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향상됨에 따라 미국의 식품업체들도 합성 보존제 등 화학 첨가물 사용을 중단하거나 대체하고 있다.
10일(현지시간) 시카고 언론 보도에 따르면 미국의 대표적인 식품회사 크래프트 푸즈는 유명 슬라이스 치즈 '싱글즈' 아메리칸 치즈와 싱글즈 화이트 아메리칸 치즈 제품에서 화학 첨가물 '소르빈산'(sorbic acid)을 제거키로 했다고 밝혔다.
단 싱글즈 2% 지방 우유 아메리칸 치즈에는 해당 사항이 없다.
소르빈산은 가공식품 보존에 흔히 사용되는 대표적인 합성 보존제로 곰팡이와 진균 등 세균류의 생성을 방지하거나 성장을 억제한다.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소르빈산을 일반적으로 안전한 보존료로 보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 결과 과다 섭취할 경우 알레르기나 유전자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발암 위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크래프트 측은 식품 안전을 위해 대신 항균제의 일종인 '나타마이신'(natamycin) 등 성분을 추가하기로 했다. FDA는 나타마이신을 치즈 제품에 첨가할 수 있는 항진균제로 보고 있다.
브라이언 겔브 수석 브랜드 매니저는 "요즘 가정에서는 인스턴트 식품이라 하더라도 합성 보존제가 들어 있지 않고 첨가물이 많지 않으며 익숙한 성분으로 만들어진 것을 찾는다. 크래프트는 가장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대표 치즈 제품 싱글즈에 소비자들의 이같은 요구를 적용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시카고 교외도시 노스필드에 본사를 둔 크래프트 푸즈는 2년 전 "싱글즈에는 인공 감미료가 들어 있지 않다"는 광고를 시작했으며 식품 성분 목록에서 건강에 우려를 낳는 물질들을 차츰 제거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왔다.
시카고 트리뷴은 "이같은 움직임은 소비자들이 건강에 대한 의식이 높아져 성분 표시를 꼼꼼히 읽고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따른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 최대 샌드위치 체인 '서브웨이'는 지난주 빵 반죽에 넣어온 화학 첨가물 아조디카본아미드(azodiacarbonamide)를 앞으로 사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트리뷴은 "아조디카본아미드는 요가 매트, 신발 밑창 등 플래스틱 제품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라며 "서브웨이는 빵 반죽을 희게 만들고 빨리 구워지게 하기 위해 이 재료를 사용해왔다"고 덧붙였다.
10일(현지시간) 시카고 언론 보도에 따르면 미국의 대표적인 식품회사 크래프트 푸즈는 유명 슬라이스 치즈 '싱글즈' 아메리칸 치즈와 싱글즈 화이트 아메리칸 치즈 제품에서 화학 첨가물 '소르빈산'(sorbic acid)을 제거키로 했다고 밝혔다.
단 싱글즈 2% 지방 우유 아메리칸 치즈에는 해당 사항이 없다.
소르빈산은 가공식품 보존에 흔히 사용되는 대표적인 합성 보존제로 곰팡이와 진균 등 세균류의 생성을 방지하거나 성장을 억제한다.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소르빈산을 일반적으로 안전한 보존료로 보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 결과 과다 섭취할 경우 알레르기나 유전자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발암 위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크래프트 측은 식품 안전을 위해 대신 항균제의 일종인 '나타마이신'(natamycin) 등 성분을 추가하기로 했다. FDA는 나타마이신을 치즈 제품에 첨가할 수 있는 항진균제로 보고 있다.
브라이언 겔브 수석 브랜드 매니저는 "요즘 가정에서는 인스턴트 식품이라 하더라도 합성 보존제가 들어 있지 않고 첨가물이 많지 않으며 익숙한 성분으로 만들어진 것을 찾는다. 크래프트는 가장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대표 치즈 제품 싱글즈에 소비자들의 이같은 요구를 적용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시카고 교외도시 노스필드에 본사를 둔 크래프트 푸즈는 2년 전 "싱글즈에는 인공 감미료가 들어 있지 않다"는 광고를 시작했으며 식품 성분 목록에서 건강에 우려를 낳는 물질들을 차츰 제거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왔다.
시카고 트리뷴은 "이같은 움직임은 소비자들이 건강에 대한 의식이 높아져 성분 표시를 꼼꼼히 읽고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따른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 최대 샌드위치 체인 '서브웨이'는 지난주 빵 반죽에 넣어온 화학 첨가물 아조디카본아미드(azodiacarbonamide)를 앞으로 사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트리뷴은 "아조디카본아미드는 요가 매트, 신발 밑창 등 플래스틱 제품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라며 "서브웨이는 빵 반죽을 희게 만들고 빨리 구워지게 하기 위해 이 재료를 사용해왔다"고 덧붙였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크래프트, 유명 치즈제품서 합성보존제 제거키로
-
- 입력 2014-02-11 13:45:31
건강식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향상됨에 따라 미국의 식품업체들도 합성 보존제 등 화학 첨가물 사용을 중단하거나 대체하고 있다.
10일(현지시간) 시카고 언론 보도에 따르면 미국의 대표적인 식품회사 크래프트 푸즈는 유명 슬라이스 치즈 '싱글즈' 아메리칸 치즈와 싱글즈 화이트 아메리칸 치즈 제품에서 화학 첨가물 '소르빈산'(sorbic acid)을 제거키로 했다고 밝혔다.
단 싱글즈 2% 지방 우유 아메리칸 치즈에는 해당 사항이 없다.
소르빈산은 가공식품 보존에 흔히 사용되는 대표적인 합성 보존제로 곰팡이와 진균 등 세균류의 생성을 방지하거나 성장을 억제한다.
미국 식품의약청(FDA)은 소르빈산을 일반적으로 안전한 보존료로 보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연구 결과 과다 섭취할 경우 알레르기나 유전자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발암 위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크래프트 측은 식품 안전을 위해 대신 항균제의 일종인 '나타마이신'(natamycin) 등 성분을 추가하기로 했다. FDA는 나타마이신을 치즈 제품에 첨가할 수 있는 항진균제로 보고 있다.
브라이언 겔브 수석 브랜드 매니저는 "요즘 가정에서는 인스턴트 식품이라 하더라도 합성 보존제가 들어 있지 않고 첨가물이 많지 않으며 익숙한 성분으로 만들어진 것을 찾는다. 크래프트는 가장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대표 치즈 제품 싱글즈에 소비자들의 이같은 요구를 적용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시카고 교외도시 노스필드에 본사를 둔 크래프트 푸즈는 2년 전 "싱글즈에는 인공 감미료가 들어 있지 않다"는 광고를 시작했으며 식품 성분 목록에서 건강에 우려를 낳는 물질들을 차츰 제거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왔다.
시카고 트리뷴은 "이같은 움직임은 소비자들이 건강에 대한 의식이 높아져 성분 표시를 꼼꼼히 읽고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따른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 최대 샌드위치 체인 '서브웨이'는 지난주 빵 반죽에 넣어온 화학 첨가물 아조디카본아미드(azodiacarbonamide)를 앞으로 사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트리뷴은 "아조디카본아미드는 요가 매트, 신발 밑창 등 플래스틱 제품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라며 "서브웨이는 빵 반죽을 희게 만들고 빨리 구워지게 하기 위해 이 재료를 사용해왔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