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급률 95% ‘IC칩 카드’ 복제 위험 여전
입력 2014.02.24 (09:38)
수정 2014.02.24 (10: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2000년대 초부터 신용카드가 불법 복제돼 부정사용되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데요.
그래서, 금융당국이 복제가 어려운 IC칩 카드를 보급해 현재 보급률이 95%에 이릅니다.
하지만, 단말기 보급은 지지부진해 복제위험이 여전합니다.
공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제과점에서 빵 값을 계산해봤습니다.
IC 칩이 들어 있는 신용카드를 건넸지만, 카드의 자기 띠 부분을 단말기에 긁습니다.
<인터뷰> 제과점 직원 : "(IC칩으로 결제좀 해주세요.) 저희 단말기로는 IC칩 결제는 안 돼서요."
마트도, 음식점도 IC칩을 이용해 결제하는 곳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보급된 카드 결제 단말기 두 대 가운데 한대 꼴로 IC칩을 읽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전국 220만 대 단말기 가운데 복제 위험을 안고 있는 구형 단말기가 100만 대를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런 단말기 1대를 교체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 20만 원 정도인데, 그 비용을 누가 지불할 지를 놓고 카드사와 단말기 관리사업자, 가맹점 사이에 생각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여신금융협회 : "단말기 공급업체가 전액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뷰> 단말기 사업자 협회 :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르면 카드사나 가맹점이 하는 게 맞고요."
가맹점들은 단말기를 안 바꿔도 아쉬울 게 없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 가맹점 관계자 : "단말기 안 바꿔도 영업하는 데 큰 지장은 없어요."
구형 단말기 교체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불법 복제를 막기 위한 IC칩이 카드의 장식품으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공아영입니다.
2000년대 초부터 신용카드가 불법 복제돼 부정사용되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데요.
그래서, 금융당국이 복제가 어려운 IC칩 카드를 보급해 현재 보급률이 95%에 이릅니다.
하지만, 단말기 보급은 지지부진해 복제위험이 여전합니다.
공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제과점에서 빵 값을 계산해봤습니다.
IC 칩이 들어 있는 신용카드를 건넸지만, 카드의 자기 띠 부분을 단말기에 긁습니다.
<인터뷰> 제과점 직원 : "(IC칩으로 결제좀 해주세요.) 저희 단말기로는 IC칩 결제는 안 돼서요."
마트도, 음식점도 IC칩을 이용해 결제하는 곳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보급된 카드 결제 단말기 두 대 가운데 한대 꼴로 IC칩을 읽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전국 220만 대 단말기 가운데 복제 위험을 안고 있는 구형 단말기가 100만 대를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런 단말기 1대를 교체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 20만 원 정도인데, 그 비용을 누가 지불할 지를 놓고 카드사와 단말기 관리사업자, 가맹점 사이에 생각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여신금융협회 : "단말기 공급업체가 전액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뷰> 단말기 사업자 협회 :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르면 카드사나 가맹점이 하는 게 맞고요."
가맹점들은 단말기를 안 바꿔도 아쉬울 게 없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 가맹점 관계자 : "단말기 안 바꿔도 영업하는 데 큰 지장은 없어요."
구형 단말기 교체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불법 복제를 막기 위한 IC칩이 카드의 장식품으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공아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보급률 95% ‘IC칩 카드’ 복제 위험 여전
-
- 입력 2014-02-24 09:40:43
- 수정2014-02-24 10:15:49

<앵커 멘트>
2000년대 초부터 신용카드가 불법 복제돼 부정사용되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데요.
그래서, 금융당국이 복제가 어려운 IC칩 카드를 보급해 현재 보급률이 95%에 이릅니다.
하지만, 단말기 보급은 지지부진해 복제위험이 여전합니다.
공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제과점에서 빵 값을 계산해봤습니다.
IC 칩이 들어 있는 신용카드를 건넸지만, 카드의 자기 띠 부분을 단말기에 긁습니다.
<인터뷰> 제과점 직원 : "(IC칩으로 결제좀 해주세요.) 저희 단말기로는 IC칩 결제는 안 돼서요."
마트도, 음식점도 IC칩을 이용해 결제하는 곳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보급된 카드 결제 단말기 두 대 가운데 한대 꼴로 IC칩을 읽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전국 220만 대 단말기 가운데 복제 위험을 안고 있는 구형 단말기가 100만 대를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런 단말기 1대를 교체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 20만 원 정도인데, 그 비용을 누가 지불할 지를 놓고 카드사와 단말기 관리사업자, 가맹점 사이에 생각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여신금융협회 : "단말기 공급업체가 전액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뷰> 단말기 사업자 협회 :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르면 카드사나 가맹점이 하는 게 맞고요."
가맹점들은 단말기를 안 바꿔도 아쉬울 게 없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 가맹점 관계자 : "단말기 안 바꿔도 영업하는 데 큰 지장은 없어요."
구형 단말기 교체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불법 복제를 막기 위한 IC칩이 카드의 장식품으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공아영입니다.
2000년대 초부터 신용카드가 불법 복제돼 부정사용되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데요.
그래서, 금융당국이 복제가 어려운 IC칩 카드를 보급해 현재 보급률이 95%에 이릅니다.
하지만, 단말기 보급은 지지부진해 복제위험이 여전합니다.
공아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제과점에서 빵 값을 계산해봤습니다.
IC 칩이 들어 있는 신용카드를 건넸지만, 카드의 자기 띠 부분을 단말기에 긁습니다.
<인터뷰> 제과점 직원 : "(IC칩으로 결제좀 해주세요.) 저희 단말기로는 IC칩 결제는 안 돼서요."
마트도, 음식점도 IC칩을 이용해 결제하는 곳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보급된 카드 결제 단말기 두 대 가운데 한대 꼴로 IC칩을 읽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전국 220만 대 단말기 가운데 복제 위험을 안고 있는 구형 단말기가 100만 대를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런 단말기 1대를 교체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 20만 원 정도인데, 그 비용을 누가 지불할 지를 놓고 카드사와 단말기 관리사업자, 가맹점 사이에 생각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여신금융협회 : "단말기 공급업체가 전액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뷰> 단말기 사업자 협회 :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르면 카드사나 가맹점이 하는 게 맞고요."
가맹점들은 단말기를 안 바꿔도 아쉬울 게 없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 가맹점 관계자 : "단말기 안 바꿔도 영업하는 데 큰 지장은 없어요."
구형 단말기 교체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불법 복제를 막기 위한 IC칩이 카드의 장식품으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공아영입니다.
-
-
공아영 기자 gong@kbs.co.kr
공아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