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리 방중…북한 정세·과거사 문제 논의

입력 2014.02.14 (10: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이 14일 중국을 찾아 미중 현안과 북한 문제, 동북아시아의 과거사 문제 등을 논의한다.

아시아·중동 순방의 첫 일정으로 1박2일간의 한국 방문을 마친 케리 장관은 이날 오전 전용기 편으로 베이징에 도착,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과의 회담과 오찬을 시작으로 공식 일정에 돌입한다.

케리 장관은 15일까지 베이징에 머물면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등 중국 지도자들과도 별도로 만날 것으로 예상된다.

케리 장관은 방중 기간 중국 고위인사들과 미·중간 신형 대국관계 발전 방안과 3월 헤이그 핵안보 정상회담 기간 개최 가능성이 있는 양국 정상회담 등 양자 현안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이 지난해 선포한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CADIZ)을 비롯해 남중국해에 대한 추가적인 방공식별구역 선포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명할 가능성도 크다.

미중 양국은 장성택 북한 국방위원장 처형 이후의 북한 정세와 6자회담 재개 조건과 북핵 문제 등 북한 문제도 비중 있게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으로는 북한의 상황 악화 조치 방지를 위한 중국의 역할과 압박을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케리 장관은 전날 서울에서 "중국도 장성택 처형과 관련해 굉장히 많은 우려를 하고 있다"면서 중국 지도자와의 만남에서 "북한이 상황을 악화시키지 않고, 도발로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중·일간 과거사 갈등 동북아 정세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전망이다.

미국이 과거사 문제로 중일간 갈등이 증폭되는 것을 불편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케리 장관은 중국 측에 일본과의 관계개선 노력을 주문할 가능성이 짙다.

그러나 중국 측은 "일본이 먼저 변해야 한다"면서 이를 거부할 가능성이 커 과거사 문제를 둘러싼 미중간 입장은 평행선을 달릴 것으로 보인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케리 방중…북한 정세·과거사 문제 논의
    • 입력 2014-02-14 10:58:49
    연합뉴스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이 14일 중국을 찾아 미중 현안과 북한 문제, 동북아시아의 과거사 문제 등을 논의한다. 아시아·중동 순방의 첫 일정으로 1박2일간의 한국 방문을 마친 케리 장관은 이날 오전 전용기 편으로 베이징에 도착,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과의 회담과 오찬을 시작으로 공식 일정에 돌입한다. 케리 장관은 15일까지 베이징에 머물면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등 중국 지도자들과도 별도로 만날 것으로 예상된다. 케리 장관은 방중 기간 중국 고위인사들과 미·중간 신형 대국관계 발전 방안과 3월 헤이그 핵안보 정상회담 기간 개최 가능성이 있는 양국 정상회담 등 양자 현안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이 지난해 선포한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CADIZ)을 비롯해 남중국해에 대한 추가적인 방공식별구역 선포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명할 가능성도 크다. 미중 양국은 장성택 북한 국방위원장 처형 이후의 북한 정세와 6자회담 재개 조건과 북핵 문제 등 북한 문제도 비중 있게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으로는 북한의 상황 악화 조치 방지를 위한 중국의 역할과 압박을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케리 장관은 전날 서울에서 "중국도 장성택 처형과 관련해 굉장히 많은 우려를 하고 있다"면서 중국 지도자와의 만남에서 "북한이 상황을 악화시키지 않고, 도발로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중·일간 과거사 갈등 동북아 정세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전망이다. 미국이 과거사 문제로 중일간 갈등이 증폭되는 것을 불편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케리 장관은 중국 측에 일본과의 관계개선 노력을 주문할 가능성이 짙다. 그러나 중국 측은 "일본이 먼저 변해야 한다"면서 이를 거부할 가능성이 커 과거사 문제를 둘러싼 미중간 입장은 평행선을 달릴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