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영동지역에 최근 9일간 이어진 폭설이 주말 동안 주춤할 것으로 예보된 가운데 17일부터 또다시 많은 눈이 내릴 전망이다.
14일 강원지방기상청에 따르면 동풍의 영향으로 17일부터 강원 영동에 눈 또는 비가 오겠고, 특히 18∼19일에 우리나라 남쪽에서 발달한 저기압이 지나가면서 강원도에 강풍과 함께 많은 눈 또는 비를 뿌리겠다.
대관령 등 강원 산간지역을 중심으로 강릉 등 동해안 도심지에도 많은 눈이 내릴 것으로 기상청은 예보했다.
강원도 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6일부터 14일까지 이어진 기록적인 폭설로 8개 시·군의 공공시설과 사유시설 등 모두 352곳이 피해를 본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
눈이 잦아든 주말을 앞두고 폭설 복구작업을 본격화했지만, 눈이 또 예보되면서 도심은 물론 제설·복구 작업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산간 지역에 추가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물기를 머금은 무거운 습설이라 시설물 붕괴 등 사고 가능성이 크다.
현재 상태로도 산간 지역 등 고립 마을 진입도로가 완전히 뚫리려면 2∼3일 정도 소요될 전망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이미 많은 눈이 쌓여 있는 강원 영동은 비닐하우스와 지붕 붕괴 등 시설물 관리와 교통안전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상층 기압계 변화에 따른 남쪽 기압골의 발달 정도와 이동 경로·속도에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이번 눈 또는 비의 강수 형태와 강도가 매우 유동적"이라며 "기상정보를 적극 참고해 대비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14일 강원지방기상청에 따르면 동풍의 영향으로 17일부터 강원 영동에 눈 또는 비가 오겠고, 특히 18∼19일에 우리나라 남쪽에서 발달한 저기압이 지나가면서 강원도에 강풍과 함께 많은 눈 또는 비를 뿌리겠다.
대관령 등 강원 산간지역을 중심으로 강릉 등 동해안 도심지에도 많은 눈이 내릴 것으로 기상청은 예보했다.
강원도 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6일부터 14일까지 이어진 기록적인 폭설로 8개 시·군의 공공시설과 사유시설 등 모두 352곳이 피해를 본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
눈이 잦아든 주말을 앞두고 폭설 복구작업을 본격화했지만, 눈이 또 예보되면서 도심은 물론 제설·복구 작업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산간 지역에 추가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물기를 머금은 무거운 습설이라 시설물 붕괴 등 사고 가능성이 크다.
현재 상태로도 산간 지역 등 고립 마을 진입도로가 완전히 뚫리려면 2∼3일 정도 소요될 전망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이미 많은 눈이 쌓여 있는 강원 영동은 비닐하우스와 지붕 붕괴 등 시설물 관리와 교통안전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상층 기압계 변화에 따른 남쪽 기압골의 발달 정도와 이동 경로·속도에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이번 눈 또는 비의 강수 형태와 강도가 매우 유동적"이라며 "기상정보를 적극 참고해 대비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해안 또 ‘눈폭탄’ 예보…17일부터 사흘간 폭설
-
- 입력 2014-02-14 20:25:29
강원 영동지역에 최근 9일간 이어진 폭설이 주말 동안 주춤할 것으로 예보된 가운데 17일부터 또다시 많은 눈이 내릴 전망이다.
14일 강원지방기상청에 따르면 동풍의 영향으로 17일부터 강원 영동에 눈 또는 비가 오겠고, 특히 18∼19일에 우리나라 남쪽에서 발달한 저기압이 지나가면서 강원도에 강풍과 함께 많은 눈 또는 비를 뿌리겠다.
대관령 등 강원 산간지역을 중심으로 강릉 등 동해안 도심지에도 많은 눈이 내릴 것으로 기상청은 예보했다.
강원도 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6일부터 14일까지 이어진 기록적인 폭설로 8개 시·군의 공공시설과 사유시설 등 모두 352곳이 피해를 본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
눈이 잦아든 주말을 앞두고 폭설 복구작업을 본격화했지만, 눈이 또 예보되면서 도심은 물론 제설·복구 작업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산간 지역에 추가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물기를 머금은 무거운 습설이라 시설물 붕괴 등 사고 가능성이 크다.
현재 상태로도 산간 지역 등 고립 마을 진입도로가 완전히 뚫리려면 2∼3일 정도 소요될 전망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이미 많은 눈이 쌓여 있는 강원 영동은 비닐하우스와 지붕 붕괴 등 시설물 관리와 교통안전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상층 기압계 변화에 따른 남쪽 기압골의 발달 정도와 이동 경로·속도에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이번 눈 또는 비의 강수 형태와 강도가 매우 유동적"이라며 "기상정보를 적극 참고해 대비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