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슘 100mg당 가격 영양제 따라 최고 24배 차
입력 2014.03.17 (11:53)
수정 2014.03.17 (13: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중에서 판매중인 칼슘영양제에 함유된 칼슘 100mg당 가격이 제품에 따라 최대 24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일부 칼슘영양제는 인체에 섭취.흡수되는 성능이 부적합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시판중인 칼슘영양제 가운데 생산량과 소비량 기준으로 상위 71%에 해당하는 제품 18종을 선정해 성분과 안전성, 가격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제품에 함유된 칼슘 100mg당 가격을 환산했을 때 가장 비싼 제품과 저렴한 제품의 격차는 24배로 나타났다.
가장 비싼 제품은 '상어연골칼슘'으로 100mg당 가격이 538원이었다. 가장 싼 제품은 '칼슘골드'로 100mg당 23원으로 나타났다. 18개 제품 전체의 평균 100mg당 가격은 165원이었다.
섭취 후 체내에서 소화·흡수가 원만히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붕해도' 시험에서는 '동아 칼슘마그네슘' 제품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제품의 경우 물에 용해시켰을 때 붕해도 적합 기준인 60분 이내에 녹아서 형체가 없어지거나 입자 상태 이하로 완전히 분산되지 않아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제품별 1일 섭취 칼슘 함량은 최대 2.4배 차이가 있었다. 1일 섭취 칼슘 함량이 가장 많은 제품은 '칼슘비타민'으로 578mg인 반면 가장 적은 제품은 '듀오칼슘'으로 214mg이었다. 18개 제품 전체의 평균은 376mg이었다.
이같은 함량은 50대 성인 기준으로 칼슘 1일 권장섭취량 700mg의 65% 수준이다. 우리나라 19세에서 49세 남녀의 칼슘 권장섭취량은 각각 750mg, 650mg이다.
칼슘은 연령, 특성별 권장섭취량이 다르므로 개인별 특성을 고려해 섭취해야 한다고 소비자원은 조언했다. 가장 좋은 칼슘 섭취 방법은 식품으로 섭취하는 것이다. 우유류가 칼슘 섭취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하루 80g 섭취할 경우 성인의 권장섭취량 수준으로 섭취가 가능하다.
한편 일부 제품의 경우 미량 함유된 성분을 강조하고 있어 표시 사항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한m칼슘골드플러스’의 1일 섭취량에는 아연 1.2mg, 망간 0.6mg, ‘칼슘골드’에는 비타민C 6.83mg, 비타민D 0.31μg으로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그러나 제품 주표시면에 이들 성분을 강조하고 있어 소비자가 충분한 양을 함유한 것처럼 오인할 소지가 있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칼슘 100mg당 가격 영양제 따라 최고 24배 차
-
- 입력 2014-03-17 11:53:26
- 수정2014-03-17 13:20:35

시중에서 판매중인 칼슘영양제에 함유된 칼슘 100mg당 가격이 제품에 따라 최대 24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일부 칼슘영양제는 인체에 섭취.흡수되는 성능이 부적합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시판중인 칼슘영양제 가운데 생산량과 소비량 기준으로 상위 71%에 해당하는 제품 18종을 선정해 성분과 안전성, 가격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제품에 함유된 칼슘 100mg당 가격을 환산했을 때 가장 비싼 제품과 저렴한 제품의 격차는 24배로 나타났다.
가장 비싼 제품은 '상어연골칼슘'으로 100mg당 가격이 538원이었다. 가장 싼 제품은 '칼슘골드'로 100mg당 23원으로 나타났다. 18개 제품 전체의 평균 100mg당 가격은 165원이었다.
섭취 후 체내에서 소화·흡수가 원만히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붕해도' 시험에서는 '동아 칼슘마그네슘' 제품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제품의 경우 물에 용해시켰을 때 붕해도 적합 기준인 60분 이내에 녹아서 형체가 없어지거나 입자 상태 이하로 완전히 분산되지 않아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제품별 1일 섭취 칼슘 함량은 최대 2.4배 차이가 있었다. 1일 섭취 칼슘 함량이 가장 많은 제품은 '칼슘비타민'으로 578mg인 반면 가장 적은 제품은 '듀오칼슘'으로 214mg이었다. 18개 제품 전체의 평균은 376mg이었다.
이같은 함량은 50대 성인 기준으로 칼슘 1일 권장섭취량 700mg의 65% 수준이다. 우리나라 19세에서 49세 남녀의 칼슘 권장섭취량은 각각 750mg, 650mg이다.
칼슘은 연령, 특성별 권장섭취량이 다르므로 개인별 특성을 고려해 섭취해야 한다고 소비자원은 조언했다. 가장 좋은 칼슘 섭취 방법은 식품으로 섭취하는 것이다. 우유류가 칼슘 섭취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하루 80g 섭취할 경우 성인의 권장섭취량 수준으로 섭취가 가능하다.
한편 일부 제품의 경우 미량 함유된 성분을 강조하고 있어 표시 사항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한m칼슘골드플러스’의 1일 섭취량에는 아연 1.2mg, 망간 0.6mg, ‘칼슘골드’에는 비타민C 6.83mg, 비타민D 0.31μg으로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그러나 제품 주표시면에 이들 성분을 강조하고 있어 소비자가 충분한 양을 함유한 것처럼 오인할 소지가 있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