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미꾸라지 천렵’…유기 농법이 되살려

입력 2014.02.27 (06:53) 수정 2014.02.27 (14: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과거 농촌에선 겨울철 논에서 미꾸라지를 잡는 천렵 풍습이 있었는데요.

농약과 비료 살포로 사라졌던 미꾸라지 천렵 풍습이 친환경 농법 덕에 되살아나고 있습니다.

함영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찬바람이 매서운 한겨울, 농촌마을 주민들이 삽을 들고, 논으로 모여듭니다.

얼음을 깨고, 질퍽한 논 흙을 파헤치자 지푸라기와 진흙 속에서 미꾸라지들이 꿈틀거립니다.

<녹취> "어휴 이거 다 어떻게. 하하하. 용 나왔다. 용! 용! 용!"

손으로 미꾸라지를 담는 재미, 반나절도 안 돼 양동이에 가득 찹니다.

<인터뷰>김기재 (58세) : "토종이지, 완전히. 오염이 안 됐으니 토종이지 오염된 곳에 미꾸라지가 어딨어요."

이렇게 잡은 미꾸라지는 지하수로 잘 씻어 소금을 뿌리고.

무와 고춧가루를 끓인 물에 넣어 추어탕을 만들면 맛 또한 별미입니다.

<인터뷰>김영신 (54세) : "화합은 진짜 잘 됩니다. 좋은 점도 많고 서로 농사짓는 정보도 알고."

한 때 사라졌던 우리 농촌 겨울 풍습 미꾸라지 천렵이 다시 살아난 것은 3년 전부터 화학 비료와 농약을 쓰지 않는 유기농업을 하면서 논이 살아나고, 미꾸라지 서식이 가능해진 덕분입니다.

<인터뷰>민병로 (60세) : "약을 안하니까 요즘에 다시 (토종 미꾸라지가) 자라서 시작한 겁니다."

생태환경을 지켜가는 유기농법이 우리 겨울 풍속을 되살려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돌아온 ‘미꾸라지 천렵’…유기 농법이 되살려
    • 입력 2014-02-27 06:55:48
    • 수정2014-02-27 14:03:50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과거 농촌에선 겨울철 논에서 미꾸라지를 잡는 천렵 풍습이 있었는데요.

농약과 비료 살포로 사라졌던 미꾸라지 천렵 풍습이 친환경 농법 덕에 되살아나고 있습니다.

함영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찬바람이 매서운 한겨울, 농촌마을 주민들이 삽을 들고, 논으로 모여듭니다.

얼음을 깨고, 질퍽한 논 흙을 파헤치자 지푸라기와 진흙 속에서 미꾸라지들이 꿈틀거립니다.

<녹취> "어휴 이거 다 어떻게. 하하하. 용 나왔다. 용! 용! 용!"

손으로 미꾸라지를 담는 재미, 반나절도 안 돼 양동이에 가득 찹니다.

<인터뷰>김기재 (58세) : "토종이지, 완전히. 오염이 안 됐으니 토종이지 오염된 곳에 미꾸라지가 어딨어요."

이렇게 잡은 미꾸라지는 지하수로 잘 씻어 소금을 뿌리고.

무와 고춧가루를 끓인 물에 넣어 추어탕을 만들면 맛 또한 별미입니다.

<인터뷰>김영신 (54세) : "화합은 진짜 잘 됩니다. 좋은 점도 많고 서로 농사짓는 정보도 알고."

한 때 사라졌던 우리 농촌 겨울 풍습 미꾸라지 천렵이 다시 살아난 것은 3년 전부터 화학 비료와 농약을 쓰지 않는 유기농업을 하면서 논이 살아나고, 미꾸라지 서식이 가능해진 덕분입니다.

<인터뷰>민병로 (60세) : "약을 안하니까 요즘에 다시 (토종 미꾸라지가) 자라서 시작한 겁니다."

생태환경을 지켜가는 유기농법이 우리 겨울 풍속을 되살려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