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119구급대의 '5분 내 출동률'이 3년 만에 30% 포인트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지난해 119구급대의 '5분 이내 도착률'은 83.4%로 지난 2010년 55.2%와 비교할 때 크게 향상됐다고 11일 밝혔다.
5분 이내 도착률은 서울시내 119구급대가 115대에서 140대로 늘어난 지난 2011년 획기적으로 개선됐고 이후에도 계속 빨라지고 있다고 본부는 설명했다.
지난해 서울 119구급대의 출동 건수는 총 43만3천852건이며 이송 환자수는 29만5천884명이다. 하루평균 1천189건, 811명을 이송한 셈이다. 이송환자 29만5천884명에게 '기도 확보'와 '산소 투여' 등 79만6천731건의 응급처치술이 시행됐다.
이송 환자의 유형은 급만성 질환이 17만7천366명(59.9%)으로 가장 많고 낙상(4만6천640명), 교통사고(2만9천836명), 심장질환(5천562명) 순으로 나타났다.
환자 연령은 50대가 17.8%를 차지했고 70대와 40대는 각각 14.2%와 13.3%로 집계됐다.
환자 발생시간은 오전 8∼10시가 3만1천475명(10.6%)으로 최다였고 월요일이 4만4천936명(15.2%)으로 다른 요일보다 출동이 잦았다.
자치구별로 이용자를 보면 강서구(1만5천919명)가 가장 많았고 금천구는 그 절반 수준(7천717명)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 발생한 심정지 환자의 회생률은 2006년 4.2%에서 2012년 8.7%로 높아졌다. 그러나 이는 미국 시애틀의 16.3% 등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편이라고 본부는 밝혔다.
권순경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119구급대 출동 내용을 면밀하게 분석해 더 빠른 출동과 가장 적절한 응급처치가 이뤄지게 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지난해 119구급대의 '5분 이내 도착률'은 83.4%로 지난 2010년 55.2%와 비교할 때 크게 향상됐다고 11일 밝혔다.
5분 이내 도착률은 서울시내 119구급대가 115대에서 140대로 늘어난 지난 2011년 획기적으로 개선됐고 이후에도 계속 빨라지고 있다고 본부는 설명했다.
지난해 서울 119구급대의 출동 건수는 총 43만3천852건이며 이송 환자수는 29만5천884명이다. 하루평균 1천189건, 811명을 이송한 셈이다. 이송환자 29만5천884명에게 '기도 확보'와 '산소 투여' 등 79만6천731건의 응급처치술이 시행됐다.
이송 환자의 유형은 급만성 질환이 17만7천366명(59.9%)으로 가장 많고 낙상(4만6천640명), 교통사고(2만9천836명), 심장질환(5천562명) 순으로 나타났다.
환자 연령은 50대가 17.8%를 차지했고 70대와 40대는 각각 14.2%와 13.3%로 집계됐다.
환자 발생시간은 오전 8∼10시가 3만1천475명(10.6%)으로 최다였고 월요일이 4만4천936명(15.2%)으로 다른 요일보다 출동이 잦았다.
자치구별로 이용자를 보면 강서구(1만5천919명)가 가장 많았고 금천구는 그 절반 수준(7천717명)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 발생한 심정지 환자의 회생률은 2006년 4.2%에서 2012년 8.7%로 높아졌다. 그러나 이는 미국 시애틀의 16.3% 등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편이라고 본부는 밝혔다.
권순경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119구급대 출동 내용을 면밀하게 분석해 더 빠른 출동과 가장 적절한 응급처치가 이뤄지게 하겠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119구급차 ‘5분내 도착률’ 3년만 30%p 빨라졌다
-
- 입력 2014-02-11 06:09:12
서울지역 119구급대의 '5분 내 출동률'이 3년 만에 30% 포인트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지난해 119구급대의 '5분 이내 도착률'은 83.4%로 지난 2010년 55.2%와 비교할 때 크게 향상됐다고 11일 밝혔다.
5분 이내 도착률은 서울시내 119구급대가 115대에서 140대로 늘어난 지난 2011년 획기적으로 개선됐고 이후에도 계속 빨라지고 있다고 본부는 설명했다.
지난해 서울 119구급대의 출동 건수는 총 43만3천852건이며 이송 환자수는 29만5천884명이다. 하루평균 1천189건, 811명을 이송한 셈이다. 이송환자 29만5천884명에게 '기도 확보'와 '산소 투여' 등 79만6천731건의 응급처치술이 시행됐다.
이송 환자의 유형은 급만성 질환이 17만7천366명(59.9%)으로 가장 많고 낙상(4만6천640명), 교통사고(2만9천836명), 심장질환(5천562명) 순으로 나타났다.
환자 연령은 50대가 17.8%를 차지했고 70대와 40대는 각각 14.2%와 13.3%로 집계됐다.
환자 발생시간은 오전 8∼10시가 3만1천475명(10.6%)으로 최다였고 월요일이 4만4천936명(15.2%)으로 다른 요일보다 출동이 잦았다.
자치구별로 이용자를 보면 강서구(1만5천919명)가 가장 많았고 금천구는 그 절반 수준(7천717명)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 발생한 심정지 환자의 회생률은 2006년 4.2%에서 2012년 8.7%로 높아졌다. 그러나 이는 미국 시애틀의 16.3% 등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편이라고 본부는 밝혔다.
권순경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119구급대 출동 내용을 면밀하게 분석해 더 빠른 출동과 가장 적절한 응급처치가 이뤄지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