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김정은 집권 직후 북에 6억위안 무상원조”

입력 2014.02.11 (19: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집권 이후인 2012년 2월 말 이후 6억위안(약 1천60억원) 상당의 무상원조를 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1일 중국 시사잡지 '옌황춘추(炎黃春秋)에 따르면 원로학자인 허팡(何方) 중국 사회과학원 영예학부위원은 최근 기고한 '항미원조(抗美援朝)의 득과 실'이란 논문에서 이같은 주장을 폈다.

중국이 북한에 했던 구체적인 원조 규모는 확인되지 않는 가운데 중국 학자가 직접 규모를 밝힌 것은 이례적이다.

허 위원은 "그(김정은)가 집권한 후 우리 정부는 2012년 2월 하순부터 북한에 6억 위안에 달하는 무상원조를 제공하기 시작했다"면서 "이는 중국의 북한 원조 역사에서 한번에 제공한 무상원조 규모로는 최대"라고 밝혔다.

그는 이같은 규모에 대해 "1994년 김일성 사망 이후 이뤄진 원조의 2배 규모"라고 설명했다.

그는 "김정일이 김일성 시기만큼 중국에 대해 공손하지는 않았지만 우리는 그를 잘 대해줬다"면서 "김정은은 아버지 때보다 더욱 심해졌다"고 비판했다.

허 위원은 "그는 부친이 중국과 했던 중대 문제에 대한 사전 통보 약속도 이행하지 않은 채 제3차 핵실험과 실패한 미사일 발사 실험을 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은 형식적인 사전 통보만을 했고 어떤 때는 우리에게 통보한 것이 미국보다 뒤인 적도 있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적시하지는 않았지만 최근 일련의 도발 과정에서 북한이 중국보다 미국에 먼저 통보를 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그는 이 논문에서 "중국의 한국전쟁 지원은 근본적인 오류"였다고 지적하면서 "북한은 중국의 끊임없는 지원에도 민생 문제조차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김정은 집권 직후 북에 6억위안 무상원조”
    • 입력 2014-02-11 19:46:31
    연합뉴스
중국이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집권 이후인 2012년 2월 말 이후 6억위안(약 1천60억원) 상당의 무상원조를 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1일 중국 시사잡지 '옌황춘추(炎黃春秋)에 따르면 원로학자인 허팡(何方) 중국 사회과학원 영예학부위원은 최근 기고한 '항미원조(抗美援朝)의 득과 실'이란 논문에서 이같은 주장을 폈다. 중국이 북한에 했던 구체적인 원조 규모는 확인되지 않는 가운데 중국 학자가 직접 규모를 밝힌 것은 이례적이다. 허 위원은 "그(김정은)가 집권한 후 우리 정부는 2012년 2월 하순부터 북한에 6억 위안에 달하는 무상원조를 제공하기 시작했다"면서 "이는 중국의 북한 원조 역사에서 한번에 제공한 무상원조 규모로는 최대"라고 밝혔다. 그는 이같은 규모에 대해 "1994년 김일성 사망 이후 이뤄진 원조의 2배 규모"라고 설명했다. 그는 "김정일이 김일성 시기만큼 중국에 대해 공손하지는 않았지만 우리는 그를 잘 대해줬다"면서 "김정은은 아버지 때보다 더욱 심해졌다"고 비판했다. 허 위원은 "그는 부친이 중국과 했던 중대 문제에 대한 사전 통보 약속도 이행하지 않은 채 제3차 핵실험과 실패한 미사일 발사 실험을 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은 형식적인 사전 통보만을 했고 어떤 때는 우리에게 통보한 것이 미국보다 뒤인 적도 있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적시하지는 않았지만 최근 일련의 도발 과정에서 북한이 중국보다 미국에 먼저 통보를 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그는 이 논문에서 "중국의 한국전쟁 지원은 근본적인 오류"였다고 지적하면서 "북한은 중국의 끊임없는 지원에도 민생 문제조차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