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차등 전기요금제’ 찬반 논란

입력 2014.03.19 (21:29) 수정 2014.03.19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발전소가 밀집한 충남과 부산을 중심으로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환경오염 등 피해를 보고 있는 발전소 인근 주민들은 전기요금을 조금 덜 내고, 반면 그 혜택으로 전기를 공급받는 지역은 요금을 조금 더 내자는 것입니다.

이 제도를 놓고 지역이기주의냐, 지역 상생이냐는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박병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김종무 씨는 집을 팔고 싶어도 보러 오는 사람이 없습니다.

인근 보령화력발전소에서 만든 전기를 보내는 고압선이 불과 70미터 옆으로 지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종무(보령시 주포면) : "송전탑 문제로 집을 내놔도 안 팔리고, 땅을 내놔도 안 팔리고 피해는 정신적으로 말할 수가 없습니다."

수십 년 누적된 발전소 인근 주민들의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나온 것이 지역별 전기 요금 차등제.

유.무형의 피해를 보고 있는 발전소 인근 주민들에게 요금 혜택이라도 주자는 겁니다.

<인터뷰> 이인희(박사/충남발전연구원) : "피해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전력을 많이 쓰는 대도시 지역 같은 경우 보상차원에서 좀 더 높은 가격을..."

장기적으로는 전기를 많이 쓰는 기업들의 지방 이전 유도에도 도움이 된다는 논리지만 대도시 주민들은 발끈합니다.

정부의 정책 판단으로 지어진 발전소 주변의 피해를 왜 대도시 수요자가 떠안냐는 것입니다.

<인터뷰> 이태호(대전시 궁동) : "보상은 정부차원에서 다른 쪽으로 혜택을 주면 되는 거지, 현재도 도시 서민들은 누진세 때문에 전기를 마음대로 못 쓰고 있는데..."

고통과 비용을 분담하자며 지역 상생 해법으로 제시된 지역별 전기 요금 차등제가 또 다른 갈등의 불씨를 안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앵커 멘트>

방금 보셨듯이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가 논란인데요.

여러분은 지역 상생을 위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지역이기주의라고 생각하십니까?

KBS 홈페이지에서 여러분의 의견을 듣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차등 전기요금제’ 찬반 논란
    • 입력 2014-03-19 21:31:08
    • 수정2014-03-19 22:05:17
    뉴스 9
<앵커 멘트>

발전소가 밀집한 충남과 부산을 중심으로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환경오염 등 피해를 보고 있는 발전소 인근 주민들은 전기요금을 조금 덜 내고, 반면 그 혜택으로 전기를 공급받는 지역은 요금을 조금 더 내자는 것입니다.

이 제도를 놓고 지역이기주의냐, 지역 상생이냐는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박병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김종무 씨는 집을 팔고 싶어도 보러 오는 사람이 없습니다.

인근 보령화력발전소에서 만든 전기를 보내는 고압선이 불과 70미터 옆으로 지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김종무(보령시 주포면) : "송전탑 문제로 집을 내놔도 안 팔리고, 땅을 내놔도 안 팔리고 피해는 정신적으로 말할 수가 없습니다."

수십 년 누적된 발전소 인근 주민들의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나온 것이 지역별 전기 요금 차등제.

유.무형의 피해를 보고 있는 발전소 인근 주민들에게 요금 혜택이라도 주자는 겁니다.

<인터뷰> 이인희(박사/충남발전연구원) : "피해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전력을 많이 쓰는 대도시 지역 같은 경우 보상차원에서 좀 더 높은 가격을..."

장기적으로는 전기를 많이 쓰는 기업들의 지방 이전 유도에도 도움이 된다는 논리지만 대도시 주민들은 발끈합니다.

정부의 정책 판단으로 지어진 발전소 주변의 피해를 왜 대도시 수요자가 떠안냐는 것입니다.

<인터뷰> 이태호(대전시 궁동) : "보상은 정부차원에서 다른 쪽으로 혜택을 주면 되는 거지, 현재도 도시 서민들은 누진세 때문에 전기를 마음대로 못 쓰고 있는데..."

고통과 비용을 분담하자며 지역 상생 해법으로 제시된 지역별 전기 요금 차등제가 또 다른 갈등의 불씨를 안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앵커 멘트>

방금 보셨듯이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가 논란인데요.

여러분은 지역 상생을 위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지역이기주의라고 생각하십니까?

KBS 홈페이지에서 여러분의 의견을 듣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