주의의 논리가 담겨있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반대했습니다.
이런 역사적 배경 때문에 일각에서는 아베 총리의 메시지 발표를 우경화 행보와 연결지어 비판하는 시각이 제기됐습니다.
교도통신은 메이지가쿠인 대학의 하라 다케시 교수가 "건국기념의 날에는 전쟁 이전 '천황제 이데올로기'가 살아있다"며 "건국 기념일의 의미와 역사적 경위를 전혀 설명하지 않은 채 정권이 메시지를 내는 것은 균형이 결여된 행동"이라고 지적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정치평론가인 모리타 미노루도 "자민당이 처음 2월 11일을 공휴일로 하는 법 개정안을 제출했을 무렵 아베 총리의 외조부인 기시 노부스케 전 총리가 취임했고 당시 전쟁 이전으로의 회귀 움직임이 강해졌다"고 회상한 뒤 "기시 전 총리의 복고 이미지와 아베 총리가 겹쳐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공휴일의 취지에 따라 총리가 메시지를 내는 것이 왜 그렇게 취급되어야 하는가"라며 항변했습니다.
-
-
이영석 기자 zerostone@kbs.co.kr
이영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